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9 No.1 (1996년 2월) 10

1.
199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고의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의한 접종량(接種量)의 증가(원목(原木) m3 당 3.0kg - 6.0kg)가 균사(菌絲)의 초기 발육 상태인 활착(活着), 만연(蔓延)과 숙도(熟度) 그리고 우실체(宇實體)의 생산성(生産性)인 5년간 발생량과 개체당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의한 종균(種菌) 접종량(接種量)의 증가는 종균(種菌) 활착율(活着率)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균사(菌絲) 만연율(蔓延率)과 균사(菌絲) 숙도율(熟度率)을 증가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자(字) 실체(實體)의 발생량도 증가되어 대조구인 골목m3당 접종량(接種量) 3.0kg구의 발생량은 16.34kg/m3이었으나 접종량(接種量) 6.0kg구에서는 7.7% 증가되어 17.60kg/m3 이었다. 2.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哉培)에 의한 종균(種菌) 접종량(接種量) 증가는 자실체(字實體)의 조기 발생을 나타내었다. 자실체(字實體)의 2년차와 3년차의 건조 중량 발생량은 대조구인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3.0kg구는 5년간 발생량의 62.7%인 10.25kg/m3인 반면 비교구인 접종량(接種量) 5.0kg구-6.0kg구는 74.0%-82.7%인 12.82kg/m3-14.56kg/m3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4년차와 5년차에서의 발생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3. 표고 자실체(字實體)의 월별 발생량은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자실체(字實體)는 5월-6월과 8월-9월 동안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발생량은 당해 년도 발생량의 11%-33%과 16%-28%를 각각 차지 하였다. 4. 다공(多孔) 접종재배(接種栽培)에 따른 접종량(接種量)의 차이에 의한 자실체(字實體) 개체당 평균 중량(건조 중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4.0kg구가 1.63g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199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원산(日本原産)의 미나리과향신야말(科香辛野茉)인 파드득나물, 미나리, 명일엽(明日葉) 및 갯방품의 유도(油道)의 발생(發生), 구조(構造) 및 분포(分布)에 대하여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다. 유도(油道)는 엽병(葉柄), 엽신(葉身), 경(莖), 근(根), 배축(胚軸) 및 자엽(子葉)에 존재(存在)했다. 유도(油道)는 배축(胚軸)과 자엽(子葉)의 발생초기(發生初期)에 형성(形成)되었다. 엽병(葉柄)에 있어서의 유도(油道)는 파드득나물, 미나리에서와 같이 윤상유관속(輪狀維管束)에 상반(相伴)하여 나타나는 분포(分布)와, 명일엽(明日葉), 갯방풍에서와 같이 산재위관속(散在維管束) 상반(相伴)하여 나타나는 분포(分布)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엽병(葉柄)이 비대(肥大)해짐에 따라 피층(皮層)에 형성(形成)되는 유도(油道)는 처음에 유도(油道)가 발생(發生)하고, 그 다음에 후각조직(厚角組織)과 유관속(維管束)이 발달(發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관속(維管束)의 형성(形成)을 동반(桐伴)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유도(油道)는 엽병(葉柄)에서는 주변부(周邊部)에 많이 존재(存在)했다. 엽신(葉身)에서는 엽맥(葉脈)의 향축측(向軸側)과 배축측(背軸側)에 존재(存在)했고, 주맥(主脈)에 있는 유도(油道)가 컸다. 경(莖)에서의 유도(油道)는, 파드득나물과 미나리는 피층(皮層)과 빈에, 명일엽(明日葉)과 갯방풍은 피층(皮層)과 목부주변(木部周邊)의 기본조직(基本組織)에 분포(分布)했다. 근(根)에서는, 파드득나물과 미나리는 내초에, 명일엽(明日葉)과 갯방풍은 후각성조직(厚角性組織)과 축부(縮部)에 분포(分布)했다. 유도(油道)의 횡단면(橫斷面)은 도형(圖形) 혹은 타도형(楕圖形)이었다. 분필세포(分泌細胞)는 피층(皮層)과 빈에서는 주변(周邊)의 유세포(柔細胞)보다 작았으며 사부(篩部)에서는 컸다.
3.
199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황정(原黃精)(충층둥글레)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종근(種根)을 선발(選拔)하고자, 청주(淸州)와 제천(提川)에서 충북(忠北)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종근(種根)의 크기를 15g, 30g, 45g, 60g(±2g) 별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파종(播種) 당년(當年)에는 제천(提川)보다 청주(淸州)에서 5일 늦었으나 파종(播種) 2 - 3년차(年次)부터는 제천(提川)보다 청주(淸州)에서 4 - 7일 빨랐으며 작은 종근(種根)보다 큰 종근(種根)일수록 빨라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초장(草長)과 경장(莖長)은 청주(淸州)보다 제천(提川)에서 짧았고 종근간(種根間)에는 15g 종근(種根)보다 60g 종근(種根)에서 더 길었다. 3 엽장(葉長)은 청주(淸州)보다 제천(提川)에서 짧았고 종근간(種根間)에는 청주(淸州), 제천(提川) 공히 15g 종근(種根) 〈 30g 〈 45g 〈 60g 종근(種根) 순(順)으로 큰 종근(種根)에서 길었으며 엽폭(葉幅)은 큰차이(差異)가 없었다. 4. 10a당 수량(收量)은 청주(淸州), 제천(提川) 공히 1,600kg/10a 이었으나 종근간(種根間)에서 15g의 종근(種根) 청주(淸州) 869kg, 제천(提川) 830kg에 비(比)하여 30g은 64 - 79%, 45g은 111 - 135%, 60g 종근(種根)은 157 - 161%가 각각 증수(增收)되었으나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원황정(原黃精) 재배시(栽培時) 종근비(種根費) 등을 고려(考慮)하면 45g 내외(內外)의 종근(種根)이 유리(有利) 할 것으로 판단(判斷) 되었다.
