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의 품질향상과 품질평가척도 등을 제시하는 효율적인 건조조건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건조온도(40, 50, 70, 90℃)와 건조시간(12, 24, 36, 48시간)을 달리하여 고추를 건조한 다음, 건조조건별로 고추의 수분함량변화, 색도 및 향기 성분을 조사하였다. 1) 고추품질면에서 최적수분함량(11.85~11.05%)을 고려할 때 5℃에서 36시간 또는 48시간 건조하는 것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태양건조와 열풍건조를 비교한 결과 열풍으로 50℃에서 48시간 건조하는 것이 고추의 색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3) 고추의 색도 특성은 hexane 추출물에서 284nm와 carotenoids(430~474nm)의 전형적인 흡광도 값의 비가 2.5~3.4범위에 있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이것은 육안판정에서도 확인되었다. 4) 고추의 향기성분 분석에서 hexane 추출물이 benzene추출시보다 다양한 peak를 보였으며 BSTFA으로 silylatin하여 고추의 향기성분 조성 profile을 얻었으며 이 profile은 고추의 향기성분 및 정미성분의 품질척도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고추의 향기성분으로 benzene dicarboxylic acid의 7종을 확인하였으며, 주요성분으로는 oleic acid와 palmitic acid이다. 6)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에 따라서 향기성분의 특징적인 성분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각 성분의 조성비율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1. Panax ginseng의 재배년수에 따른 내부형태적 차이를 검토한 결과, 소엽신(小葉身)의 주맥부(主脈部), 소엽병(小葉柄), 엽병(葉柄)의 횡절면(橫切面)에 있어서 각각의 특징에 의하여 발육년수(年數)를 판단할 수가 있었다. (Tabel II) 2. 내부형태를 비교검토한 결과, 서울, 부산, 대구, 금산의 「인삼잎」은 원식물(原植物)이 Panax ginseng으로서 대부분이 5년 및 6년생이었으며 부분적으로 4년생이 함유되어 있었다.
갯방풍(防風)의 품질(品質)은 홍색(紅色)의 착색과정(着色過程)에 따라 크게 좌우(左右)되기 때문에 보다 확실(確實)한 착색기술(着色技術)의 확립(確立)이 요망(要望)된다. 따라서 본 실험(實驗)은 갯방풍(防風)의 Anthocyanin 생성(生成)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因)을 구명(究明)하고자 수행(遂行)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온도처리(溫度處理)에 따른 갯방풍(防風)의 발아율(發芽率)은 20/15℃ 에서 가장 높았고, 30/25℃에서는 거의 발아(發芽)가 되지 않았다. 또한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은 25/20℃에서 가장 양호(良好)했다. Anthocyanin 생성(生成)은 15/10℃의 온도(溫度)에서 가장 높았고, 30/25℃의 고온(高溫)에서 억제(抑制) 되었다. 2. 각(各) 온도조건(溫度條件)에서 광처리구(光處理區) 간(間)의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에는 큰차가 없었다. 또한 광(光)은 Anthocyanin 생성(生成)을 촉진(促進)하는 것으로 인정(認定)되었으며, 특히 광(光)의 그 촉진작용(促進作用)은 저온(低溫)에서 더욱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자외선처리(紫外線處理)에 따른 지상부생육(地上部生育)은 전반적(全般的)으로 큰차는 없었지만, 25/20℃에서는 자외선(紫外線) 투과구(透過區)가 자외선(紫外線) 차단구(遮斷區)에 비해 양호(良好)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Anthocyanin생성(生成)은 자외선투과구(자외선투과구)가 자외선차단구(紫外線遮斷區) 보다 많았던 점으로 보아 Anthocyanin생성(生成)에 대한 자외선(紫外線)의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The development of medicinal plants for cut plants and landscape plants were conducted through the literitur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e selected 38 species of medicinal plants including 7 medicinal woody plants for cut plant and landscape plants from 450 medicinal plants. There were 8 species of Compositae, 4 species Ranunculaceae, 3 species Rosaceae and Umbelliferae, 2 species Polygonaceae and Campanulaceae respectively. The anthesis of Cornus officinalis, Magnolia denudata, Forsythia koreana of medicinal woody plants flowering before leaf spreading come to early than the anthesis of other medicinal plants. There were 4 species(11%) over 10cm of the flower diameter, 6 species(16%) over 5cm below 10cm, 19 species(50%) over 1cm below 5cm and 9 species(24%) 1cm below. In terms of flower color, 11 species(29%) were white, 9 species(24%) yellow, 6 pecies(16%) red, 5 species(13%) violet and 3 species(8%) were blue aided violet. In terms of the flowering by month, 12 species(32%) on July, 9 species(24%) on May, 6 species(16%) on June and August respectively, and 3 species(8%) on March. The most medicinal plants were propagated by division and seeding easily, but woody medicinal plants of 7 species of this study were propagated by cutting and grafting easily. The percentage of usage of parts of medicinal plants including woody medicinal plants was that roots were 20 species(53%), flowers 6 species(16%), fruits and all part of medicinal plants were 4 species(11%), and seeds and stem including leaves 2 species(5%) respectively.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전주근교의 만덕산, 용문사, 완주군의 삼계읍, 광주의 무등산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둔눈물버섯(Psaythrella obtusata),주름낙엽버섯(Marasmius leveilleanus),요리솔밭버섯(Omphalina epichysium), 꼽추만가닥버섯(Lyphollum gibberosum), 대솔버섯(Tricholomopsis sasae) 그리고 빛더듬이버섯 (Multiclavula clara)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옻나무과 수종을 대상으로 석엽표본 조사와 현지답사를 통하여 지리적 분포 현황을 확인하였으며, 자생지서 수한 잎과 화서,열매,동아,줄기를 관찰하여 종의 특징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옻나무는 우리나라 전지역에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추운지방에서 많은 재배를 하고 있었다. 