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사용 능력과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사용 수준이 노인의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Covid-19) 대유행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그 어느 때보다 노인의 심리적 복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정보사회발전연구원(KISDI)이 2018년과 2020년에 수집한 한국 미디어 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과 자존감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노인이 더 많은 인터넷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었고, 자아존중감의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과 2020년 사이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한 응답자들의 경우, 자존감 수준이 정체되거나 감소한 응답자들에 비하여 자존감의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결과는 독거노인의 경우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이 낮고, 심리적인 건강 측면에서도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 기기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소셜 미디어 활용을 도울 수 있는 노인 대상 사회서비스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사회적 관계 면에서 스마트 기기 활용과 소셜 미디어 사용이 취약한 노인의 심리적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gional education experts from various developing countries (Bangladesh, Nepal, Sierra Leone, Tanzania, The Gambia) of west Africa and Asia-Pacific regions and experts in ICT in education from Korea cooperated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ICT utilization for schools in developing countries. From their research and reflections of participants' countries situation following things are recommended to be considered with priorities. Firstly, the expected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introducing ICT in developing country schools from six levels including (teachers level, schools level and communities level). Then, solutions thereto are derived for the following six aspects: motivation of teachers, awareness building, Funds, ICT training for teachers, ICT equipment for the teacher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s an economy with archipelago contour and one of the largest populations in the world, Indonesia faces specific challenges in utilizing ICT for education nationwide.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such challenges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Kim YoungHwan’s categorization of ICT utilization challenges, and then breaks down such categories into more explanatory sub-categories, along with order of frequency. Hence, this study aims at systematically describing challenges in utilizing ICT in Indone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bjective instrument to measure ICT utilization abil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and verify its validity and goodness of fit. With the developed scal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7 day care center teachers.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all questions was over .6,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instrument consisting of 20 questions in 4 factors was verified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perform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GFI=.949, AGFI=.898, and RMR=.029, indicating that the goodness of fit index is sufficient to be used as a measuring model. The scales of ICT utilization ability are composed of 4 factors: Factor 1 is called editing, Factor 2 is program application, Factor 3 i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Factor 4 is named communication. With these factors, the measuring device for ICT utilization abil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which is composed of a total of 20 questions, is confirm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ICT 활용 및 인식에 따른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교사 수준과 학교 수준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ICILS 2018의 학교와 교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집단 분류를 위해 ICT 활용 실태는 교사 주도 활용, 학생 주도 활용, 평가 활용, 일방향적 도구 사용, 상호작용적 도구 사용,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를, ICT 활용에 대한 인식은 ICT 자아효능감, ICT 활용의 긍정적/부정적 결과 인식, 협업에 대한 인식을 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잠재집단은 저수준집단(27.6%), 평균집단(45.1%), 활용고수준집단(14.2%), 소통고수준집단(10.2%), 활용소통고수준집단(3.0%)으로 분류되었다. 잠재 집단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교사 수준에서는 연령대와 담당과목이,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 규모, 지역규모, 전문성개발풍토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내 전문성개발풍토가 교사의 ICT 활용과 인식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