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iental fruit flies (Bactrocera dorsali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s in horticulture worldwid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is species is not easy to be found as it is scattered in many forms of publications such as books, journals, and research repor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data from various resources, analyzing the information, and interpreting the results. As a result, B. dorsalis was confirmed to be distributed in a total of 82 countries, and the distribution status of each country i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present (widespread, localized, few occurrences, under eradication) and absent (eradicated, confirmed by survey, intercepted only, invalid presence record). This review is very useful for biologists, entomologists, as well as practitioners of plant protection.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is highly polyphagous pest that damages over 400 plant species, including commercially grown crops and fruits. It was first described in Taiwan and has since invaded Japan and China. In 2021, B. dorsalis was reported on Jeju Island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o investigate its origin and understand its colonization pathway in ROK, the gene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using mitochondrial genes. The study analyzed the haplotypes and genetic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oriental fruit flies collected from Southeast Aisa, including Thailand, Taiwan, and Vietnam. The mitochondrial genes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and cytochrome B (CytB)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B. dorsalis had high levels of haplotype diversity among species. No major haplotype was found among populations. The present study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the haplotype diversity of B. dorsalis in neighboring countries of ROK. This will expand our knowledge of the source of origin and invasive pathway for B. dorsalis.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uit Flies (Diptera: Tephritidae) are polyphagous, highly invasive pests in which female adults lay eggs under the skin of fruit and larvae damage the fruit. Among them,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Hendel) was first reported in Taiwan and is distributed throughout much of Southeast Asia, including Vietnam, as well as on the African continent and in the Pacific region. In order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pests into country, th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has designated them as prohibited pests and is conducting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on their occurrence. The experimental countries were Taiwan and Vietnam,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number of B. dorsalis caught by setting up traps for about 8 months. Methly eugenol (ME; 4-allyl-1,2-dimethoxy-benzene) is a widely distributed natural plant and is used because it strongly attracts males of B. dorsalis. The experiments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attractant formulations (liquid, solid, wax) and traps (Delta trap, Lynfield trap, Steiner trap) on B. dorsalis.
        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is one of important agricultural pests that attack a wide range of fruits and vegetables. Adult female can cause direct damage by laying eggs under the skin of fruits and vegetables. The eggs hatch into larvae that feed in the decaying flesh of the agricultural crops. Damaged fruits and vegetables quickly become inedible or dropto the ground. We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B. dorsalis on twelve fruits and seven vegetables. B. dorsalis marked the oviposition places on every crop tested. B. dorsalis laid eggs into the fruits and vegetables except lemon and passionfruit. We examined the adult emergence from infested crops.
