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버섯의 생육과 품질은 환경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설재배에서는 생육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환경조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 하에서 야간 기온(무처리, 5~11℃, 12~18℃), 주간 상대습도(무처리, 6시간 및 12시간 가습), 풍속(무처리, 풍속 6시간 및 12시간 유지)에 대하여 버섯의 생체중, 건물중, 함수율, 갓의 직경, 두께, 착색도, 균병의 직경, 길이를 측정하였다. 야간 온도가 낮을수록 품질이 향상되었고, 생체중을 고려할 경우에 최저온도는 최저 생육온도 3℃이상 8℃ 이하가 적절하였다. 주간에 상대습도 (70~80%)를 계속 유지시키면 생체중은 증가하지만, 고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50%정도가 적절하였다. 6시간 이상의 평균 풍속(1~2 m·s-1) 처리구에서 생육과 품질이 양호하였고, 12시간 지속될 경우, 증발에 의하여 생체중은 감소하였으나, L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의 수량과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은 쉽지 않지만, 수량과 품질에 관여하는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최적의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버섯은 담자균류 송이과에 속하는 식용 버섯으로, 영양 성분 및 약리적 효능이 높기 때문에 동양인에게 중요한 버섯이며, 점차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시기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표고버섯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생육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7~1998년 국내 고품질 표고버섯이 생산되는 지역중 3지역(부여, 원주, 장흥)을 선정하였다. 표고버섯의 다량 발생시기 20일 기준으로 기상분석시기 15일을 선정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발생시기의 일 온도차, 일습도차, 일평균온도, 일 평균습도 및 풍속을 분석하였다. 발생기간중의 일 평균온도는 버섯 발생 온도 하한치인 7℃ 이하에서 적정온도 20℃까지의 변화를 보였고, 일 온도차는 주간에는 7~20℃, 야간에 0~-2℃의 범위를 나타냈다. 일평균습도 50~70%으로 강우에 따라서 변화 폭이 컸으며, 일습도차는 40~60%의 차를 나타냈다. 풍속은 1~4m.s-1이었다 .따라서 화고, 동고의 생육환경은 일반적인 표고버섯의 적정 생육 조건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생육기간동안의 일 온도차, 일습도차, 저 습도, 풍속 등의 환경 조건은 고품질 표고버섯 발생의 요인의 하나라고 추정된다. 이 연구결과는 버섯의 시설재배시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을 위한 환경조절기술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sawdust by n 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solvent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ir mycelial growth inhibition against Lentinus edodes. The yields of n hexane soluble fraction,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and methanol soluble fraction from P. densiflora sawdust were obtained 1.36%, 2.21% and 4.03% using organic solvent, respectively.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of L. edodes was the greatest for n hexane extract, ranging from 36.5% to 47.6% at concentrations of 125 ppm to 1,000 ppm, with the values for all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After direct extraction of P. densiflora sawdust using n 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each extract was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n the fractions were isolated on the values of Rf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against L. edodes was recognized in the fractions II (33.5%) and III (37.6%) of n hexane extract, the fraction II (21.4%) of ethyl acetate extract and the fraction II (26.4%) of methanol extract. The fractions III of n-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among the nine fractions of the organic solvent extract.
        4.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고의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의한 접종량(接種量)의 증가(원목(原木) m3 당 3.0kg - 6.0kg)가 균사(菌絲)의 초기 발육 상태인 활착(活着), 만연(蔓延)과 숙도(熟度) 그리고 우실체(宇實體)의 생산성(生産性)인 5년간 발생량과 개체당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의한 종균(種菌) 접종량(接種量)의 증가는 종균(種菌) 활착율(活着率)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균사(菌絲) 만연율(蔓延率)과 균사(菌絲) 숙도율(熟度率)을 증가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자(字) 실체(實體)의 발생량도 증가되어 대조구인 골목m3당 접종량(接種量) 3.0kg구의 발생량은 16.34kg/m3이었으나 접종량(接種量) 6.0kg구에서는 7.7% 증가되어 17.60kg/m3 이었다. 2.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哉培)에 의한 종균(種菌) 접종량(接種量) 증가는 자실체(字實體)의 조기 발생을 나타내었다. 자실체(字實體)의 2년차와 3년차의 건조 중량 발생량은 대조구인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3.0kg구는 5년간 발생량의 62.7%인 10.25kg/m3인 반면 비교구인 접종량(接種量) 5.0kg구-6.0kg구는 74.0%-82.7%인 12.82kg/m3-14.56kg/m3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4년차와 5년차에서의 발생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3. 표고 자실체(字實體)의 월별 발생량은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자실체(字實體)는 5월-6월과 8월-9월 동안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발생량은 당해 년도 발생량의 11%-33%과 16%-28%를 각각 차지 하였다. 4.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따른 접종량(接種量)의 차이에 의한 자실체(字實體) 개체당 평균 중량(건조 중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4.0kg구가 1.63g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