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2014년 4월) 269

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어떤 지역 생물들의 집합체를 생물군집이라고 하며, 군집 내 생물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생물들 간의 상호관계 따라 생물군집의 공간적 범위나 시간적 한계가 정해진다. 따라서 생물군집의 개념에는 생태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공간과 시간적 범위(생활사나 천이)가 포함 되여 있다. 자연계에서 식물들은 무생물계의 물질을 도입하고,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생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유기물을 합성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고(생산자) 합성된 물질을 먹고 먹히는 식물연쇄관계를 통하여 생물계를 이동하고 생물의 배설물이나 시체는 주로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분해자)무생물계로 다시 환원된다. 이와 같은 양양단계를 통한 물질 순환 과정은 자연계의 가장 기본적 관계로 군집생태학이나 생태계생태학의 주요 연구과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한편 곤충류의 가해를 받은 식물은 생리학적으로나 형태학적으로 여러 가지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와 같은 가해에 대한 식물의 반응은 영양관계 동태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관련지의 다지화나 관련망의 복잡화 등 간접적으로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런 간접적 관계에 관하여 1980년대 이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곤충의 가해에 대한 식물의 여러 가지 반응이 식물을 중심으로 한 생물군집구조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가해에 대한 식물의 생리학적 ․ 형태학적 반응과 그의 천적류 활동에 미치는 영향 등과 같은 본질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곤충류 생활사 특성의 경쟁과 관련성 문제를 검토하여, 서식장소나 활동시기를 달리하여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곤충류나 분류학적으로 거리가 먼 곤충류가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살펴보고 경쟁이론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기조강연

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곤충산업 시장규모는 2011년 1,700억원에서 2015년에는 2,980억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곤충 사육농가 및 종사자 수도 꾸준히 늘어 사육농가는 2010년 265호에서 2013년 384호에 이르렀으며, 종사자 수도 433명에서 622명으로 급격히 확대되었다. 곤충산업은 농업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고 있다가 2010년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으로 본격적으로 농업정책 대상에 포함되었다. 정부에서는 법률에 따라 2011년 제1차 곤충산업육성 5개년 종합계획(‘11~’15)을 수립하였고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곤충정책은 ‘지역곤충자원 산업화지원센터’ 건립 등 곤충산업 기반 조성과 곤충 식의약‧사료화를 위한 연구사업을 중심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곤충산업에 필요한 연구를 추진하는 형태로 시행되고 있다. FAO에서는 곤충을 인류식단의 다양화와 식량안보에 기여하는 식품으로 선언한 후 곤충의 식품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올해를 곤충 식품화의 원년으로 삼기 위해 정부 규제개선 과제에 포함하여 식약처, 농진청과 머리를 맞대고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진은 최근 장내 공생균과 숙주와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장내 공생균으로 Burkholderia 균주만을 가지는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 (Riptortus pedestris)를 실험동물 model system으로 사용하여 흙속에 서식하던 Burkholderia 균주가 노린재에 들어가 숙주의 중장에서 공생균으로서 서식하는데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변이 균주를 제작하여 어떤 유전자가 결손되면 공생균으로 정착하지 못하는가를 규명하는 연구와 숙주곤충이 가진 선천성 면역 반응을 장내 공생균은 어떻게 회피하여 가는지를 분자 수준에 이해하기 위한 기초 연구에 착수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진은 공생균의 세포벽 성분중의 일부 유전자가 공생균이 장내 서식에 필요한 initiation, persistence, accommodation 단계에 필수적으로 작용하는 유전자임을 증명하는데 성공하였다 [PNAS (2013), AEM (2013), JB(2013), DCI (2014), ISME (2014)]. 나아가 최근에는 장내 서식하는 Burkholderia 공생균과 in vitro 배양 Burkholderia 균 사이에는 어떤 차이점이 존재하는 가를 규명하여 어떻게 장내 공생균이 숙주의 체액이나 다른 기관으로 escape 하지 못하도록 조절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성공하였다.
