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경쟁 및 기술의 혁신적 진보, 그리고 세계적인 경기부진은 창조경제ㆍ창조경영을 시대적 화두로 만들었다. 그에 따라 많은 조직들이 생존과 번영을 위해 변화와 혁신에 주력하고 있는데, 성공적인 변화와 혁신이 무엇보다도 구성원의 창의성에 뿌리를 둔다는 점에서 경영진들은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도 고군분투하고 있다. 그런데 다수의 연구들에 의하면 리더십은 가장 효과적인 창의성의 결정요인 중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변화와 혁신에 초점을 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은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 구성요소 중 하나이자 창의성에 보다 직접적인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제한적이며, 특히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에 대한 관심은 더욱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런 한계를 보완하고자 다음의 두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 고 수행되었다. 첫째, 사회학습이론과 심리적 분위기 이론을 기반으로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이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연구 결과를 공고히 하고, 경영진으로 하여금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무엇보다도 현장의 리더십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리더십 대체이론의 관점에서 변 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인재선발 및 교육훈련에 있어 구성원의 어떤 역량에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군 간부 리더- 부하 199쌍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은 구성원의 창의성 과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정치적 기술의 상호작용을 확 인한 결과,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이 높은 경우에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정적관계가 유의 한 반면, 정치적 기술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이 창의성 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며, 나아가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에 따라 창의성에 미치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의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말미에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Cystoderma list of the species found in Korea is composed of 6 species(Lee & Lee 2000). Cystoderma in Korea is Cystoderma amiaanthinum, Cystoderma carcharias, Cystoderma fallax, Cystoderma granulosum, Cystoderma japonicum and Cystoderma terreii. As the member of Lepiotaceae, Cystoderma belongs under Eumycotina, Basidiomycotina, Eubasidimycotina, Hymenomycetidiae, and Agaricales. Its outer pileus of Cystoderma is serrate radially, a small scale is scattered its peridium. And stipe has a small annulus attached to it. spores is subspore or fusiform, white and it has pseudoamyloid. Each shape, size, shine and quility of fruiting body of Cystoderma is different in the breed and it is important sources of a classification of Cystoderma. Especially, the shapes and colors of various scaly which are on the surface of the fungus are important to the external classification.
For natural human-robot interaction, we need to know location and shape of facial feature in real environment. In order to track facial feature robustly, we can use the method combining particle filter and active appearance model. However, processing speed of this method is too slow.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ideas to improve efficiency of this method. The first idea is changing the number of particles situationally. And the second idea is switching the prediction model situationally. Experimental results is presented to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bout three times faster than the method combining particle filter and active appearance model, wherea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maintained.
백두산 일대에서 2002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많은 균류을 채집하여 동정 하였다. 그 결과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종은 비단깔대기버섯 (Clitocybe alnetorum), 접시깔대기버섯 (C. catinus), 변색깔대기버섯 (C. metachroa), 흰깔대기버섯 (C. odora var. alba), 나뭇잎깔대기버섯 (C. phyllophilla), 예쁜광대버섯 (Amanita muscaria var. formosa), 노랑마귀광대버섯 (A. pantherina var. lutea), 반먹물버섯 (Coprinus semitalis), 광택볏짚버섯 (Agrocybe dura), 줄무늬땀버섯 (Inocybe grammata), 회색껍질끈적버섯 (Cortinarius epipolius), 거미집끈적버섯 (C. nemorensis)이 였다. 이들 미기록종을 한국산 버섯목록에 추가하여 균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1997년부터 7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모악산도립공원, 만뢰산, 위봉사, 운장산, 민주지산에서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된 것은 관검은털먼지 (Amaurochaete tubulina), 쇠열매체먼지(Cribraria microcarpa), 빛 체먼지(Cribraria splendens), 흰색축먼지 (Diachea leucopodia), 이리장내먼지 (Enteridium lycoperdon), 노랑실먼지(Stemonitis flavogenita), 검은실먼지 (Stemonitis fusca)이었다. 이것들은 낙엽, 고목등 식물성 유기체에서 서식하고 있었고 이들에 대하여 한국보통명을 신칭 하였다.
