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만 2세 영아들의 언어발달과 언어표현력, 주의집중에 증강현실 그림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2곳 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전통적 교수방법 집단, 증강현실 기반 교수방법 집단, 전통적 교수와 증강현실 기반 교수방법을 함께 사용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은 4주간 16회를 실시하였으며 언어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PRES를 사용하였고, 주의집중 분석을 위해 비디오 촬영을 실시하여 시간 표집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적 교수와 증강현실 기반 교수방법을 함께 사용한 집단은 다른 교수 방법 집단에 비해 언어발달과 주의집중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표현력 향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증강현실 기반 교수 방법만 받은 집단은 전통적 교수방법을 받은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증강현실 기반을 적용한 언어발달 교육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과 주의집중 향상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weight of expressiveness factors on dance genre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s: Total 28 dance experts such as professors, dace psychologists, dance specialists, on each dance genre was asked to complete the pairewise comparison survey on the relative weighting. The data for eighteen experts were finally analyzed by Microsoft Office Excel 2007. Results: For both Traditional and Creative Korean Dance, the relative weighting among factors were in order such as creative thinking (CT), motor skill for expression (MSE), passion of expression (PE), and outward expressive ability (OEA). For ballet genre, the relative weighting of OEA was the highest, and then CT, PE and MSE were following. At last, for modern dance, C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en were in order OEA, MSE and PE. Conclusion: We confirm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dancing expressiveness was meaningfully different among dance genre, and suggest tha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construct contents for evaluation and education on the expressiveness for d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