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novel recombinant baculovirus, NeuroBactrus, was constructed to develop an improved baculovirus insecticide with additional beneficial properties, such as a higher insecticidal activity and improved recovery, compared to wild-type baculoviru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NeuroBactrus, the Bacillus thuringiensis cry1-5 crystal protein gene was introduced into the Autographa californica nucleopolyhedrovirus(AcMNPV) genome by fusion of polyhedrin-cry1-5-polyhedrin under the control of the polyhedrin promo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an insect-specific neurotoxin gene, AaIT, from Androctonus australis was introduced under the control of an early promoter from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by fusion of a partial fragment of orf603. The Polyhedrin-Cry1-5-Polyhedrin fusion protein expressed by the NeuroBactrus was not only occluded into the polyhedra, but it was also activated by treatment with trypsin, resulting in an approximately 65-kDa active toxin. In addition, qPCR revealed that the neurotoxin was expressed from the early phase of infection. The NeuroBactrus showed a high level of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Plutella xylostella larvae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edian lethal time(LT50) against Spodoptera exigua larvae compared to those of wild-type AcMNPV. Re-recombinant mutants derived from NeuroBactrus in which AaIT and/or cry1-5 were deleted were generated by serial passages in vitro. Expression of the foreign proteins(Bt toxin and AaIT) was continuously reduced during the serial passage of the NeuroBactrus. Moreover, polyhedra collected from S. exigua larvae infected with the serially passed NeuroBactrus showed insecticidal activity similar to that of wild-type AcMNPV.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NeuroBactrus could be recovered to wild-type AcMNPV through serial passaging.

심포지엄

5.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novel recombinant bacmid, bEasyBac, that enables the easy and fast generation of pure recombinant baculovirus without any purification step was constructed. In bEasyBac, attR recombination sites were introduced to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a recombinant viral genome by in vitro transposition. Moreover, the extracellular RNase gen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rnase, was expr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early promoter to negatively select against the non-recombinant background. The bEasyBac bacmid could only replicate in host insect cells when the barnase gene was replaced with the gene of interest by in vitro transposition. When bEasyBac was transposed with pDualBac-EGFP, the resulting recombinant virus, AcEasy-EGFP, showed comparable levels of EGFP expression efficiency to the plaque-purified recombinant virus AcEGFP, which was constructed using the bAcGOZA system. In addition, no non-recombinant backgrounds were detected in unpurified AcEasy-EGFP stocks. Based on these results, a high-throughput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multiple recombinant viruses at a time was established.
6.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병원성선충은 자외선과 건조에 약한 단점이 있으나 자력으로 기주를 탐색할 수 있는 이동력을 가지고 있고, 단시간에 기주를 치사시킬 수 있는 속효성, 화학적 방제가 곤란한 토양 서식 해충 방제에 활용성이 높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생물적 방제인자의 하나이다. 전 세계 10개국 이상에서 생산되고 있는데 생산방법이나 규모 등은 국가별, 생산기업별로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초반부터 생산되기 시작하여 농가에 보급되고 있는데 기존의 화학 농약에 비하여 현장적용 시 고려 할 부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농가에서는 간과하는 부분들이 많아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어 사용방법과 관련 된 실용성 증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곤충병원성선충과 같은 생물적 방제제들은 화학 농약에 비하여 보존기간과 조건에 제한이 많기 때문에 일시에 많은 양을 생산 할 경우 소비가 적을 때에는 수익성을 담보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다. 곤충병원성선충은 꿀벌부채명나방과 같은 기주를 이용한 in vivo배양과 대규모 배양기를 이용한 계대배양으로 생산 할 수 있는데 경작면적이 적고, 텃밭과 같은 소규모 경작을 하는 친환경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in vivo배양을 통한 선충 공급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선발 된 곤충병원성선충들 중 적용 범위가 가장 넓은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의 소비자 자가 생산 방법과 이들의 농업 현장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처리방법별(점적관수, 스프링클러 살포, 고압분사 살포, 관주처리) 효과검토와 경종적 방법을 겸비한 방제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7.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tomopathogenic fungi are natural enemies of insects and contribute to the regulation of their host populations. Numerous fungal species have been isolated from their respective hosts or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soil and used as pest control agents for a long time in many countries. Recently,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ive entomopathogenic fungi are essential for gaining insight into the naturally occurring fungal biodiversity of a specific region and to providing a pool of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pest control purposes. Moreover, exotic strains of entomopathogenic fungi that have been developed for use as pest control agents in a different country could be ineffective due to strain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Therefore, investigating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native entomopathogenic fungi is critical for their use as pest control agents in a given location. Here, we report the isolation,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i from soils in Korea to establish a pool. During infection against insects, entomopathogenic fungi produce various enzymes, protein toxins and secondary metabolites to overcome host defenses and ultimately kill the host, and to defend host resources against competing pathogens and saprophytes. These metabolites exhibit a wide variety of insecticidal, antimicrobial,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viral activities, and they have been suggested as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bioactive agents. Entomopathogenic fungi isolated from Korean soils were also evaluated for these additional roles besides pathogenicity.