본 연구는 굼벵이를 이용하여 동충하초의 자실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3종의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CHO-7208, CHO-7845, CHO-7846를 사용하여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PDA배지에서 13일간 배양 결과 CHO-7208는 25 ±2mm, CHO-7845는 26±2mm와 CHO-7846은 16±2mm 생장하였으며 굼벵이를 배지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분이나 밀가루, 쌀을 이용하여 사육을 했을 때 전분의 생존율이 높았다. 굼벵이 배지에서는 CHO-7298과 CHO-7846에서 자실체가 발생하였으며 27일간 생장량은 각각 51±5mm와 51 ±5mm로 생장하였다. 또한 굼벵이 에서의 자실체 발생은 기중균사 형성이 왕성한 것이 균주로서 적합하였으며 굼벵이 배지에 동충하초를 배양하여도 자실체의 발생은 양호하였다.
2000년 5월 중순부터 10월까지 채집하였다. 이 중 2속 4종을 확인하였고 6균주를 분리하여 모두를 자실체 유도실험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동충하초 [Corcyceps miliraris(CHO-7410)] 1균주, 눈꽃동충하초[isaria japoica (CHO-6713, CHO-7413)] 2균주를 상업적이나 의약품개발에 있어서의 시료등 각 산업에있어서 전반적으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사료되어 우량균주로 선발하였다.
1999년 5월 중순부터 10월까지 완주군 일대의 연석산, 모악산, 대아리 수목원의 해발 약 400m의 그늘지고 습한곳에서 약 20여종의 동충하초를 채집하였다. 이 중 2속 5종을 확인하였고 이것들에서 10균주를 분리하여 9균주를 자실체유도 실험에 이용하였다. 그결과 Cordyceps militaris (99-0007) 1균주, Isaria japonica (99-0001, 99-0002, 99-0003) 3균주, Cordvceps soborifera (99-0008) 1균주, C.kanzashiana (99-0009) 1균주는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사료되어 우량균주로 선발하였다.
1996년 4월1일부터 1998년 3월 31일까지 지리산의 국립공원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였다. 그것들을 생태적 자원면에서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희귀 균류는 진균문에서는 줄솔밭버섯(Omphalina ericetorum)을 포함하여 15종이고 변형균문에서는 아재비털먼지(Trichia affinis), 청황색 자루먼지(Physarum viride var. aurantium)을 2종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용가능한 균류는 135종, 재배 가능한 버섯은 16종, 독버섯은 35종, 항암버섯(약용포함)은 68종, 균근형성균은 51종, 목재부후균(낙엽분해균포함)은 177종이었다.
1995년 6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강원도의 방태산 전라북도의 모악산도립공원, 만덕산에서 많은 자낭균류를 채집하였다. 이것들을 동정한 결과 잔 받침버섯속(Calycellina), 요버섯속(Diatrype), 쇠요버석속(Diatrypella)은 한국미기록속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늘접시버섯(Scutellinia umbrarum), 그늘접시버섯아재비(S. pseudoumbarum), 처녀털컵버섯(Dasyscyphus virgineus), 작은잔받침버섯(Calycellina punctiformis), 열매콩꼬투리버섯(Xylaria oxyacanthae), 접시요버섯(Diatrype disciformis), 참나무 쇠요버섯(Diatrypella quercina) 그리고 사마귀쇠요버섯(D. verrucaeformis)은 한국 미기록 중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한국미기록속과 미기록종에 대하여 한국 보통명을 신청하였다.
많은 고등균류가 1995년 5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도립공원과 완주군의 연석산에서 채집하였다. 그들을 동정한 결과 미기록속은 민꽃버섯속(Stereopsis)이고 미기록종은 포도벚꽃버섯(Hygrophorus arbustivus), 붉은송이(Tricholoma imbricatum), 여린애주름버섯(Mycena fragillima), 납끈적버섯(Cortinarius spilomeus), 붉은끈적버섯(C. saturninus), 전나무끈적버섯 아재비(Dermocybe semisanguinea), 자루민꽃버섯(Stereopsisburtianum), 빨강머리말뚝버섯 (Jansia borneensis)등 8종류였다. 이들 각각의 미기록속과 종에 대하여 한국 보통명을 신청하였다.
