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ge-stage two sex life table was constructed for a predatory lacewing, Chrysoperla carnea feeding on 3 different canola feeding aphids; mealy cabbage aphids, Brevicoryne brassicae (L.), mustard aphid, Lipaphis erysimi (Kaltenbach) and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t 25± 1oC and 65 ± 1% RH. The immature development duration was shortest on M. persicae (17.3 days). While, C. carnea completed its immature developmental period in 21.1 days, which was longest among other, tested aphids. Similarly, survival of C. carnea was higher on feeding M. persicae and lowest on L. erysimi. Female egg laying of predator was also higher on M. persicae, followed by B. brassicae and L. erysimi. These results show that M. persicae favors the quick development and higher reproduction of C. carnea as compared to B. breassicae and L. erysimi. This information is useful in relation to mass rearing of C. carnea and in biological control of canola aphids by using C. carnea.
        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간냉동건조분말, 누에번데기냉동건조분말, 수벌가루를 각각 첨가하여 만든 인공사료들을 이용하여 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 pallens(Rambur))를 사육한 결과 누에냉동건조분말을 1% 수준으로 첨가한 먹이에서만 효율이 증대되었으며, 유충발육기간이 15.60.99일, 고치무게가 2.94mg, 성충까지의 생존율이 89.3%로 나타났다. 또한 소간냉동건조분말, 소고기냉동건조분말, 달걀냉동건조분말 그리고 설탕을 각각 4/4/3/4의 비율로 놓고 비타민 C와 Vanderzant의 비타민 B 혼합물을 각각 50mg씩 넣은 먹이로 칠성풀잠자리붙이를 사육한 결과 유충발육기간이 1.45일, 고치무게가 2.24mg, 성충까지 생존율이 100%fh 나타났으며, 산란 시작후 20일간의 산란수가 70.4개에 달해서, 이 인공사료를 이용한 칠성풀잠자리붙이의 대량사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딧물류의 천적인 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 pallens Ramber)를 계란의 난황, 효모가 수분해물, 맥주효모 또는 Vanderzant의 비타민 혼합물, 설탕과 벌꿀 또는 설탕, 카세인가수분해물, 콜레스테롤로 구성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하였다. 인공사료의 조성에 따라 1령유충부터 사육한 결과 20~70%가 정상적인 성충으로 자랐으며, 사육성적이 가장 뛰어났던 인공사료를 성충에 먹였을 때 230개의 수정란을 36일간에 걸쳐 산란하였다. 복숭아진딧물의 비지질성분이 지질성분보다 칠성풀잠자리붙이의 발육에 영양원면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누에용 분말(粉末)을 첨가(添加)하여 만든 인공사료(人工飼料)가 갑오풀잠자리 성충(成蟲)의 산란(産卵)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외(野外)에서 채집(採集)한 성충(成蟲)에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을 급여(給與)한 것은 진딧물을 급여(給與)한 것에 비하여 사육초기(飼育初期)에는 산란력(産卵力)이 다소 높았으나 사육후기(飼育後期)에는 현저히 낮았다. 2. 실내(室內)에서 우화(羽化)한 성충(成蟲)에 탈지(脫脂)하지 않은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을 급여한 것은 산란(産卵)이 없었으나 탈지(脫脂)한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을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산란(産卵)이 가능(可能)하였다. 3. 성충(成蟲)의 우화후(羽化後) 산란개시일(産卵開始日) 및 암컷 1마리당(當)의 산란수(産卵數)는 무우테두리진딧물, 누에용 분말(粉末)(탈지(脫脂)한 것)과 사료첨가(飼料添加) 성분의 혼합물, 누에용 분말(粉末)(탈지(脫脂)한 것과 하지 않은것)과 사료첨가(飼料添加) 성분의 혼합물, 탈지(脫脂)한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 등(等) 4종(種)의 식이물(食餌物)에 있어서 각각(各各) 5, 9, 9, 11일(日) 및 166.8, 110.2, 96.1, 66.1개(個)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