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소설이 인도네시아어로 번역될 때 발생하는 문화적 요소와 관련된 번역의 어려움을 규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번역 전 략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 텍스트 번역 과정에서 문화소는 가장 까다로운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지며 이는 특정 어휘 선택뿐만 아 니라 번역자의 문화적 역량 또한 요구한다. 많은 언어학자와 번역학자 들이 문화소의 정의, 분류, 및 번역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여전 히 명확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소설과 인도네시아어 번역본을 비교 분석하여 다양한 문화소를 유형별로 분류하 고 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번역 절차와 전략을 분석했다. 번역 절차의 결과를 이국화와 자국화 전략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자국 화 전략이 68%로, 이국화 전략 32%에 비해 36% 더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다. 이는 번역 과정에서 원문 문화를 그대로 유지하기보다는 대상 독자의 문화적 맥락에 맞추어 적응시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한국어 문학 작품의 문화소를 번역하는데 사용된 전략과 절차 를 논의함으로써 번역자들은 자신들의 번역에 적절한 절차를 선택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원주의’는 현대 미술을 비롯해 문화 현상의 특성을 지칭하는 용어 이다. 현대 미술이 ‘다원주의’적 특성으로 설명되는 이유는 획일화를 지 양하고, 다양화의 경향으로 변모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 원주의’ 시대의 미술은 동서 간의 차이를 비롯해 장르들 간의 구분, 그리 고 전문성에 기초한 예술 범주들 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해체되는 상 황을 나타내는 통합적 성격의 용어라고 하겠다. 이 논의는 현대 미술의 다원화 현상으로 관찰되는 여러 쟁점들과 그 쟁점의 이면에 잠재되어 있는 문제들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렇다 고 해서 특정한 결과를 추출하기 위한 시도는 아니며, 미술계나 문화계, 그리고 사회 전체가 함께 고민해 볼 필요가 있는 문제들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문제의 초점은 국제화로 일컬어지는 요즘의 현대 미술에 서 간취되는 동서 미술 간의 문제, 그리고 첨단 정보통신시대에 미술에 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검토하고 긍정적 미래에 대한 제안에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some aspects of the Jeju 4.3 Grand Tragedy (the Jeju Tragedy) education and informing process. We hope to not only with these aspects show some aspects of moral origin of the Jeju World Peace Island movement, but to share a culture of peace with world citizens through world civilization education cross the Pacific at a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 In addition bring liberty to the cause of national freedom of the SAM IL movement of 1919 in Korea. it actualizes itself as a peace buffer zone locally, nationally and globally through the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JWPIT,” based on international agreement of the Six Talks Nation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at they (Jeju islanders) will follow the pattern of the SAM IL movement of 1919 with the participants imbued with the spirit of sacrifice to life and liberty to the cause of national freedom (G-2 Summary Report)” as a moral origin of Jeju World Peace Island. Globally, one New Haven teacher has been working on an elective course called “The Power of Culture in a Multicultural World” in which to use social studies tool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culture. Jeju offer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explore a culture that few New Haven students are familiar with. It will be for students to use the Jeju idea of turning troubles into opportunities, as a vehicle for addressing local issues” (“New Haven Learn- Teach Jeju 4.3,” New Haven Independent: March 29, 2017). Another New Haven teacher in his history class explains the different components of genocide. “Although the Jeju 4.3 events are not deemed genocide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sing this as a lens to understand broader concepts seemed really exciting.” Jeju offers educators an opportunity to teach the curriculum but instead of gratuitous death and violence, there is a legacy of hope, healing, reconciliation and remembrance.” (Ibid, New Haven Independent: March 29, 2017). Locally and partially on the global level, “The Resurgence of Jeju 4.3 Social Healing Advocacy of “PETITION FOR A JOINT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JEJU 4.3 INCIDENT TASK FORCE TO FURTHER IMPLEMENT RECOMMENDATIONS AND FOSTER COMPREHENSIVE AND ENDURING SOCIAL HEALING THROUGH JUSTICE” (March 27, 2014). The petition supports a combined solution to social healing for numerous survivors of Jeju 4.3. Based on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Jeju 4.3 Victim Family Association, 20% of them are now elderly and require expensive medical care and assistance. Many continue to suffer from psychological trauma (PTSD). It serves as a beacon of international peace in the same vein as May 24, 2015’s event, “Women Cross DMZ Demilitarized Zone.” Jeju itself aims to serve as a “Peace Buffer Zone” between the two Koreas among 6 Nations Talk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similar to Costa Rica. Never before has the need for a Peace Island in the region been so vital, with China stretching its reach across the ocean, and President Trump flexing his muscles against North Korea, the time has come for serious peacemaking, that is, prevention of conflict. It’s a real time to think about actualization of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for Peace between two Koreas.
본 논문의 목적은 존 던이 지은 『성시』1, 5, 그리고 19번에 나타난 시적 화자들의 영적 어두움에 대한 종교적인 체험과 화자들이 이러한 내적 불안성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존 던의 작품 전체를 통해 보았을 때 그는 인간의 죄, 두려움, 그리고 죽음의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한 작가이며 이러한 면모는 그의 『성시』를 통해 더 강렬하게 나타나 있다. 특히 화자들의 영적인 어두운 면과 부합되어 복잡 미묘하게 그려지고 있다. 화자들은 신에 대한 믿음과 열정에 대해 불안한 심리 상태를 공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자신들이 과거에 범한 그릇됨과 이에 대해 내려질 신의 심판에 대한 두려움과 연관되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유사점 이외에도 세 가지 시들은 시적 화자들이 영적 암흑 내지는 신앙의 어려움에 대해 어떻게 다르게 반웅하고 있는가도 드러내주고 있다. 아울러 화자들은 이러한 신앙의 문제들을 직면함에 있어서 이를 해결하고자 각자 나름대로 노력하는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그들이 신의 자비와 은총 그리고 죄를 정화시켜 주는 전지전능함에 전적으로 의탁함으로써 가능해짐을 잘 묘사해준다. 존 던은 이러한 궁극적인 신앙의 자세를 잘 그려주고 있지만, 아울러 시적 화자들이 영적인 회개와 강인함올 얻어가는 과정에서 인간의 나약함과 딜레마를 어떻게 대면하는가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