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arious plant organs of fennel (Foeniculum vulgare Mill.)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ir volatile components using Dynamic Headspace (purge & trap). They showed slight differences concerning the volatile component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Results revealed that trans-anethole (12.65%) was the major compound in the leaf. The highest compound was α-pinene (28.78%), and trans-anethole (7.90%) was highly detected in the stem. The maximum values were 5.64, 4.59, 1.58, 1.51, and 1.04% for α-pinene, γ-terpinene, β-pinene, 1,8-cineol and fenchone, respectively in the flower. However, very little trans-anethole was detected (0.27%) in the flower.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major componen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lant organs. However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elated plant organs like flower-fruit and leaf-stem contained the similar components.
        3.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the morphological and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fennel populations different origin under different ecological conditions in Hungary. The Korean population can be registered as a medium high genotype and showed a more accelerated growth characters than Hungarian taxon and the two populations have a medium homogeneity (CV = 4~22%). In the second year plant height in Hungarian tax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shooting dynamic of individual plants might be heterogeneous in both taxa and the Korean population was not only shorter in the height but had also less shoots by 16% than the Hungarian one. The Hungarian taxon exceeded the umbel size and numbers to the Korean one (by 3.62 cm in the average) and the variability in the populations was high (CV = 29~49%). Seed size was proved to be also a discriminative feature between the examined taxa. With small deviations (CV 〈 2) the Hungarian population produced seeds longer by 38%. Homogeneity in the populations was dependent more on the vegetation years and on the characteristics measured but less on the origins, respectively.
        4.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적인 향기치료제로 쓰여 온 회향, 유향 그리고 노간주를 사용하여 최근 신기술로 평가되고 있는 초임계 유체추출법을 통해 생체 조절기능을 지닌 기능성 정유 성분을 추출하였다. 기존의 SDE 추출법과 비교하여 추출수율 측면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를 얻어내어 정유 추출시 장차 SDE 추출법을 대체할 신기술로 평가되었다. 추출용매를 사용해야 하는 SDE 추출법과는 달리 무색, 무취인 CO2를 이용하여 정유 성분을 분리하는 초임계 추출법은 인체에 무해한 정유 성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사료되며, 분리된 정유 물질에 대해 성분 분석 결과 대부분이 휘발성 알코올 계열에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유 성분들에 대한 생리활성 실험결과 항암, 항 돌연변이 그리고 신경활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나 aroma-theraphy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 나아가 이 정유성분에 대한 in vivo 실험을 통해 기초 의약품으로서 연구가 수행되어진다면 전통적인 치료제로서 사용된 천연물에 대한 현대적 가치부여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5.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보건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약용식물 재배와 한약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대량번식을 위한 종자번식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산형과 약용식물에 있어서 시호(Bupleurum falcatum)나 회향(Foeniculum vulgare)은 발아율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만족할만한 발아율을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회향은 60%의 발아율은 나타내며 15, 20, 25, 15~20℃ 의 발아온도 처리간의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호르몬 처리나 물리화학적 처리에서도 발아를 증진시킬 수 없었다. 이러한 발아불량의 원인은 시호에서와 같이 결국 무배종자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해부현미경과 주사현미경으로 종자의 배와 주공을 관찰한 결과 배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비율이 1/1이며 주공자체내에는 문제가 없었다. Y자형과 일자(一字)형의 배를 가진 종자가 동시에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