4.
199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많은 고등균류를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 도립공원(전라북도), 방태산(강원도),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채집해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젖꼭지졸각버섯(Laccaria ohiensis), 자주빛애주름버섯(Mycena clavularis), 삔애주름버섯(M.acicula), 가지낙엽버섯(Marasmius ramealis), 나막낙엽버섯(M.calopus), 요리맛솔방울버섯(Strobilurusesculentus), 반구 볏짚버섯(Agrocybe sphaleromorpha) 그리고 띠끈적버섯(Cortinarius fasciatus)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되었다.
5.
199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시험은 고채발아 및 생육특성과 가공이용 1990~1995년 충남농촌진흥원 특작시험포장 하우스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2월 15일, 5월 30일 파종구에서 5월 파종구가 출현 소요기간 14일로 2월 파종구 18일 보다 4일 빨랐으나 출현율은 2월 파종구 64%로 5월 파종구보다 11% 높았다. 2. 관행구(대비) 초장 36cm보다 GA 50, 100ppm에서 12~60cm 엽장길이가 길어 초기 도장성향을 나타냈으나 후기 수량특성은 21~56% 증수하였다. 3. 고채 발아온도 25℃에서 65% 발아율과 관행구보다 자연수 침적구가 발아,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다. 4. 고채엽은 식용으로 들깨잎, 상치보다 손색이 없었고 삶아 나물이용보다는 신선한 채소 이용이 연화정도, 맛, 색깔 등에 식미결과 좋은 반응이었다. 5. 고채엽장은 15~20일이 생육시 20cm내외로 채엽 가능하며 연화정도가 식용으로 가장 이상적이었다.
6.
199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할미꽃의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제초활성물질의 확인과 동정을 위하여 이들을 추출 정제하고 활성성분 및 제초활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종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과 Prep. HPLC의 순차적인 적용에 의해 제초활성물질이 포함된 할미꽃 뿌리의 메타놀추출물을 정제하여 2개의 활성분획을 획득하였다. 2. 최종적으로 얻어진 활성분획들을 100ppm의 농도로 조제하여 처리한 결과, 식용피 유근의 생장 억제율은 대조구에 비해 각각 48% 및 60%로 나타났다. 3. GC-MS Spectrometry에 의해 분리된 활성분획 중의 성분들을 기존자료들과 비교하여 수종의 지방산 에스테르, 2종의 탄화수소류, squalene, evidonol 및 1종의 diazepin 관련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7.
199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재배(栽培)에 있어서 기계(機械)를 이용(利用)하여 수확(收穫)의 성력화(省力化)로 노동력(勞動力)과 생산비(生産費)를 절감(節減)하기 위해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기계(機械)를 이용한 양파 굴취수확(掘取收穫)은 관행인력굴취수확(慣行人力掘取收穫)에 비해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掘取機)를 부착(附着)해 서 수확(收穫)한 굴취수확(掘取收穫)이 90-93%로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가장 좋았다. 2.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掘取機)를 부착(附着)한 수확기(收穫機)의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관행인력수확(慣行人力收穫)에 비해 37%의 작업시간(作業時刊)을 절감(節減)하여 37%의 작업비(作業費)를 절멸(節滅)했다.
8.
199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범자(枸杞子)의 주당(株當) 적정(適正) 줄기수와 번식방법(繁殖方法)을 구명(究明)하고자, 1993~1994년(年)까지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기자(拘杞子) 번식방법(繁殖方法)은 종자번식(種子繁殖)에 비해 개화기(開化期)가 15일 빠르고, 건과수량(乾果收量)이 91kg/10a로 30%가 증수(增收)된 지삽(枝揷) 20cm가 가장 좋았다. 2 삽수 굵기는 건과수량(乾果收量)이 227kg/10a로 방임구(放任區)에 비해 28% 증수(增收)된 0.9cm가 좋았다. 3. 주당 적정(適定) 줄기수는 줄기수 5본에서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고 100과중도 13.4g으로 가장 무거웠다. 4. 주당(株當) 착과수는 864개로 줄기수 5본에서 증가(增加)되었고 건과수량(乾果收量)도 줄기수 5본에서 104kg/10a로 방임구(放任區)에 비해 16% 증수(增收)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