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의 蓮華文연구 KCI 등재

A Study of the Lotus Flower Pattern in the Ceramics during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ies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의 련화문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0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연화문(연꽃문양)은 다른 역사문화유산(나전칠기, 회화, 금속 공예, 기와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려·조선시대(임진왜란 이전) 도자기 문양에서 압도적인 비중이고 모습도 다양하다. 그 모습은 자연 생태계의 모습과 가깝고 닮은 경우(原연화문·蓮池연화문), 氣·化生을 적극 나타낸 경우로 구분된다. 이 시기 도자기에는 분명 연화문임에도 불구하고 연화당초문·모란문· 菊花文·寶相華文·如意頭文으로 잘못 불리는 문양들이 있다. 이 가운데 연화당초문은 연화문과 덩굴문이란 독립된 두 문양의 단순한 결합으로, 모란문은 연꽃잎과 연잎사귀 모습을 분리하여 꽃나무 모습이 되자 꽃봉오리가 비슷한 모란으로 착각하며, 국화문은 子房에 비하여 연꽃잎(연판)을 가늘고 길게 표현하자 비슷한 국화로 착각하며, 보상화문은 연꽃잎에 기· 화생이 많이 표현되어 다소 복잡한 모습이 되자 다른 꽃으로 여기며, 여의두문은 연꽃잎이 如意의 머리처럼 보여 각각 부여된 이름이다. 연화문은 한 도자기 안에서도 한 모습보다 여러 모습인 경우가 더 많고, 原연화문부터 연속 덩굴 연화문에 이르는 단계도 보여 준다. 또한 原연화문·蓮池연화문보다 기·화생을 더 나타낸 덩굴 연화문 쪽이 많다. 이 현상은 우리 先人들이 연화문의 다양한 모습은 물론 성격, 기·화생의 강약, 표현 위치 등을 철저하게 이해하며 표현하였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 도자기에 있는 기·화생을 담은 연화문들은 물론이고, 중앙에 서 외곽으로 또는 위쪽으로 상승하는 표현들, 나무처럼 표현한 연꽃, 산을 화생하는 연꽃 표현 등은 중국에서 또는, 불교와 함께 전래된 불교를 상징하거나 관련되는 표현이 전혀 아니다. 우리 겨레의 역사문화강역 안에서 신석기·청동기시대부터 믿음과 전통을 담아 치밀하고 높은 수준으로 전개된 표현이다.

The lotus flower appears in various patterns and occupies an overwhelming proportion among the patterns on ceramics of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ies (before the Imjin War) as well as in other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 lacquerworks of the mother-of-pearl inlay, paintings, metal craftworks, tiles etc. Its shape is divided into the cases of closely resembling the appearance of a natural ecology and the other case of the active expression of gi(氣, aura, strength, ability, energy, and vitality) and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expression of life, and the progress of the process). In the current academic world, the latter is called the dangchomun(唐草文, arabesque pattern) or the indongmun(忍冬文, honeysuckle pattern, also known as Palmette in the West), not the lotus pattern. I think that the positve manifestation of gi and hwasaeng represents the various forms of lotus petals. At first, the petals are thin and short, but they grow long especially with rhythmic vines. And the vines are often repeated in succession. In current achademic researches, the small or large the lotus pattern with vines is regarded as a simple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patterns and vine patterns : lotus flower patterns and vine patterns. Or it is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at it is a rhythmic expression of the lotus flower In addition, although it is obviously a lotus flower pattern in the ceramics of this period, there are definitely misplaced patterns that are called as a peony pattern, a chrysanthemum pattern(菊花 文), a bosanghwamun(寶相華文, floral medallion motif pattern), or a ruyi design(如意頭文). Among them, the lotus flower pattern which became the flower-tree form by separating the lotus petals and the lotus leaves is mistaken for the peony blossom pattern. Our ancestors thoroughly understood and expressed various kinds of the lotus patterns as well as their charateristics,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gi and hwasaeng and depicted location, and succeeded them. The various lotus flower pattern (including the originals) in the ceramics of this period is not related to the symbolic flower of Buddhism that was either imported from China or introduced with Buddhism. It is a unique expression that has already developed within Korean own borders from the Neolithic and the Bronze Ages and that has been spread widely to a very delicate and exquisite level with our universal and inherent belief and tradi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연화문의 상징·표현의 목적 그리고 명칭
 Ⅲ. 氣·化生을 표현하는 연화문
 Ⅳ.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에 있는 연화문
 Ⅴ. 고려시대 이전 역사문화유산을 계승한 표현
 Ⅵ. 앞 단원의 해석을 적용한 도자기의 연화문 몇 예
 Ⅶ. 결론
저자
  • 趙源喬(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 Jo Won Gyo (National Museum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