8.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rious insect pests infest crops including vegetables and ornamentals during crop production. Chemical pesticides have generally used until recently to control pests. Many pests are very difficult to control using organic pesticide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and their rapid population increase. Entomopathogens are the promising alternative control methods. Entomopathogenic fungi are good candidates to control sucking insects such as aphid, whitefly and mite because the fungi can infect without ingestion. Conidia or blastospores of fungal entomopathogens are sprayed onto target plant and/or insect, adhered on insect surfaces, and penetrated into hemocoel through insect cuticle. Then the fungus utilize insect nutrients and kill the host insect. During this process, fungus wa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UV light. These are causing slow mortality and preventing wider application and use of mycopescitide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In addition, control efficacy with fungal entomopathogen differed fungal isolate and host insect. Therefore, we need to study selection of high virulence isolate, mass production, formulation and application techniques to develop mycopesticide.
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illus thuringiensis (Bt) is a Gram-positive and soil-dwelling bacterium and well known for its ability to produce insecticidal parasporal crystalline protein inclusions, which have attracted worldwide interest for effective pest management. A diseased silkworm by Bt was first discovered by Japanese scientist Ishiwata Shigetane in 1901, and in 10 years, it was re-discovered in Germany by Ernst Berliner, who isolated it as the cause of a disease called Schlaffsucht in flour moth caterpillars. The first commercial product, Bt. kurstaki HD-1 was released to a market in France in 1938. Optimization of mass production for crystal production and cost down enabled the industrialization to be successful, and now many products, such as WP, EC, SC and tablets are used worldwide. In 1976 Robert A. Zakharyan found that plasmids in Bt a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crystal proteins and endospores. Pore formation model and signal transduction model were revealed to explain the mode of action of Bt. Works on Bt resistance included a group of receptors of crystal proteins, such as cadherin, APN and ALP. In 1996, a Bt cry gene was integrated to cotton, which successfully reached markets. AtMT technology was used to generate Bt crops. Now the area planted worldwide to genetically engineered Bt crops increased to 66 million hectares. Refuge may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slowing the spread of insects resistant to the Bt insecticides. Researchers are trying to increase the insecticidal efficacy of integrated Bt crystal proteins using recent biotechnology.
1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iopesticides are pesticdide derived from natural materials such as animals, plants, bacteria, and certain minerals. Microorganism such as a bacterium, virus, fungus, or microscopic nematode worms can be used in agricultural practices to control of elimate pests that can inflict damage to a plant. Agents used as biopesticides include parasites, predators, fungi, bacteria and viruses. They are being recommended and used as components of IPM programs in the production of high-value specialty crops such as fruit, nut, vegetable, vine, ornamental, and turf crops. The global pesticide market is growing at a 15.8% for the period of 2012 to 2017. Synthetic insecticide use is projected to continue to decline, particularly with the increased use of GM seeds. GM crops are competiong with biopesticides due to disease and pest resistance and complementing for production of chemical residue free crops. Biopesticedes represent a strong growth area in the global pesticide market. Low registration cost and time for development of new active ingredient are major growth drives for the biopesticides market. Bacterial biopesticides control over 70% of microbial biopesticdes market share. Bacillus thuringiensis (Bt) is the most popular bioinsecticide worldwide. The global market for botanical biopesticide is estimated to grow at a CAGR of 14% and semio-chemicals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16.1% from 2012 to 2017. The global microbial biopesticides market was valued at $862 million in 2011 and is expected to reach $2,606 million by 2017. Global biopesticides market is dominated by bioinsecticides with around 46% share in 2011.