잎은 개옻나무에 비해 두꺼웠으며, 열매는 황갈색이었다. 2. 개옻나무는 우리나라 남쪽 먼 일부도서지방을 제외한 전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엽병이 붉고, 열매는 6-7월에 성숙하며 강모가 있는게 특징이었다. 3. 산검양옻나무는 난대지방과 온대남부지방에 폭넓게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36˚이남지방의 해안과 제주도를 포함한 도서지방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주맥과 2차맥의 형성각이 70˚이상이었으며, 잎과 엽병에 많은 털이 있어 검양옻나무와 구별되었다. 4. 검양옻나무는 난대수종으로 제주도와 남쪽 일부 도서지방에만 분포하고 있었으며, 제주도에는 큰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잎은 피침형 내지 장타원형이며 털이 거의 없는게 다른 수종과 구별되었다. 5. 붉나무는 난온대지방에 매우 폭넓게 분포하는 수종으로, 우리나라 전지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해조 800-900m에까지 분포하고, 원추화서는 8-9월에 가지끝에 달리는 것이 특징이었다. 6. 덩굴옻나무는 난대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연천군 광도와 상백도에 천연분포하고 있었으며, 낙엽덩굴성으로 잎은 삼출복엽이고, 질이며 광택이 있고, 뒤로 젖혀지는 특징이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ck shelling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otal distribution area of Linedra erythrocarpa where are Jeondeung temple and Jugsu temple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was 344.4ha and the total number of Linedra erythrocarpa was 3,224. The total number of femle Linedra erythrocarpa was625(22.2%) except the seedlings under 2cm of DBH(Diameter breast of height). For the estimation of tree age by counting of tree ring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1.79X+9.47(R2=0.83, DBH=cm). The soil acidity of stands studied was pH4.6~pH5.8. And the soil acidity of Seoul was pH4.2~pH4.5 So for the Planting Linedra erythrocarpa in Seoul area, the soil acidity of planting area should be changed to pH4.6~pH5.8. The flower size of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flowers per flowering bud of male and female were 13.4, 11.2, respectively. The flower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1 days from May 2 to May 22. And The leaf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03 days from April 7 to October 27. And the fall-foliage color continuing period was 10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7. The fruit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61 days from September 26 to November 26.
땅두릅 여룹철 연화재배(軟化栽培)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흑색(黑色) PE와 은색(銀色) 단섬유불직포(短纖維不織布)를 이용하여 5월 정식(定植)을 포함하여 6월, 7월, 8월 정식기(定植期)에 대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확소요일수(收穫所要日數)는 5월 정식(定植)에서 20일(日)이고 7월, 8월 정식(定植)에서는 15일로 단축(短縮)되었으나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의 적산온도(積算溫度)는 400℃ 범위이었다. 2. 7월 정식(定植)에서 땅두릅 연화수(軟化莖)의 수량(收量)은 고온(高溫)으로 인한 연부현상(軟腐現狀)으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3. 각(各) 부위별(部位別) 경도(硬度)는 상위부(上位部)가 연(軟)하고 하위부(下位部)가 단단한 경향(傾向)이고, 저온저장(低溫貯藏) 7일후(日後)에도 신선도(新鮮度)는 유지(維持) 되었다. 4. 5월, 6월 정식재배시(定植栽培時) 18,000천원/ha 이상(以上)의 소득(所得)을 얻을 수 있었다.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한방(漢方)의 생약재로서 뿐만아니라 식용(食用)으로서의 마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본시험(本試驗)은 정상(正常)마와 분기(分岐)마에서 분리한두부(頭部)를 종근(種根)으로 이용하고 시비방법(施肥方法) (질소멸양(窒素滅量), 측조시비(側條施肥), 관행시비(慣行施肥))를 장(長)마를 재배할시 생육(生育) 괴근(塊根)에 관련된 형질(形質), 수량(收量) 및 상품성(商品性)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여 장(長)마 재배와 상품성(商品性) 제고(提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던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율(出現率), 만장(蔓長), 덩굴의 분지수(分枝數) 및 경수(莖數)는 두부(頭部) 종류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출현일(出現日)은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빠른 경향을 보였다. 시비방법(施肥方法)간에는 정상(正常)마 두부(頭部)를 이용한 관행시비구(慣行施肥區)의 출현율(出現率), 만장(蔓長)및 경수(莖數)가 가장 양호하거나 많았던 반면, 분기(分岐)마 두부(頭部)의 실소감양구(室素減量區)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2. 괴근장(塊根長), 괴근직경(塊根直徑), 개체당(個體當) 및 단보당(段步當) 생체수양(生體收量)은 분기(分岐)마 두부(頭部)보다는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크고 많았으나, 괴근직경(塊根直徑)을 제외한 괴근(塊根)과 관련된 제형질(諸形質)과 수량(收量)은 양공시두부(兩供試頭部) 모두 실소감양구(室素減量區)에서 가장 적었다. 3. 괴근(塊根)의 크기는 분기(分岐)마 두부(頭部)에 비하여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증가되었고 이러한 증가는 개체당(個體當) 분기괴근수(分岐塊根數) 및 분기괴근수(分岐塊根數)의 비율(比率)이 가장 낮아 상품화율(商品化率)이 가장 좋은 측조시비구(側條施肥區)에서 현저하였다. 4. 개체당(個體當) 또는 경제적(經濟的) 수량(收量)은 양공시두부(兩供試頭部) 모두 괴근장(塊根長)과 정(正)의 상관(相關)이, 분기수(分岐數)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이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