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과 기지국 사이에 진행되는 통신 및 핸드폰에 설치된 GPS 장비에 의하여 위치정보가 창출되고, 법 집행기관은 이러한 위치정보에 접근하여 특정 핸드폰이나 이를 소지하고 있는 개인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나아가 기지국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수사기관이 직접 실시간 추적을 할 수도 있다. 이는 현대생활에서 핸드폰의 보편성 등에 비추어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험성이 크고, 이에 대하여 법관이 발부한 영장에 의하지 않고는 수사에 필요한 강제처분을 하지 못한다는 영장주의 원칙의 적용이 문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영장주의를 규정한 미국의 수정헌법 제4조에 대한 미국 법원의 논의는 아직 명확하고 통일된 입장을 보이고 있지 않으나, 최근 판례 등에 비추어 영장주의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 통신비밀보호법은 수사기관이 이동통신사업자에게 핸드폰 기지국 위치정보를 요청하고자 할 경우 법원의 허가를 받도록 개정됨으로써 영장주의 위반 소지가 줄었다.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에는 수사를 위한 위치정보 요청은 규정되어 있지 않은바, 위치정보의 의의, 헌법상 영장주의 원칙,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취지 등에 비추어, 수사기관이 위치정보사업자 등에게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기지국 시뮬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추적하려고 할 경우 법관에 의한 영장을 받아야 할 것으로 본다. 한편, 특정 지역 기지국 내 모든 가입자들에 대한 통신내역과 위치정보 등을 제공받는 일명 ‘기지국 수사’에 대한 논란이 있는바, 남용되지 않도록 법원의 엄격한 판단이 필요하다.
In order to find out the customer requirements and to develop new products more effectively, the Kano model and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developed and applied. But, Many companies difficult to select the CTQ(Critical to Quality) of new product. Especially the life cycle of cell phone is very short. In this thesis, the Kano model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finding the CTQ(Critical to Quality) for customer satisfaction are suggested. It is explained and discussed with the example of cell phone.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휴대전화기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손에 손상을 받은 경험이 없는 47명의 인제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 후에 Nine Hole Pegboard Test(Smith & Nephew Rehabilitation Division version)와 대상자의 휴대전화기로 일정한 문장을 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문자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은 t-검정과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피어만 상관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과 문자 쓰기 속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문자 쓰기 속도가 더 빨랐다. 성별과 오른손 민첩성과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여자가 남자 보다 민첩성이 더 높았다.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손의 손상이 없는 성인에서 휴대전화기의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문자 쓰는 속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 오른손 민첩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능적인 손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와 손 기능에 문제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문자 쓰기 활동이 손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