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pply and demand patterns have dynamically chang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d global competition. Firms have selected quality and price as competition components and have accomplished corporate innovation in order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Innovation has been recognized as the way to enhanc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to continuously grow in churning global competition (Homburg, Schwemmle, & Kuehnl, 2015; Moon, Miller, & Kim, 2013). Although innovation becomes a common means to improve a firm’s performance, it has the limitation of achieving a firm’s strategic goal as a long-term strategy. Thus, firms need to have more fine-grained strategies to survive in dynamical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design innovation (Moon et al., 2015). For example, Apple has produced its products (e.g., iPhone, iPod and iPad) focusing on innovative product design to influence consumer purchase intention. Design can lead to a distinct competitive advantage (Bolch, 1995). Furthermore, product design can be used by firms to create amd enhance brand recognition, as well as to increase firms’ value (Mozota, 2002). Brand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s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Brakus, Schmitt, & Zarantonello, 2009). Thus, we assume that design experience and product innov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and customer value. However, while the importance of design innovation is recognized, it is not easy to apply the design innovation to marketing due to the lack of relevant research in the field. In fact, relevant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innovative new product design and design experience on customer value is scar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brand experiences and innovative product design affect customer value. Successful innovation is accomplished by identifying customer needs first and developing innovative products to satisfy their needs (Hauser et al., 2006). Design is seen as the core of innovation and the moment when a new object is conceived of, devised, and shaped in a prototype form (Landwehr, Wentzel, & Herrmann, 2013). Verganti (2008) studies the concept of "user-centered design," which describes how companies can use design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s with users and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user needs. In this research, design innovation has three dimensions: aesthetic attributes, feature attributes, and emotional attributes. First, aesthetic attributes focus on the product design itself. The aesthetic appearance of a product has a large bearing on its potential market share (Liu, 2003). Second, feature attributes focus on the product features and functional aspects that are required to satisfy customer needs. Feature attributes enable performance that can give results in the operating process (Crawford & Di Benedetto, 2007). Third, emotional attributes focus on consumers’ feeling when they purchase a new product to satisfy their needs. Emotional attributes are generated by consumers’ experience when they purchase a new product in the store. The more the product design satisfies customer's emotional needs, the more customers’ attention is attracted to the purchase of a product (Mokarian, 2007). A product satisfying the aesthetic, feature, and emotional attributes through design innovation provides a new experience to customers (Desmet & Hekkert, 2007). A consumer’s purchase decision making is affected by bot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and the function of product (Brakus, Schmitt, & Zarantonello, 2009). Therefore, a designer comes to design the product, taking an interest in the experience that the product gives besides its shape and function. Product experiences occur when a customer interacts with the product ̶ for example, when customers search for, examine, and evaluate products (Hoch, 2002). The product experience can be direct, i.e. when there is physical contact with the product (Hoch & Ha 1986) or indirect, i.e. when a product is presented virtually or in an advertisement (Hoch & Ha 1986; Kempf and Smith 1998). Brand experience can be split into four dimensions (sensory, affective, intellectual, and behavioral), which are differentially evoked by various brands (Brakus, Schmitt, & Zarantonello, 2009).