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fungal activity of varying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extracts from native plants (Vitex rotundifolia, Tetragonia tetragonoides, Artemisia capillaris, Hibiscus hamabo and Ficus carica) against Stemphylium vesicarium, Penicillium italicum, Sclerotinia sclerotiorum, Pythium ultimum, 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Mycelium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generally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ollowing treatment with the water extracts from donor plants. Closer analyses indicate varying inhibitory capaci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onor plant and pathogenic bacteria. Specifically, mycelium growth of S. vesicarium vari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 extracts from T. tetragonoides (r = -0.857, p<0.01) and A. capillarys (r = -0.868, p<0.01). Also, P. italicum and V. rotundifolia (r = -0.833, p<0.01), S. sclerotiorum and V. rotundifolia (r = -0.862, p<0.01), A. capillaris (r = -0.902, p<0.01), B. cinerea and T. tetragonoides (r = -0.896, p<0.01)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The rate of mycelial growth inhibition of pathogenic bacteria analysed are as follows: P. ultimum 94%, B. cinerea 50%, C. gloeosporioides 80% in 100% treatment of T. teragonoides. A. capillaris inhibited S. vesicarium by 43%, P. ultimum by 90%; H. hamabo inhibited P. italicum by 50%, S. sclerotiorum by 26%, and F. carica inhibited R. solani by 74%. Total phenol content with antifungal activities are as follows: A. capillaris 16.15 mg/g, F. carica 7.81 mg/g, V. rotundifolia 6.18 mg/g, H. hamabo 5.25 mg/g, T. tetragonoides 4.41 mg/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s as follows: A. capillaris 27.57 mg/g, V. rotundifolia 12.49 mg/g, F. carica 11.45 mg/g, H. hamabo 5.77 mg/g, T. tetragonoides 5.08 mg/g.
        2.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조사는 진해시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체계적으로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환경보전의 기초자료 제공과 더불어 자원식물적 접근을 통해 차후 생물자원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한 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장복산, 안민고개, 화산 일대에 분포하는 전체 식물현황은 98과 286속 394종 49변종 4품종 등 447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지역별로는 장복산이 80과 210속 261종 35변종 4품종 등 300분류군, 안민고개가 66과 152속 178종 27변종 1품종 등 206분류군, 화산 일대가 90과 232속 294종 34변종 3품종 등 33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뻐꾹나리, 호랑버들, 소사나무, 가는장구채, 할미밀망, 자주꿩의다리, 매화말발도리, 조팝나무, 해변싸리, 개나리, 병꽃나무 등 10과 11속 10종 1품종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보존순위 97번인 뻐꾹나리와 202번인 태백제비꽃이 화산 일대 계곡에서 발견되었으며, 이에 대한 보전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애기수영, 소리쟁이, 방가지똥, 서양민들레, 토끼풀 등 11과 18속 21종 1변종 등 2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자연파괴도는 약 8.3%, 귀화율은 약 4.9%로 산출되었다. 자원식물 분포를 살펴보면, 장복산 일대는 관상용 147종, 약용 218종, 식용 182종, 기타용 151종이고 안민고개는 관상용 91종, 약용 155종, 식용 129종, 기타용 100종으로 나타났으며, 화산 일대는 관상용 167종, 약용 236종, 식용 195종, 기타용 155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