많은 자낭균류 버서슬 1995년 3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모악산도립공원, 전주근교의 위봉사계곡과 만덕산에서 채집하였다. 이들은 Dennis(1981)와 Breitenbach & Kranzlin(1984)의 분류 검색표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 미기록종은 다형방석꼬투리버섯(Hypoxylon multiforme), 루비방석꼬투리버섯(H. rubiginosum), 껍질방석꼬투리버섯(H. udum), 광방석꼬투리버섯(H. rutilum), 벼슬알보리수버섯(Nectria gallignea), 원추알보리수버섯(N. coccinea), 담황색알보리수버섯(N. pallidula), 그리고 연기알보리수버섯(N. fumicola)이었다.
많은 고등균류를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 도립공원, 만덕산(전라 북도)과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채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속껍질버섯 속(Hyphoderma), 탈모껍질버섯속(Piloderma), 날원통담자버섯속(Cylidrobasidium)은 한국 미기록 속이었고, 결절벌집버섯(Polyporus tuberaster), 붉은 진흙버섯(Phellinus ferruginosus), 누에고약버섯(Corticium bomycinum), 붉은가는주름버섯(Phlebia rufa), 털속껍질버섯(Hyphoderma puberum), 삼베탈모껍질버섯(Piloderma byssinum), 날원통담자 버섯(Cylindrobasidium evolens) 그리고 솔휜구멍버섯(Peniophora pini)은 한국산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었다.
많은 고등균류를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 도립공원(전라북도), 방태산(강원도),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채집해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젖꼭지졸각버섯(Laccaria ohiensis), 자주빛애주름버섯(Mycena clavularis), 삔애주름버섯(M.acicula), 가지낙엽버섯(Marasmius ramealis), 나막낙엽버섯(M.calopus), 요리맛솔방울버섯(Strobilurusesculentus), 반구 볏짚버섯(Agrocybe sphaleromorpha) 그리고 띠끈적버섯(Cortinarius fasciatus)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되었다.
1988년 7월부터 1991년 9월까지 전주와 근교의 만덕산, 위봉사 그리고 내장산 국립공원, 발왕산, 그리고 월출산 국립공원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된 것은 다음과 같다. 빨강꽃버섯(Hygrocybe marchii), 헛물털애주름버섯(Hydropus floccipes), 뿔껍질갓버섯(Lepiota hystrix), 사초외대버섯(Entoloma cinchonense), 물외대버섯(E.hypoporhryum), 그리고 봉밀외대버섯(E,mellum)이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전주근교의 만덕산, 용문사, 완주군의 삼계읍, 광주의 무등산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둔눈물버섯(Psaythrella obtusata),주름낙엽버섯(Marasmius leveilleanus),요리솔밭버섯(Omphalina epichysium), 꼽추만가닥버섯(Lyphollum gibberosum), 대솔버섯(Tricholomopsis sasae) 그리고 빛더듬이버섯 (Multiclavula clara)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많은 고등륜류가 1990년 9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만덕산, 덕유산, 지리산에서 채집되었다. 이 고등균류들을 동정한 결과 Strobilurus(솔버섯속)은 한국산 미기록속이었다. 그리고 Strobilurus oshimae(가지솔버섯), Mycena chlorophos(야광애주름버섯), Mmarasmius pulcerripes(예쁜낙엽버섯), Pholiota astragalina(빨강비늘버섯), Cortinarius subdelibutus(물끈적버섯아재비), Boletellus shichianus(가시노랑그물버섯)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Many Entoloma were collected at Mt. Baiyang, Mt. Jiry, Mt, Sunun, Mt, Naejang and Mt. Manduck to September 1991 from June 1991. These sperc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ing. Entoloma readii, E. cinerascens, E.padiceum, E.squamulosum and E. umbilicatum were newly to Korea.
Many species of the genus Entolama were collected at Mt. Jiri National Park, Mt. Baikyang National Park, Mt. Sunun Provincial Park and Mt. Balwang from June, 1991 to september, 1991.These sepec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Entolama convexum, E. roanense, E.clavipes,E.tephreum, E.ochraceumand E.weberi were newly recorded in Korea.These species were described and their Korean names were designed.
Apexes of basidia in Rhodophyllus muraii var. albus a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or depressed in the center. A spore is formed by inflation of the apex of the sterigma. The apex of the sterigma is swollen and changed from a papilla through a peinsform and a club into a globeform. Six spots of globose spore are regularly or irregularly depressed with hilum axes. Finally the spores come cub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