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 도입되는 목초 Festulolium pratensis Lolium muitiforum의 속간 교잡종인 Festulolium braunii의 내한성, 출수기, 사료가치 및 수량 등을 구명하여 우리나라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 자, 2004년 9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수원 및 남원에 있는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시험포장에서 동시에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Festulolium braunii 교잡종 Fleurial, Boxer 및 Perun 등
        4,000원
        3.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서 1996년 9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속간교잡종인 Festulolium braunii (Paulita)의 혼파가능성을 타진하고자, A(control);orchardgrass(seeding rate 60%) + tall fescue 20% + Kentucky bluegrass 10% + white clover 10%, B; orchardgrass 60% + tall fescue 20% + Festulolium braunii 10% + white clover 10%, C; orchardgrass 60% + Festulolium braunii 20% + Kentucky bluegrass 10% + white clover 10%, D; orchardgrass 30% + Festulolium braunii 30% + red clover 40% 등의 4개 혼파조합을 두어 난괴법 4반복으로 건물수량과 품질을 비교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물수량은 상번초 위주의 D 혼파조합이 가장 놓았다(P<0.05). Kentucky bluegrass를 Festulolium braunii로 대체한 B 혼파조합이 A 혼파조합에 비하여 건물수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tall fescue를 Festulolium braunii로 대체한 C 혼파조합의 건물수량은 A(control) 혼파조합에 비하여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CP, NDF, ADF, hemi-cellulose 및 cellulose 함량은 혼파조합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건물소화율(DMD)은 97년에는 혼파조합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98년도에는 Festulolium braunii와 두 과목초의 식생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C와 D의 혼파조합이 A나 B 혼파조합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CP와 DDM수량은 D 혼파조합이 다른 혼파조합에 비하여 가장 놓았다(P<0.05). 식생비율은 Festulolium braunii를 혼파한 B, C, D 혼파조합에서 Festulolium branunii의 식생비율이 높게 유지되었는데, D 혼파조합은 Festulolium braunii의 식생비율이 40~60%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Festulolium braunii는 orchardgrass + red clover와 같은 상번초위주로 혼파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겠으며, Festulolium braunii는 상번초의 tall fescue보다는 하번초인 Kentucky bluegrass를 대체하여 혼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4,000원
        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 1995년 9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속간교잡종인 Festulolium braunii (품종, Paulita)의 국내 보급가능성을 타진하고자 3처리의 혼파유형 (1) Festulolium braunii (FB, 파종비율 50%)+orchardgrass(OG, 50%), (2) Festulolium braunii (FB, 80%)+red clover (RC, 20%) 및 (3) Festulolium braunii (FB, 20%)+orchardgrass(OG, 50%)+tall fescue(TF, 20%)+white clover(WC, 10%)을 두어 난괴법 4반복으로 건물수량과 품질을 비교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물수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FB+RC 초지가 다른 혼파유형에 비하여 약간 많았다. CP 함량은 FB+RC 초지가 다른 혼파유형에 비하여 높았으며(P<0.05), 반대로 NDF와 ADF 함량은 다른 혼파유형에 비하여 오히려 낮은 결과를 가져왔다(P<0.05). CP와 DDM 수량은 FB+RC 초지가 다른 혼파유형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97년의 마지막 예취시기에 조사한 식생비율은 모든 혼파유형에서 FB의 식생비율이 51~58%로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FB는 다른 초종과 혼파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하겠으며, 그 중 RC와 혼파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4,000원
        5.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esrulolium bmunii(Festuca prafensis Huds. x Lolium multiflomm Lam.) as a forage sources.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from Sep. 1995 t
        4,000원
        6.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and the possibility to provide Festulolium bmunii(Festuca pratensis mult~jlotum Lam.) as forage source in Korea. The Festuloliurn braunii were harvested at boot, heading and anthesis
        4,000원
        7.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potential of Festulolium braunii (Festuca pratensis Huds. Lolium multiflotum Lam) as forage source in Korea.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split plot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fro
        4,000원
        8.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Festulolium braunii(Festuca pratensis Huds. Loliurn mulrijZorum Lam.)as forge sources.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split plot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from Feb. 1995. to Jan. 1996 at Hohenhe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