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어 학습을 위한 웹 기반 한자 사전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 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한자 사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존 사전의 한자 단어 학습의 문제점 을 분석하였다. 한자 단어 학습 시 한자 원어 형태소 인식이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반영한 별도의 팝오버 (popover) 창을 개발하였다. 한자 사전의 미시구조에는 항목, 단어 유형, 발음, 한-베트남어 단어(있는 경우), 한자의 어원, 한-베 소리(voice)가 포함되며, 이밖에 베트남어 어원에 대한 설명, 한자의 원래 형태소 와 관련된 한-베 단어, 번역, 설명, 예시 등이 포함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런 다음, 한자어 형태소와 한자- 베트남어의 발음을 포함하는 어원 틀, 베트남어 및 한자어의 한자 형태소 의미를 포함한 웹 사전을 구성하 고 그 활용 방안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한자어 형태소와 관련된 베트남 단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 프로그래밍 기술,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과정, 300개 규모의 한자 사전 모델을 제시한 기초연구로써 이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웹 한자 사전 구축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development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 variations, and how they fit into the broader study of Chinese characte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rly Japanese kanji and modern Japanese writing systems, as well as the varying approaches of Chinese and Japanese scholars in studying Japanese kanji, we can propose a more fitting classification and naming method better suited to studying Chinese characters. To that end, we take the Wamyō Ruiju Shō (倭名類聚抄) as an example, exhaustively sorting out the situation of variant characters in the manuscript across different eras, and referring to other ancient Chinese dictionaries from the same period. This article introduces concepts like “inherited variants” and “Japan saved variants” to make studying these characters more comprehensive.
As the most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n Korea, Korea's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was originally revised from the Large Chinese-Korean Dictionary(1964) and retained Chinese characters from ancient times to around 1950. Since the initial edition of 1973, the dictionary has been reprinted several times and has not been revised. In view of the deletion of some worthwhile Chinese characters in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on the basis of the Large Chinese-Korean Dictionary, or the inappropriate deletion of some entries, and the many imperfections in the compilation style, such as the lack of illustrations, Chinese phonetic notes and Chinese annotations, etc., this paper holds that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should be revised and properly included and deleted. In addition to the valuable Chinese characters, and improve the compilation style, so that it is more detailed, more convenient for readers to us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 dictionary, expand its capacity, update entries in time, and make it easy for readers to carry, it is necessary to launch the Internet dictionary of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The Dictionary of Chinese Variants Characters (《異體字字典》), compiled by Ministry of Education, has cited 62 philology books and 1242 practical literatures to collect 29892 standard characters and 76338 variant characters. There are 106230 characters in total in The Dictionary of Chinese Variants Characters (《異體字字典》). It is absolutely a large-scale work of Chinese characters.
The Dictionary of Chinese Variants Characters (《異體字字典》) adopts the stratified method. All standard characters and variant characters are well-indexed by establishing links between every standard character and its variant(s). The same criteria of standard character is also adopted by The List of Commonly-used Characters ( 《常用字表》), The List of Less-commonly-used Characters (《不常用字表》) and The list of Rarely-used Characters (《疑难字表》). Meeting the criteria, 29528 characters are eligible. Furthermore, to satisfied the needs of practical use, additional 364 characters are also collected.
Those “standard characters” and “variants”, in the dictionary, not created to be “standard” or “variant”. On the contrary, when a charater is defined as “the standard”, its remaining isomeric siblings would turn into “variants” spontaneously. Therefore, The definition of “variant” in the dictionary is : With the same nature and meanings, but different stracture and form to its standard counterpart.
This article is about the criteria of standard character which adopted by The Dictionary of Chinese Variants Characters (《異體字字典》), and the association between a standard character and its variant(s).
한자·한문을 공부하기 시작한 학생들에게 가장 먼저 난관으로 작용하는 사항이 있으니, 바로 자전을 사용하는 방법을 터득하는 일이다. 자전을 익숙하게 사용하 는 방법의 터득은 일정 기간의 훈련이 필요하다. 자전의 사용법 그 자체를 놓고 공부해야 하는 현상은, 다른 외국어 자전을 사용할 때에는 발생하지 않는 일이다. 이는 3천여 년의 장구한 역사를 지닌 한자의 특수성에서 비롯한 문제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요즈음 학생들이 자전을 사용하는 방법을 터득하기에는, 주위 환경이 30여 년 전과 비교하여 매우 불리하다. 전자 사전이 널리 보급되고 또 인터넷망이 발달함 으로써 전통적인 책자 자전의 사용률이 저하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른 다양한 ‘자전’ 애플리케이션의 개발로 인하여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 상된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는 학생들에게 자전의 활용 방법을 안내해줄 필요가 생겨났다. 곧 자전을 통한 한자 학습이 전자사전 등 여타의 도구를 사용한 한자 학습과는 비교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장점을 지녔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식하도 록 해주어야 한다. 그리하여 비록 자전 사용 방법의 습득이 간단한 일은 아니지만 이를 장악하여 익숙히 사용하는 능력을 배양해주어야 한다. 자전을 활용하지 않고 한자를 학습할 경우 모호한 정보로 인하여 한자에 대한 이해가 잘못되고 학습 의욕이 저하되는 폐해가 발생할 수 있다. 자전을 사용하고 자 할 때 자음색인, 총획색인, 부수색인을 이용하는 세 방법 모두가 그다지 쉽지 않은 일임도 사실이다. 하지만 한자·한문 학습자는 자전을 사용하여 공부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자전의 구성 면모 서문, 범례, 본문, 부록, 색인 등을 소개하 였고, 마지막으로 자전의 효율적 사용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자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구체적 방법으로는, 분류수록 체계의 장점을 활용 하는 방법, 의항의 관계에서 파생 원리를 터득하는 방법, 표제어의 숙독을 통해 어휘력을 신장하는 방법, 용례와 어휘에서 전통 문화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키는 방법 등 네 가지를 제시해 보았다. 『論語』에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장인이 자기 일을 잘하고 싶으면 반드시 먼저 그 연장을 예리하게 갈아 놓아야 한다.]라는 말이 있다. 한자·한문을 공부하 는 사람에게 자전은 가장 기본적인 연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자전이라는 연장 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은 학습 효과가 시간이 갈수록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이 자전이라는 연장을 예리하게 만들 어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일정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