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를 검토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서비스 기업의 개인적·조직적 주요 변인을 검증하여 교육적 조직으로서의 교육서비스 기업의 실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 확보 의 토대가 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교육서비스 기업 임직원을 연구대상으로 설 정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40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SPSS 26.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행된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 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서비스 기업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정(+) 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과 조직의 학습조직화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리더십, 학습조직화, 자기효능감 등 교 육서비스 기업의 개인 및 조직 변인 관계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6,400원
        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육군의 직무보수교육 기관 중 하나인 육군대학의 리더십 교육에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적용 하기 위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육군 영관장교의 리더십 역량을 도출하 기 위해 먼저 군 리더십에 관한 문헌 11편을 분석하여 22개의 리더십 역량 풀을 도출하였다. 이후 국방대 학교 리더십 전공 석‧박사과정 학생장교 11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10개의 리더십 잠정역량을 도출하고, 역량별 정의와 하위요소를 구체화하였다. 군 리더십 교수/교관 11명을 대상으로 3차례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통해 영관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을 확정하였다. 이는 책임감, 회복탄 력성, 창의력, 군사지식, 지적수용력, 상황판단/결심, 솔선수범, 의사소통, 동기부여, 팀워크 배양, 부하개발 이다. 이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조사를 위해 현재 육군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장교(소령) 407명을 대상으로 리더십 핵심역량별 바람직한 수준(중요도)과 자신의 현재 수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설문결과에 성실하게 응답한 2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분 석을 통해 Borich 요구도가 상위 50%에 속하며,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제 1사분면에 있는 군사 지식, 회복탄력성, 의사소통, 동기부여, 부하개발을 최우선 역량으로 판단하고, 제 2사분면에 있는 상황판 단/결심을 차선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군사지식은 육군대학 전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하므로 제외하였다. 이 결과는 육군대학의 리더십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5,8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 수준과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을 알아보고,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이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시와 Y시 소재 학원 6곳에서 중고등학교 수강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중 회수된 393명의 설문을 빈도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 수준은 전체 평균 3.72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전체 평균은 3.46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과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학원 수강생의 긍정 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모두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관계가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원 수강생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써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학원 강사의 코칭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700원
        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과 교사가 업무 및 학교생활을 통해 얻어지는 만족도와 학교조직과 학생 및 수업에 대한 애착의 정도를 나타내는 교사헌신 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중·고등학 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409부를 회수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 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일터영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영성은 소명의식을 제외하고는 교사만족 교사헌신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터영성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수업 헌신 간에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만족 및 조직헌신 간에는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터영성이 학교조직성과에 중요한 변인임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학교장은 교 사의 일터영성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여 조직의 성과를 높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