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정호(작물시험장) 이호진(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허일봉(작물시험장) 김시주(작물시험장) 김충국(작물시험장) 조현숙(작물시험장)
        4,000원
        2.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tillage silage corn with legume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HV) has renewed interest in supply of mineral N, soil erosion control at sloping land and weed control by cover of HV kill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concentration of soil mine
        4,000원
        3.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can produce high-N residue due to N-fixation, so soybean rotation may increase yield of subsequent corn and reduce N fertilizer on the corn fairly. To find out the contribution of nitrogen to subsequent corn following soybean cultivation, soil nitrate, corn yield, and nitrogen uptake were measured for three continuous corn cropping years after soybean rotation. Three N rates of 0, 80, and 160 kg/ha were applied to three continuous corn following soybean cropping. At 6-leaf stage, soil nitrate amount at the soil depth of 0-30cm ranged from 60 to 80 kgN/ha higher in the first corn cropping year than that in the second and third corn cropping years. Judging from corn N status such as SPAD value, N concentration of ear-leaf and stover at silking stage, N contribution of previous soybean to corn in the first corn year was N fertilizer of approximately 80 kg N/ha. Stover N uptake at silking stage increased from 47 to 52 kg N/ha at the 0, and 80 kg N/ha of N rates in the first corn cropping year compared with those in the second and third corn cropping years. Corn grain yield at the 0 kg N/ha of N rate was 6-7 ton/ha higher in the first corn cropping year than that in the second and third corn cropping years, respectively. When compared the first corn year following soybean cropping with the second and third corn cropping years, N uptake of grain and stover at harvest with low N rates such as 0 and 80 kg N/ha increased from 45 to 67kg N/ha, from 35 to 60 kg N/ha, respectively. N uptake of whole plant by soybean rotation increased from 93 to 118 kg N/ha in the first year compared with that in the second and third corn cropping years. However, the N contribution by soybean cropping was small in the second and third continuous corn cropping year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nitrogen fertilizer of 80-100 kg N/ha in the first corn cropping year could be saved by soybean rotation and annual alternative corn-soybean rotation could be the best rotation system
        4.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옥수수의 수량을 상품성 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이삭 크기별 시장가격을 적용한 조수입으로 평가하였을 때 이들 수량평가방법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단옥수수 품종 Golden Cross Bantam 70을 질소시비량(0, 5, 10, 15, 20kg/10a)을 달리하여 0.03mm 투명 P.E. film 피복하에서 재배하였다. 출아후 30일과 44일에 초장과 분벽수를 조사하였고, 이삭조사는 출사후 25일에 수확하여 포엽을 제거한 후 이삭의 수, 크기, 무게를 조사하고 무게별 이삭수, 10a당 상품성 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조수입을 조사하였다. 1. 초장, 간장, 착수고, 분벽수는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고 출사기는 1-2일 빨랐다. 2. 수확기의 주간 엽면적지수는 1.5-1.9이었으며,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3. 이삭의 질소함유율은 지비량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경엽의 질소함유율과 총질소흡수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질소이용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4. 상품성있는 이삭은 도매시장가격에 따라 상품(포엽 제거한 무게 150g, 포엽 포함한 무게 350g이상)과 중품(포엽 제거한 무게 100-150g, 포엽 포함한 무게 180-230g)으로 분류하였다. 가격은 출하시기, 상품의 품질 및 년차에 따라 현저히 달랐다. 5. 상품성있는 이삭이 평균 길이, 굵기, 무게는 질소시비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6. 포엽을 제거한 이삭무게가 150g 이상인 상품비율과 10a당 100g 이상의 상품성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크기별 가격과 이삭수를 고려한 조수입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7. 10a당 상품성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크기별 가격과 이삭수를 고려하여 계산한 조수입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질소시비량이 많을 때 상품성있는 이삭수와 무게로 수량을 평가하면 조수입보다 다소 과소평가되었다. 8. 이삭을 수확한 후 경엽의 건물수량은 740-963kg/10a으로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건물함량은 20.8-24.5%이었다. 9. 흑조위축병은 11.8-15.0% 리병되었으나 질소시비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