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마늘 절임에서 분리 동정된 Leuconostoc citreum SK2556 균주에 의한 마늘 발효 배양액 급여가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은 33주령 산란계(Hy-Line Brown) 180수를 공시하였고,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 다. 전체 사양기간동안 산란율은 대조구, FG (발효마늘) 0.3 및 FG 0.5 처리구는 78.02~78.53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FG 0.1 처리구(75.37±3.22)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5).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 전기간 Haugh unit에서는 마늘 발효액 FG 0.1이 대조구와 FG 0.5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혈액 내 Glucose는 모든 마늘 발효액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간 기능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알칼리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는 FG 0.3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산란계 사료 내 마늘 발효 배양액 급여는 계란의 Haugh unit의 향상으로 계란의 신선도를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건강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사료첨가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2.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자익 Virus병에 감염된 마늘인편에 열처리, 화학치료제의 효과를 본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중 또는 기중 열처리에 있어서 공히 에서 35일간-1시간의 처리로서는 마늘 Virus의 불활성 화효과가 없었고, 에 분간의 처리로서 마늘엽에 나타난 병징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식물체의 생장력이 매우 약화되었으므로 열처리로서는 마늘 Virus를 완전히 불활성화 시킬 수 없었다. 마늘 인편을 의 Malachite Green, 동농도의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또는 의 Quinhydrone 수용액에 24시간 침윤처리한 후에 식재생장한 마늘엽에 모자익 병징은 감소되었으나 고농도에서 마늘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의 Naphthyl Activ A챵에 침윤한 마늘 인편을 식재 하였을 때에도 생장한 마늘엽에 모자익 병징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았다. 수정한 Murashigh-Skoog 배지에 의 Naphthyl Acetic Acid를 가용하여 마늘의 조직을 배양하였을 때에는 신생한 마늘식생체내에 Virus가 불활성화되어 엽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직세포내에는 봉입체가 형성되지 않고, 정상적인 핵을 가진 건전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3.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 시군별 마늘 생산성에 관한 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후 노출지수, 기후 변화 민감도 지수, 기후 변화 적응 능력 지수를 가중치와 함께 도출하였으며, 각 지수 도출을 위한 변수들도 가중치별로 산정하여 최종적으로 평가하였다. 마늘 생산성의 취약성 지수는 제주시, 고흥군, 창녕군, 서귀포시, 신안군이 각각 취약성 0.92826, 0.92374, 0.85635, 0.82150, 0.81360으로 높았다. 기후변화 민감도 평균지수는 제주도가 가장 높았고,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균지수는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순으로 높았고, 제주도와 강원도가 낮았다.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수에 대한 기여도는 GRDP농림어업, 지역내 총생산(GRDP)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농경지 면적당 농업인구수, 경지면적당 정비사업 관계직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후노출 변수와 기후노출 지수와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파종 및 정식기 마늘이 저온에 의한 피해정도가 심각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민감도 변수와 민감도 지수에서는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응능력 변수와 적응능력 지수의 상관관계에서는 재정자립도(%)와 농경지 면적당 농업인구수(명/ha)가 각각 r2 = 0.610과 0.511로 적응능력 지수와 가장 높은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취약성 지수는 적응능력 지수가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고(r2 = 0.424), 그 다음이 민감도 지수(r2 = 0.333), 기후노출 지수(r2 = 0.225)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구비는 취약성을 극복하는 중요한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