1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의 산림해충상은 해방이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솔나방은 토착종으로 1950년대, 1960년대 및 1970년대 초반에 밀도가 극히 높았으나 이후 피해가 감소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주로 제주도 등 도서지방에서 발견되고 내륙에서는 돌발적으로 발생할 뿐이다. 솔잎혹파리는 1980년대, 1990년대 주요 산림 해충 중의 하나로서 일본에서 유입된 침입종이다. 솔잎혹파리 최초 발생은 일본에서 1901년에 보고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서울과 목포에서 모두 1929년 최초 발생이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솔잎혹파리 밀도가 안정되는 경향을 보이나 침입역사가 짧은 지역을 중심으로 밀도가 증가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최초발생은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최초 보고되었다. 소나무를 고사시키는 병원체는 소나무재선충이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또는 북방수염하늘소가 소나무재선충의 이동과 확산에 관여하고 있다. 참나무시들음병은 2004년 경기 성남에서 최초 발생이 보고된 이후 발생지역과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직접적인 고사는 Raffaelea quercus-mongolicae가 관여하는 것으로 의심되고 있으나 광릉긴나무좀의 공격밀도가 높을수록 참나무 고사 확률이 증가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상승된 겨울철 온도는 새로운 외래종인 꽃매미 정착을 가능하게 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등 새로운 해충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새로운 해충의 발생은 산림해충상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1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US National Elm Trial is a cooperative effort to evaluate Dutch Elm Disease-resistant, commercially available American and hybrid elms for suitability for urban forest usage across a r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ield trials were planted in 15 states, including Kentucky. That allowed us to evaluate elms of differing parentage, including American (Ulmus americana), Asian (U. parvifolia, U. propinqua, U. wilsonia), and hybrid cultivars, for relative susceptibility or resistance to multiple pests, including scale insects, aphids, weevils, leaf miners, gall makers, and defoliators, over seven years. Marked differences and patterns of resistance to key pests were found. This information can help city foresters, landscapers, and others to select elm varieties requiring minimal inputs for insect control, and help to support successful return of elms to streets and landscapes being impacted by serious invasive pests of other tree species.
1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절지동물은 산림생태계에서 중요한 구조적, 기능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림생태계 경영에 중요하다. 또한 이들은 서식지 및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산림생태계를 평가하기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리왕산 낙엽송림 및 활엽수림에서 토양, 지표, 지상(식생) 세 부분 나누어 각각 토양코어, 함정트랩, 쓸어잡기 방법을 이용하여 절지동물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13년 6월과 9월에 각각 실시하였다. 토양코어 조사에서는 총 20개 목, 1,154개체가 채집되었으며, 그중 낙엽송림에서는 18목 644개체, 활엽수림에서는 18목, 310개체가 채집되었다. 톡토기목이 우점하였으며, 전체 개체의 39.69%를 나타냈다. 시기적으로는 6월 보다 9월에 2배 이상의 높은 개체수를 보여, 계절적 변동을 잘 나타냈다. 함정트랩 및 쓸어잡기 조사결과 총 14,102개체 중 곤충강이 12,479개체였고, 거미강이 1,362개체였다. 함정트랩에서는 낙엽송림과 활엽수림에서 모두 6월에 높은 개체수를 보였으며, 쓸어잡기에서는 9월에 높은 개체수를 보였다. 낙엽송림과 활엽수림 사이에 개체수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1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uehdorfia puziloi (Erschoff, 1872) is a monophagous butterfly species that occurs only once during spring in a year and distributed nationwide in Korea. From 2012 to 2013 the adult emergence has been monitored to assess how the species responds to temperature rise in the country. Monitoring sites were located in four different provinces, two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and the others the southern part. In each site a small emergence cage was set up with 60 to 70 pupae and a HOBO data logger to record the soil temperature of the site from February to April. The earliest record from literatures and specimen collection data was 28th of March in Geojae-gun, one of far south parts of the country, during the late 90’s. In 2013, the butterfly started emerging in a southern site, Namhae-gun, from 20th of March, and it was the earliest record so far. The emergence from all of the sites occurred on average 7.75 days faster in 2013 than 2012. The emergence patters during the two years clearly showed that the adult emergence reached to 50% emergence rate faster as the soil temperature rose.
15.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rbanization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habitat loss, habitat degradation, and fragmentation. Urban development negatively affects biodiversity.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hange of butterfly communities on effect of urbanization in urban green areas. Butterfly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line transect methods from April to October in 2012. A total of 59 species and 1,465 individuals of butterflies were observed in four urban green areas: Namsan Park (NS), Ewha Womans University (EW), Bukseoul Dream Forest (BD), and Hongneung Forest (HF), and natural forest: Gwangneung Forest (GF). The category of land use around study site was determined based on GIS data.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niche breadth and habitat type in urban green area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in GF. Estimated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H’) in four urban green area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GF.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forest interior species and specialis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ddy, field, and forest, whereas those of forest interior species and specialis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urban area and road. Butterfly communities in four urban green area differed from that in GF.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decrease of paddy, field, and forest associated with increase of urban area and road negatively influences species composition and changes butterfly communities.
