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의 목적은 간척지 토양에서 다른 EC처리에 따라 향부자와 갯방풍의 생장 및 기능성물질 차이를 분석 하고자 수행하였다. 향부자와 갯방풍 종자를 트레이에 파종 후 8주간 온실에서 육묘하였고 새만금 지역에서 채취한 간척지 토양을 담은 포트에 이식하였다. 식물은 EC농도에 따라, 대조구, 1, 2, 4, 8dS·m-1 조건으로 12주 간 실험을 진행했고 추가로 간척지 토양에서의 EC 1dS·m-1 과 원예용 상토를 구분하여 생육을 비교했다. 향부자의 초장, 엽장 엽폭은 EC 1dS·m-1 에서 가장 높 았다. 엽수, 화방 수, 인편 수는 EC 2dS·m-1 에서 가장 크고 EC 8dS·m-1에서 가장 적었으며, SPAD는 EC 2와 4dS·m-1 에서 가장 높고 EC 8dS·m-1에서 가장 낮았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은 EC 2dS·m-1 까지 증가하다 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값이 감소했다. EC 1dS·m-1 조건에서 간척지토양과 원예용 상토에서 자란 작물의 생육을 비교했을 때 SPAD, 엽수, 화방 수, 인편 수, 지상부 와 지하부의 생체중은 원예용 상토에서 더 높았다. 갯방 풍은 모든 생육 조건에서 EC 8dS·m-1가 가장 낮았으며 EC 8dS·m-1을 제외하고 다른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향부자는 EC 1dS·m-1에서 pcoumar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갯방풍의 지상부는 catechin의 함량이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지하부는 EC 1dS·m-1에서 benzo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간척지 토양을 EC 4dS·m-1 이내로 관리 할 수 있다면 향부 자와 갯방풍의 재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Cyperus rotundus rhizome steam distillate constituent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o adult females and males of the susceptible KS-BG strain and field-collected SR-BG and DR-BG colonies of Blattella germanica (L.) was examined using residual contact + fumigant and vapor-phase mortality bioassay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ree organophosphorus (chlorpyrifos, dichlorvos, and fenitrothion), three carbamate (bendiocarb, dioxacarb, and propoxur), and three pyrethroid insecticides (bifenthrin, cypermethrin, and deltamethrin). In contact + fumigant mortality bioassay, p-cymene (LC50, 0.33 mg/cm2) was the most toxic terpenoid, followed by o-cymene, m-cymene, β-pinene, 1,8-cineole, and α-pinene, (LC50, 0.44–0.92 mg/cm2) against female B. germanica. These terpenoids were less toxic than the insecticides tested. Females were 3.1–3.6 times more tolerant than males to three cymene compounds. The toxicity of these monoterpenoids were almost identical against females from either of the three strains, even though the SR-BG and DR-BG females exhibited resistance to bifenthrin [resistance ratio (RR), 96 and 17], cypermethrin (RR, 67), deltamethrin (97 and 66), dioxacarb (19 and 22), and propoxur (24 and 32). In vapor-phase mortality bioassay, these monoterpenoids were effective in closed but not in open containers,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these compounds was largely a result of vapor action. C. rotundus rhizome steam distillate and its constituents merit further study as potential insecticides for the control of insecticide-resistant B. germanica populations as fumigants with contact action.
        5.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향부자 주산단지의 생산실태와 경영경제적 현황 파악을 위하여 경북 고령군 다산면 2개마을 137농가와 관련기관, 단지임원, 가공업자 등을 대상으로 주산단지의 발전과정과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향부자 주산지인 고령지역의 향부자 재배면적은 185ha로 전국의 88%를 차지 하였고, 재배농가의 규모는 호당평균 0.6ha로 약초재배에 있어서는 비교적 규모가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재배, 가공, 출하 등이 통합되어 단지가 조성되어 있었다. 2. 재배농가의 대부분이 낙동강변의 하천부지에 여름철 강우시 침수되는 유휴지를 활용하여 재배 과정에서 노동조방적인 영농형태를 취하여 경지활용도가 낮은 지대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었다. 3. 종묘는 저장한 종근을 이용하였고, ha당 복합비료 (17-21-17)를 1,000kg 사용하였으며, 포장 관리에 있어 제초작업은 농가와 포장여건에 따라 약제처리 및 인력을 적절히 이용하였다. 4. 수확은 자체 개발한 트렉터 부착기를 이용하여 생력화하였고, 각 농가에서 1차가공한 것을 가공공장에 넘겨, 선별→거모→세척→절단→건조과정 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였다. 5. 재배농가의 ha당 평균수량은 6,280kg이었고, 소득은 3,880천원이었는데, 최근에 향부자 근당가격이 1,500원으로 낮게 거래되어 재배면적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