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문(연꽃문양)은 다른 역사문화유산(나전칠기, 회화, 금속 공예, 기와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려·조선시대(임진왜란 이전) 도자기 문양에서 압도적인 비중이고 모습도 다양하다. 그 모습은 자연 생태계의 모습과 가깝고 닮은 경우(原연화문·蓮池연화문), 氣·化生을 적극 나타낸 경우로 구분된다. 이 시기 도자기에는 분명 연화문임에도 불구하고 연화당초문·모란문· 菊花文·寶相華文·如意頭文으로 잘못 불리는 문양들이 있다. 이 가운데 연화당초문은 연화문과 덩굴문이란 독립된 두 문양의 단순한 결합으로, 모란문은 연꽃잎과 연잎사귀 모습을 분리하여 꽃나무 모습이 되자 꽃봉오리가 비슷한 모란으로 착각하며, 국화문은 子房에 비하여 연꽃잎(연판)을 가늘고 길게 표현하자 비슷한 국화로 착각하며, 보상화문은 연꽃잎에 기· 화생이 많이 표현되어 다소 복잡한 모습이 되자 다른 꽃으로 여기며, 여의두문은 연꽃잎이 如意의 머리처럼 보여 각각 부여된 이름이다. 연화문은 한 도자기 안에서도 한 모습보다 여러 모습인 경우가 더 많고, 原연화문부터 연속 덩굴 연화문에 이르는 단계도 보여 준다. 또한 原연화문·蓮池연화문보다 기·화생을 더 나타낸 덩굴 연화문 쪽이 많다. 이 현상은 우리 先人들이 연화문의 다양한 모습은 물론 성격, 기·화생의 강약, 표현 위치 등을 철저하게 이해하며 표현하였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 도자기에 있는 기·화생을 담은 연화문들은 물론이고, 중앙에 서 외곽으로 또는 위쪽으로 상승하는 표현들, 나무처럼 표현한 연꽃, 산을 화생하는 연꽃 표현 등은 중국에서 또는, 불교와 함께 전래된 불교를 상징하거나 관련되는 표현이 전혀 아니다. 우리 겨레의 역사문화강역 안에서 신석기·청동기시대부터 믿음과 전통을 담아 치밀하고 높은 수준으로 전개된 표현이다.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and F. intonsa Trybom (Thysanoptera: Thripidae) are polyphagous insect pests on numerous crops. These two species reduce the crop production in two ways: by sucking sap from the plant parts and by serving as vectors for tospoviruses.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previous observation of F. intonsa dominance on certain crops during recent years. Thrips populations were examined on greenhouse strawberry by installing circular yellow sticky cards with black background and on field pepper by destructive sampling of pepper flowers during season of 2012 in Songcheon, Andong. Eighty two to 92% and 3-5% of thrips collected from the both crops were F. intonsa and F. occidentalis respectively. Frankliniella. intonsa was 4-8 times more abundant than F. occidentalis in sticky cards and on pepper flowers. In conclusion, asymmetrical dominance of F. intonsa was found both in strawberry and pepper plant as we found in past on those crops. Underlying reasons such as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climate change were discussed.
동양꽃꽂이의 기본형에는 直立型, 傾斜型, 橫型 및 垂型이 있으며, 이는 제 1주지의 경사정도에 따라 기본형이 정해지는데 기본방향(각도)을 중심으로 나무의 생김새에 따라 주지가 전후좌우로 약간의 변동(± 15o)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변형에는 연화형, 부화형, 복합형, 분리형 및 평면형을 들 수 있다. 서양꽃꽂이의 기본형은 구성모양에 따라 직선구성, 곡선구성, 사방구성 및 mass구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