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se four experience dimensions (sensory, affective, intellectual, and behavioral experience dimensions) have a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Customer value can be defined as the trade-off between the benefits and sacrifices as a customer purchases a product or service from a supplier (Ulaga & Chacour, 2001). Ulaga and Chacour presented three dimensions of customer value: product-related components, service-related components, and promotion-related components. The researchers argued that customer value could be an important strategic marketing tool to clarify a firm's proposition to customers. Product-related components are intrinsic product characteristics. Product quality is a key factor of relationship value (Ulaga, 2003). Customer value consists of product value and service value. Customer value can be enhanced by quality, diversity, payment, and service quality and decreased by price, convenience, and risk (Jarvenpaa & Todd, 2003). Service-related components include all aspects of servic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Various service compon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a supplier's offering (Narus & Anderson, 1996). Promotion-related components include all items used to promote the product to the customer. For all purchasing processe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perceived customer value, such as service quality and promotional quality (Qualls & Rosa, 1995).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a research survey with 300 subjects and analyzed the data.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was used. In order to test the validit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Measurement was made for 3 variables, i.e. design innovation, design experience, and customer value. Three variables (aesthetical attributes, feature attributes, and emotional attributes) were used for design innovation. Three types of attributes were introduced for a mobile phone design innovation. Four dimensions (sensory, affective, intellectual, behavioral) were measured using a technical design experience and a humanistic design experience. Three variables (product-related customer value, service-related customer value, and promotion-related customer value) were employed for customer valu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demonstrate that design inno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design experience, while design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value. Aesthetic attributes of design innov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echnical design experience and humanistic design experience. Feature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ical design experience and the humanistic design experience. Emotional attributes have an effect on the technical design experience and the humanistic design experience. The technical design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related customer value, service-related customer value, and promotion-related customer value. The humanistic design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related customer value, service-related customer value and promotion-related customer value.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to empirically examine how customer's experience in design innovation affects customer value. Our results will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xamining a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garding how design innovation influences customer value through design experience. It is intended to give a direction as to the design innovation of firms by clarifying and presenting antecedent factors having an effect that design innovation produces on customer valu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inspire designers to design in consideration of design experience. Finally, our study will provide marketers with guidelines as to how design experience can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3,000원
        2.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ues of importance contained in interactive processes between students with cultural diversity and networked systems can offer meaningful insights into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This paper revisits significant and seminal research contributions in the fields of technologically- mediated communication and culture to bring insights into designing effective technologically-mediated learning environments for culturally diverse students. In support this, a wide range of existing researches were reviewed. Mainstream of research focusing paralinguistic cuing and technologically- mediated communication were analyzed and then terms of culture and instructional design were elaborated in an attempt to prove the assumption of the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presented thus far, there is good reason to conclude that technology-mediated communication involves a complex multimodal process requiring not only speech, but also gaze, gesture, and facial expressions. By furthering ou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cultural diversity in technologically- mediated learning environments, we surely ensure that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s emerge.
