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승강기 보유 대수는 2023년 12월 기준 약 84만 대로 세계 7위에 달하며, 매년 약 3.1만 대의 신규 승강기가 설치되어 세계 3위의 승강기 대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승강 기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고장 및 사고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 소방청의 구조 활동 분석에 따르면 승강기 사고 및 고장으로 인한 구조 인원은 23,856명에 달하고, 119 출동 건수는 33,114건에 이른다. 이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안전 비용은 약 340억 원으 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 접수 된 96,577건의 고장 데이터와 330건의 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승강기 고장과 사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역별, 용도별, 연도별 분석을 통해 고장률과 사고비율 간의 관 계를 파악하고, 통계적 상관분석을 통해 고장이 반드시 사고로 이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 다. 특히 고장률과 사고율 사이에 명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부에서는 음의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승강기 고장과 사고가 개별적으로 관리되어 야 하며,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철저한 유지관리와 안전조치에 따라 사고 발생은 예방 가능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An accident related with elevators can cause death or serious injury of operators or passengers. This kind of a fatal accident is due to a failure of elevator. The reduction of failures of elevators is important to reduce the occurrence of elevator accident. Thu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failure of elevators using the failure data of elevator.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used to make a maintenance process of elev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