16.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 이전에 이미 국가 간 무역활동 증가에 따른 인적․물적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생태계 위해외래해충의 유입으로 인한 생태적 안정성 훼손과 경제적 손실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고 있었다. 여기에 최근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는 생물다양성의 감소, 생물계절 변화 등 생태계에 영향을 줌으로 해서 외래종의 침입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 외래종의 유입으로 인한 생태계의 교란 및 파괴가 하나의 글로벌 이슈가 되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국들은 외래종생태계위해성평가제도(Ecological Impact Analysis of Alien Species)와 통합관리체계의 구축을 통한 사전예방제도와 사후관리 제도를 마련 중이거나 이미 마련한 바 있다. 세계 침입종 프로그램(Global Invasive Species Programme)이나 국제자연보전연맹의 침입종전문가그룹은 글로벌 정보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등에서도 관련 외래종법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우리는 기후변화에 따른 외래해충 관리를 위하여 외래종 유입 최소화를 위한 국민들의 자발적 노력과 정부의 지속적인 정보전달 및 홍보, 그리고 관리를 위한 사전예방제도와 사후관리 강화 등의 통합관리체계가 요구 된다.
17.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광릉긴나무좀은 미생물과 공생관계를 가지는 암브로시아 나무좀류이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이다. 참나무시들음병에 의한 고사는 병원균에 의한 것으로 의심되고 있으나 참나무 고사확률은 광릉긴나무좀 공격밀도에 비례한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확산은 광릉긴나무좀 이동생태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합리적인 방제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광릉긴나무좀 이동생태에 대한 구명은 필수적이다. 광릉긴나무좀 성충 활동(비행)은 오전 5시부터 시작되나 최적 활동시기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로 네 시간동안 하루 비행하는 개체의 77%가 포획되었다. 광릉긴나무좀 비행 방향은 경사와 관련되어 있어, 최적 활동시기 이전에는 경사 윗 방향으로, 최적 활동시기에는 주로 경사 아래 방향으로 비행한다. 즉, 참나무시들음병의 피해는 주로 경사 아래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지-재포획법에 의해 조사된 임내 광릉긴나무좀 비행 거리는 최대 43.2m, 평균 24.2m였다. 광릉긴나무좀 자력이동에 의한 피해 확산은 50m 이내에서 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18.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어쩐지 곤충들을 보고 있으면 징그럽고 내 몸에 기어 다니는 것처럼 몸이 근질근질 해지는 것 같아 곤충이 눈에 띄면 일단 몸을 움츠리게 된다. 하지만 자주 보는 개미를 볼 때는 무섭지 않은 걸로 봐서 도시에서만 자라 곤충을 볼 일이 그렇게 많지 않았고 익숙하지 못함이 두려움으로 변한 것이 아닌가 하고 나 혼자 진단해 보기도 한다. 카메라를 가까이 하면서 아이들에게 꼭 보여주고 싶어 사진을 찍고자 하여도 기존의 카메라로는 담아낼 수 없는 경우가 많아 “곤충의 눈 렌즈”라는 새로운 렌즈를 개발하게 되었고, 마치 눈앞에 곤충들이 살아 꿈틀거리는 듯, 곧 날아가 버릴 듯, 생생한 느낌을 담아 사진들 찍어 아이들의 이해를 돕기에 훌륭한 자료가 되었다. 좋은 곤충생태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많은 관찰과 노력이 필요하며 기능적인 부분도 있으며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진 파일 형식 중 RAW의 원본 데이터는 크고 보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이므로 사진이 맘에 들지 않을 경우 노출, 화이트 밸런스, 샤픈 등의 후보정시 깨지지 않는 좋은 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RAW로 찍어 두는 것이 좋다. 상대적으로 JPEG의 데이터는 용량도 작으므로 사진의 보정폭도 적고 많은 손해를 보게 된다. RAW는 다이아몬드 원석이고, JPEG는 가공된 다이아몬드에 비유할 수 있는데 가공된 다이아몬드가 맘에 들지 않아 새로 가공하여 깎아 내면 다이아몬드는 작아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원석인 상태로 가지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사용하면 더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선 상황에 맞는 렌즈의 선택과 플래시의 사용이 중요하다. 근접사진을 찍는 경우 40mm, 60mm, 85mm, 105mm, 180mm 등의 마크로 렌즈가 사용되며 각 종류마다 장단점이 있다. 플래시의 경우 일반플래시, 링플래시 등이 사용되며, 광량이 부족한 경우, 움직이는 피사체를 찍을 경우 더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추세에 따른 국가 간 농산물 수출입량의 증대에 따라 외래 유입종의 확산에 의한 생태계의 혼란과 피해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농산물의 수출입 과정에서의 병해충에 대한 검역관리는 외래유입종 차단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농산물의 수출입 과정에서 발견되는 해충은 대부분 egg, 유충 또는 약충기에 있는 경우가 많으며 형태적 방법에 의한 동정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통관의 지연이나 거부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해충의 종 동정은 기존의 형태학적 동정을 극복하는 대체수단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종 