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승강기 보유 대수는 2023년 12월 기준 약 84만 대로 세계 7위에 달하며, 매년 약 3.1만 대의 신규 승강기가 설치되어 세계 3위의 승강기 대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승강 기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고장 및 사고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 소방청의 구조 활동 분석에 따르면 승강기 사고 및 고장으로 인한 구조 인원은 23,856명에 달하고, 119 출동 건수는 33,114건에 이른다. 이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안전 비용은 약 340억 원으 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 접수 된 96,577건의 고장 데이터와 330건의 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승강기 고장과 사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역별, 용도별, 연도별 분석을 통해 고장률과 사고비율 간의 관 계를 파악하고, 통계적 상관분석을 통해 고장이 반드시 사고로 이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 다. 특히 고장률과 사고율 사이에 명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부에서는 음의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승강기 고장과 사고가 개별적으로 관리되어 야 하며,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철저한 유지관리와 안전조치에 따라 사고 발생은 예방 가능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Project implementation plan is a blueprint that confirms project performance activities and specifies required man-hour, period and resource imput ratio. Various figures, the results of implementation plan, are predicted through estimation, and because of superiority of objectivity and repeatability, numerical formula-based estimation model is often used overseas. COCOMO model is the representative estimation model whose theories and formulas are publicized and it predicts the total man-hour required for software system development. This model is publicized in "Software Engineering Economics" written by Professor Barry Boehm of the U.S., and is the most widely applied numerical formula-based estimation model.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a series of methods that are optimal for KTDS environment by choosing COCOMO II model among various types of COCOMO models. In establishing implementation plan, COCOMO II model alone is not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and apply standard WBS system and standard man-hour. In establishing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phased standard WBS system in order of the first phase of all the activities implemented in the project, Activity, Task, and Role, and the man-hour put into this should be distributed according to standard ratio from COCOMO II model's total man-hour. This study provides explainations by establishing standard WBS system and linking with COCOMO II model.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대성이 반영된 각종 잠재적 위험요소와 원자력(방사선)발전의 위험성 대 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문 대상은 다양한 계층으로 하고 그 중에 총 293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잠재 적 위험요소 중에서 화재에 대한 위험도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방사선 테러와 핵(원자력)에너 지의 위험도를 다른 위험요소들에 비해 비교적 높게 인식하였다. 연령별, 학력별, 정치 이념 성향에 따른 분석에서 원자력발전의 필요성과 위험성, 안전성에 대해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정치이념의 성향에 따른 잠재적 위험요소와 원자력발전에 대한 인식은 보수적 이념집단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진보적 집단에 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치 이념의 성향에 따라 원자력발전 인식 분석에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원자력(방사선)발전 정책 방향 설정과 방사선 이용 관련 산업에 있어서 전문 가 의견과 일반인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서 결정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일반인도 사실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에 입각해 각종 잠재적 위험과 원자력(방사선)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지 말고 유연한 대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