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재배지 고추(Capsicum annuum)에 주요 총채벌레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대만총채벌레(F. intonsa)이다. 본 연구는 이들 총 채벌레의 월동 생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두 총채벌레는 동결감수성 곤충으로 낮은 저온(-15~-25°C)에서 체내빙결점을 보였다. 그러나 이 체내빙결 점은 두 종 사이에 그리고 발육태에 따라 상이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의 경우 성충 -25.7±0.5°C, 번데기 -17.2±0.3°C, 약충 -15.0±0.4°C였고 대만총채벌레 는 성충 -24.0±1.0°C, 번데기 -27.0±0.5°C, 약충 -17.2±0.8°C에서 체내빙결점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두 종의 저온 피해는 체내빙결점보다 높은 온도 에서 일어났으며, 처리온도가 내려갈수록 그리고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대만총채벌레에 비해 꽃노랑총채벌레가 저온에 대해서 높은 내한성을 보였으며 발육태에 따라 약충보다는 성충이 높은 내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두 종 모두는 치사 저온조건(-10°C, 2시간)에 노출되기 전에 0°C에서 2시간 미리 노출되면 저온 피해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급속내한성유기를 보였다. 또한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저온에 노출되면서 저온순화를 발현하였다. 이들 총채벌레의 월동처를 알아보기 위해 시설재배지 안팎에서 동계모니터링이 진행되었다. 동계기간(11월~2월) 두 종 성충은 야외에서 채집되지 않았지만, 시설재배지 내부 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가 황색점착트랩과 잡초에서 포획되었다. 동계기간 시설재배지 토양시료에서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이 지속적으로 우화되었으나, 대만 총채벌레는 11월과 12월 토양시료에서 나오지 않았지만, 1월 이후 채집된 시료에서 성충 우화가 관찰되었다. 휴면에 따른 우화율 차이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상이한 일장을 이들 두 총채벌레 종에 처리하였다. 이 결과 꽃노랑총채벌레는 일장조건과 무관하게 우화한 반면 대만총채벌레는 단일조건에서는 우화하지 않 았다. 한편 이들 총채벌레가 전파하는 Tomato spotted wilt virus도 동계기간 총채벌레가 채집된 잡초에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꽃노랑총채벌레가 겨 울기간 시설재배지 내부에서 잡초를 먹이로 발육하는 반면, 대만총채벌레의 경우는 휴면상태로 토양 속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600원
        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되고 있는 51종(단제 21종과 합제 30종)의 살충제를 이용한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검토한 결과 90% 이상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 15종을 선발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합제에서 많은 유효성분들이 오남용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2종의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제 감수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약제에 대하여 대만총채벌레가 꽃노랑총채벌레에 비해 높은 감수성을 보이기 때문에 꽃노랑총채벌 레에 효과 있는 약제로 동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선발된 15종의 약제를 이용하여 약효발현속도(LT50과 LT95), 침투이행성, 잔효성을 비교하였다. 약효 발현속도를 LT95 (hour)값으로 비교했을 때, chlorpyrifos WP, chlorpyrifos + diflubenzuron WP가 2시간 이내로 가장 빨랐고, spinetoram WG은 62.3시간으로 가장 느렸다. Chlorfenapyr SC에서 뿌리와 엽면을 통한 침투이행 효과가 나타났고, spinetoram WG에서 엽면을 통한 침투이행 효과만이 나타났다. 약제 잔효성 실험에서 chlorfenapyr SC는 14일, benfuracarb WG 와 chlorpyrifos WP는 3일까지 효과가 지속되었다. 꽃노랑총채벌레 야외집단(화훼재배지와 과채류재배지)간의 감수성 비교에서는 화훼재배지에서 채집된 집단이 더 낮은 약제 감수성을 보였다.
        4,200원
        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sceptibility of the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Frankliniella intonsa was evaluated using 46 commercial insecticides. There were 10 kinds of insecticides as benfuracarb, chlorfenapyr, spinetoram, spinosad, abamectin + chlorfenapyr, abamectin +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 clothianidin, chlorfenapyr + imidacloprid, clothianidin + spinetoram and dinotefuran + spinetoram, which showed more than 90% mortality against both thrips, F. occidentalis and F. intonsa. Since the F. intonsa is more susceptible than F. occidentalis, it is considered that both thrips can be controlled by insecticides that show insecticidal activity on the F. occidentalis. The effect by the elapsed time after treatment of 10 kinds of insecticides was analyzed as LT50 and LT95 values. Benfuracarb was the fastest in 4.3 h (LT50) and 14 h (LT95), and spinetoram showed the most late time at 13.5 h (LT50) and 62.3 h (LT95), respectively.
        5.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and F. intonsa (Trybom) have been shown asymmetrical occurrence pattern in pepper and strawberry fields. To explain this phenomenon, interactive influence of temperatures (20, 25, and 30ºC) and relative humidities [Low (50-55%), Medium (70-75%), and High (90-95%)] were assessed on pupal and adult stage of the two thrips species. In pupal stage, mortality of both species decreased as the humidity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pecies. Also, pupal duration of the two thrips decreased as RH increased from low to high in all the temperatures tested, but significantly shorter duration was found in F. intonsa. In adult stage, F. intonsa survived better than F. occidentalis only in high humidity at both 20 and 25ºC. Frankliniella intonsa survived 2.5 and 2.4 times longer as RH increased from low to high at 20 and 25ºC, respectively, whereas F. occidentalis survived 1.8 and 1.6 times longer, respectively. In conclusion, both pupae and adults of F. intonsa performed better at higher RH condition compared to F. occidentalis. Thus, difference in relative susceptibility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 can be one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for the differential occurrence pattern in the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