        4,900원
        3.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대한 고층건물의 응답특성, 그리고 지진응답에 미치는 중력하중의 영향과 중력하중의 영향이 내진설계에 미치는 중요성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예제 구조물에 대한 정적해석 및 지진하중에 대한 동적해석을 하였다. 지진에 대한 고층건물의 지진응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탄성 변형의 건물 높이에 따른 분포를 알아보았다. 지진이 발생하면 휨모멘트 요구도가 건물의 상부층보다 하부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증가해서 설계모멘트와의 차이가 건물의 하부층으로 갈수록 더 커진다. 그 결과 현재 쓰이는 내진설계방법에 따라 설계된 예제 건물들은 지진에 대하여 비탄성 응답이 건물의 각 층마다 서로 다르게 발생하는데 주로 건물의 하부층에서 큰 비탄성 응답이 발생한다. 또한 설계시에 고려된 중력하중 때문에 구조적 손상이 건물의 꼭대기 층에서 아래로 갈수록 크게 증가한다. 구조물의 지진응답에 관하여 중력하중은 보의 항복시간을 앞당기며, 보의 양단의 소성힌지에 각기 다른 비탄성 거동을 유발시킨다. 그러나 중력하중에 의한 초기 휨모멘트의 영향은 보가 비탄성 거동을 계속함에 따라 재분배되어 보의 양단에서 그 영향이 감소되며 비탄성 변형이 계속되면 크게 감소한다. 중력하중에 의한 초기 휨모멘트의 영향이 감소는 고층건물의 내진설계에 있어서 중력하중의 영향이 주는 의미는 기둥과 보의 휨강도를 결정할 때 현재의 방법보다 중력하중의 영향을 줄이고 지진하중의 영향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4,600원
        4.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에는 현대미술관들은 전문가들의 지식 교류의 장인 동시에 예술과 문화와 삶의 경험의 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관람 할 미술관을 검색할 때, 대중들은 SNS를 통해서 검색하여 전시회의 내용을 스마트폰으로 쉽게 접한다. 이런 사회적 트렌드 는 현대미술관의 변화 뿐만 아니라 전시를 홍보하는 방법도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SNS마케팅 및 홍보 디자인 전략을 일본 모리미술관과 영국 테이트 갤러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두 미술관을 선정한 이유는 모리 미술관과 테이트 모던은 각 나라의 수도에 위치하고 있어, 그 나라의 문화예술의 대표성을 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그 나라를 방문하 는 외국인에게 반드시 방문해야 할리스트에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모리 미술관은 일본의 인스타그램의 높은 인기로 인스타그램 활용율이 높다. 반면에 테이트 갤러리는 전 세계 트렌드에 맞춰 페이스북 중심으로 미술관 SNS마케팅 전략적으로 펼치고 있다. 모리미술관의 전략은 첫째 문화 예술은 경제적 이익보다 우위에 있다는 철학 반영한 브랜딩을 하였다. 둘째 모리미술관은 전시관 내 사진 촬영 허용 및 체험이 자유로운 관람 문화로 변화를 일으켰다. 셋째 모리미술관은 내부의 커뮤니케이션 및 SNS담당 전문가 고용하여 미술관 계정 사진 및 게시 순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테이트 미술관은 일관성 있는 브랜딩으로 품질 보증하여 신뢰감을 높이는 작업을 먼저 하였다. 둘째 테이트 디지털팀은 Facebook과 Tate Modern 홈페이지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SNS전략을 활용했다. 셋째 테이트는 전 세계 관객을 대상으로하는 질문 이벤트, 동반성장 전략을 활용한다. 모리미술관과 테이트모던이 이렇게 국제적으로 높은 대중적 인기를 갖추게 된 데에는 SNS공유 및 콘텐츠 검색이 중심 역할을 했다. 앞서 관람했던 사람들이 좋았던 경험들을 사진, 글, 해시태그로 업로드 하고, 관심 있는 이들을 검색해서 보게 된다. 앞서 경험한 이들이 행복해 보이는 장면을 보고 직접 경험해 보고 싶다는 마음을 품게 되는 것이다. 미술관 관람객들은 그들 스스로 경험할 것을 찾아내고 실천하고 확산시킨다. 우리나라 미술관들도 SNS전략 및 그 기저의 예술의 사회·문화·융복합적 가치를 담은 풍성한 디지털 콘텐츠로 미술관 역량의 확장이 요구된다.
        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 각국의 소비자들은 알레시사 디자인을 선호하고 있다. 주방기구를 넘어 생활 속의 예술이 경험되는 오브제로서의 기 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며, 사용과정에서 인식되는 기능성과 감각적 대상으로서의 매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알레시사는 1921년 조바니 알레시(G. Alessi)에 의해 창업되었으며, 아들 알베르토 알레시(Alberto Alessi)를 통해 명품 생 활용품 디자인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알렉산드로 멘디니(A, Mendini)가 디자인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디자인 제조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알레시사는 오늘날 “꿈을 만드는 공장”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감성적 기능 만이 아니라 재료와 목적에 상응하는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는 디자이너들의 개성을 존중하 는 반면에 기업 내부에 소속된 디자이너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알레시사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디자이너들의 개인적 성향에 따라 함축적 내용에 대한 차이들을 보이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들의 디자인에 내제되어 있는 함축성의 특징과 그 차이를 포착하여 비교함으로써 알레시사의 디자인에 대한 특징 이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였던 디자이너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디자인경향에 대 한 고찰과 비교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함축적 내용에 대하여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ie Traumfabrik Alessi seit 1927 (Alberto Alessi, Koenemann. 1998)”에 근거하여 알레시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였던 13인의 대표 디자이너를 선정하였다. 디자인에 내제된 은유적 특성 즉, 디자인 함축성을 분석을 위해 해석학적 차원에서 제시되었 던 툴(Tool)을 사용하였으며, 평가에는 대학원생과 학부 전공자 50인이 참여하여 설문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최종적으로 등급화 하였다. 이를 통해 알레시사 디자인의 함축적 특성과 정체성 유지를 위한 디자인 전략의 실체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