특이적 PCR 진단법이나 DNA barcoding과 같은 특정 DNA 염기서열의 분석을 통한 종의 동정법이 널리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농립축산검역검사본부와 농진청 등의 기관을 중심으로 국내 농산물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해충 분류군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진단법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일정부분의 성과를 나타내는 시점에 도달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의 수출입 과정에서 유입 가능한 해충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주요 교역국간의 상호협력에 의한 표준화 된 동정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DNA barcoding은 이러한 국제적 요구에 대한 매유 효과적인 표준화 수단이 될 수 있다. DNA barcoding은 10년이 조금 넘는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진 연구 분야로서 2003년 캐나다의 연구진을 중심으로 제안이 되었으며 국제적 컨소시엄의 구성과 협력연구 및 각 국가별 주요 생물자원에 대한 DNA barcoding 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600편 이상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DNA barcode database인 BOLD system에는 5만종, 220만개 이상의 DNA barcode 정보가 등록이 되었으며 EU는 최근 3년간의 7th Frame Work Program을 통하여 QBOL을 구성하고 주요 해충에 대한 13,000개의 DNA barcode를 확보하였다. DNA barcode 연구의 최근 경향은 환경시료에 대한 대량분석과 NGS 기법을 이용한 DNA barcoding 경비의 절감을 통한 대중화를 들 수 있으며 2013년 가을 중국 곤명에서 개최된 제 5차 iBOL meeting에서는 다수의 환경시료에 대한 분석 결과와 경제적으로 중요한 분류군에 대한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DNA barcode 연구에는 아직 여러 가지 어려움이 남아 있으며 그 중 각 분류군에 대한 universal PCR primer 개발문제, 생물종에 대한 명명법의 국제적 표준화 문제 및 정확하게 동정된 표본과 이를 통한 신뢰도 높은 reference library 구축의 시급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식물검역관리를 위한 관리급 해충 및 유사해충에 대한 DNA barcode reference library의 확보는 외래해충의 유입 차단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단계로서 최근 농림축산검역검사본부는 주요 식물검역 관련 해충에 대한 reference library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식물검역해충의 국내 유입 및 확산에 대한 대비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calfa pruinosa has been spreading in Korea since 2005, which its first report at Gimhae in Kyeongnam province. It has been harmful to grape and major forest crops by direct sucking and indirect transmitting sooty mold disease causing economical loss. It is necessary to study its tracing route and movement conditions for the further efficient population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its re-invasion. A total of 23 haplotype were observed in the analysis of nucleotide polymorphisms on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I from total 124 voucher specimens among five countries. Only two haplotypes were exist in Korea and HAP1 was accorded with its of some European individuals. Moreover, the analysis of FST and AMOVA, the Korean population was relatively nearer with Spanish and Italian population than American populations, suggesting the Korean population might be originated from some European countries. Eight microsatellite loci were developed and characterized to facilitate more delegate population genetic analysis from 468 individual in five countries. The average character of each or overall population was revealed 18 average individual number, six alleles and 0.676 heterozygosity. The genetic distance (FST) was a little bit high among each populations ranged as – 0.010~0.245. In the tracing route analysis, the originating country of Korean population was also shown as migrated from some European countries. The population genetic analysis using genetic markers will be useful to trace the origin of pest and prevent from re-invasion fro efficient pest management.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