        5.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노랑비취알락하늘소(가칭)의 제주 유입과 정착을 보고하는 논문에서 오리엔탈과실파리에 대하여 “제주지역에 유입되어 현재 발견되고 있 다”라고 잘못된 인용을 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다행히도 해당 문장이 빨리 발견되어 “제주지역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으로 수정되었다. 이 를 계기로 검역적으로 민감한 해충의 국내분포여부에 대하여 기술하는 경우 매우 신중하게 검증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연구자들에게 강조하고자 한 다. 클라이멕스 모델의 저온 스트레스 지수로 추정한 결과 오리엔탈과실파리는 2022~2023년 겨울 제주에서 생존이 불가능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노랑비취알락하늘소는 2023년 겨울 영하의 기온을 겪고 월동후 여름철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정착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1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금지급 과실파리인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에 대한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오리엔탈과실파리 가 자생하는 대만 지역을 대상으로 2019년 동일한 시기(3일간: 7월 30일~8월 1일)에 서로 다른 세 지역(타이페이, 타이중, 카오슝)에서 과실파리류를 채집하여 나이 변이 및 미토콘드리아 서열 변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세 지역에서 채집된 오리엔탈과실파리는 1,085마리로서 메틸유제놀 유인제에 모두 유인되었으며, 큐루어 유인제에는 30마리의 오이과실파리(Zeugodacus cucurbitae) 및 1마리의 타우과실파리(Bactrocera tau)만 채집 되었다. 단백질먹이 유인제에는 총 6마리가 포획되었으며 이 가운데 오리엔탈과실파리는 1마리가 포함되었으며 나머지는 오이과실파리였다. 오리 엔탈과실파리 수컷의 머리에는 테린이 포함되었으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각 머리에는 32 μg에서 59 μg까지 테린 함량이 증가하였다. 대만 세 지역의 수컷 집단들은 테린 양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카오슝 집단이 타이페이와 타이중 집단에 비해 적은 테린 양을 보유하였다. 이들 세 지역 사이에 유전적 거리가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타이페이 집단이 타이중 및 카오슝 집단들과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변이는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oxidase I (CO-I)과 NADH dehydrogenase I (ND-I)을 각각 비교 하였다. CO-I 영역 가운데 360개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7.8%의 염기서열 변이를 나타냈다. ND-I 영역을 비교한 결과 213개 염기서열 가운데 6.6%의 염기서열 변이를 보였다. 이들 변이 서열을 대만 지역에 발생하는 오리엔탈과실파리의 특이적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로 개발하는 데 추천한다.
        4,000원
        1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는 박과 식물의 해충으로 기주식물을 찾아가는데 냄새 감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의 기주 식물인 단호박, 애호박, 노란호박 및 하늘타리의 냄새물질을 포집하여 이들 추출물에 대한 호박꽃과 실파리의 촉각과 작은턱수염의 냄새반응을 GC-EAD(Gas chromatography-electroantennographic detection) 및 GC-EPD (Gas chromatography-electropalpographic detection)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촉각과 작은턱수염에 존재하는 냄새감각세 포들에 강한 냄새활성을 나타내는 여러 물질들이 탐지되어, 촉각과 작은턱수염 모두 기주식물의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촉각과 작은턱수염에 냄새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의 종류는 서로 확연한 차이를 보여서 촉각과 작은턱수염이 기주식물의 냄새물질 탐지에 서로 다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우리는 이들 냄새활성물질의 화학구조 동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들의 구조가 밝혀지면 이들 물질의 호박꽃과실파리 에 대한 행동활성을 조사할 예정이다.
        1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fly is a major polyphagous insect pest with a worldwide distribution.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time, survivorship, longevity and fecundity of B. dorsalis at six different temperatures. We applied the computer programs – TWOSEX-MSChart and TIMING-MSChart - to analyze our data. We obtained the population parameters – adult preoviposition period (APOP), total preoviposition period (TPOP), oviposition days, eggs per reproductive female, first age of survival rate <50%, proportion of male and female individuals, propoortion of N-type individual, and life table parameters (net reproductive rate, intrinsic rate of increase, finite rate of increase, and mean generation time) - and population projection using two computer programs.
        1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21st century, the risk of the exotic pest being invaded is increasing due to the rise of trading activities.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Diptera: Tephritidae), has been considered to very destructive invader as it is highly intrusive and has a wide host range. In this study, 2,29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88 locations in 12 countries by quarantine and investigation. Among them, 608 individuals (including B. correcta) were used for COI DNA barcoding analysis based on Neighbor Joining method with P-distance model. Population genetics analysis was conducted for 510 individuals selected from 47 locations of 12 Southeast Asian countries using 15 microsatellite loci. The barcoding analysis resulted in that any clade was not clustered according to a geographical isolation but indicated geographically mixed populations. Population genetics analysis showed shared genetic structure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across borders. Genetic structure of most Korean quarantine groups was more similar to that of Taiwan, China and Thailand in the order of appearance than other countries.
        1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flies, Bactrocera doralis (Hendel) (Diptera: Tephritidae), a tropical pest, have recently been expanded to temperate region neighboring with Korea,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 trade and global climate change. The biological data of several B. dorsalis complex was collected, and the establishment potential in Korea was examined using ecoclimatic index and population model results obtained from CLIMEX and Popmodel, respectively. In the CLIMEX, B. dorsalis could be established in the small part of Jeju Island in the 2010s, and the range gradually spread until the 2090s, and many parts of the lowland of Jeju Island were assigned in the marginal to optimal range. Using the population model and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host fruits, it was found that B. dorsalis can use a variety of host plants without time lag, allowing them to increase its population and to damage citrus, the main crop of Jeju.
        1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외래해충은 자연생태계 교란과 농업환경의 파괴를 가져와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에 엄청난 사회적 비용과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이러한 외래해충의 국내 정착 시 대상 해충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법과 천적 등의 부재로 박멸에 어려움이 있기에 검역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붉은불개미와 금지급 과실파리류는 변화하는 기후와 국가 간교역량의 증가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근연관계에 있는 일본열마디개미와 호박꽃과실파리를 대상으로 내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종의 곤충은 저온처리(8℃에서 2시간) 후 체내빙결점의 저하가 나타났다. 또한 저온처리 후 –5℃에서 생존율은 호박꽃과실파리가 일본열마디개미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depresaa)는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해충으로 최근 단호박, 맷돌호박 등 호박의 수요 증가로 그 피해가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호박과실파리는 성충이 호박 과실 표피를 뚫어 내부에 산란하여 유충이 과실 내부를 가해하기 때문에 처리시기를 놓치거나, 약제침투가 저조한 살충제로는 방제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시험은 노지 호박 내 발생하는 호박과실파리의 방제를 위해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유제를 이용하여 경엽처리 효과를 검토하였다. 시험은 유과기에 산란하는 습성을 지닌 호박과실파리를 고려하여 암꽃이 달려 있는 유과를 대상하였으며, 성충 발생초기에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유제를 처리하여 약제처리 20일 후 피해과율 및 과실 내 유충수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사이안트라닐리프롤 5% 유제를 2,000배로 성충 발생초기 7일 간격 2회 처리 시 피해과율과 유충수 조사 모두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1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꽃과실파리, Bactrocera scutellata (Hendel) (Diptera: Tephritidae),는 호박 등 박과식물의 해충으로 야외 트랩실험을 통해 호박꽃과실파리 수컷이 cue lure와 raspberry ketone에 유인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호박꽃과실파리의 촉각(antennae)과 작은턱수염(maxillary palps)에 각각 다른 형태의 냄새감각기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Bactrocera 속 과실파리들의 parapheromone 성분들인 cue lure, raspberry ketone, methyl eugenol, 및 zingerone 등의 물질들이 촉각과 작은턱수염 중 어떤 감각기관에 의해 감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물질들과 식물 냄새성분인 3-octanone에 대한 호박꽃과실파리의 eleltroantennogram (EAG) 및 electropalpogram (EPG)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ue lure 및 raspberry ketone은 작은턱수염에서 큰 EPG 반응을 보였으나 촉각에서는 EAG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호박꽃과실파리의 기주식물인 호박에서 방출되는 냄새 성분 중 하나인 3-octanone은 촉각에서 큰 EAG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작은턱수염에서는 아주 작은 EPG 반응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박꽃과 실파리 수컷에 강한 유인력을 나타내는 cue lure와 raspberry ketone이 촉각이 아니라 작은턱수염에 존재하는 냄새감각세포들에 의해 감지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호박과실파리 등 아직 강력한 유인제가 알려져 있지 않은 다른 과실파리류의 유인제 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2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fly is a major polyphagous insect pest with a worldwide distributi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stage-specific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at eight constant temperatures (13.0, 14.4, 16.2, 19.5, 23.8, 27.7, 31.8 and 34.8℃). Stage-specific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s and thermal constants were determined using linear regression. The lower and higher temperature threshold (TL and TH) were estimated using the Sharpe-Schoolfield-Ikemoto (SSI) model. The daily adult emergence frequency of B. dorsalis was estimated in relation to adult age and temperature. Thermal performance was compared among B. dorsalis populations from different locations in Taiwan.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