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the liberalization of gaming industry in 2002, Macau has become the leading destination for gaming, leisure and entertainment in Asia. Recently, few large-scaled integrated resorts (IR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ned to public, bringing more diversified destinations for visitors in Macau. These include casino, hotel, food and beverage, retail, entertainment, etc. With this, there is no doubt that IR operators have to understand how consumers behave and respond to value added products in the IRs. Differentiating one IR from another raises the significance of innovating resort products to retain existing consumers and attract new ones.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impact of potential non-gaming value added products at Venetian Macao Resort on consumers’ patronage and has identified what key subitems can be added to stimulate consumers’ feedback and make them revisit the resort, recommend it to others or be interested in visiting it someday. Questionnaire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proved the importance of potential value added products at Venetian Macao Resort in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were offered to the management group of Venetian Macao Resort for its future implementation of value added products. Moreover, the results will encourage other IRs in Macau to improve further towards the goal of shaping Macau in becoming a world class tourist destination. First time visitors are more likely to consume in the areas of hotel, retail and casino, while multi-time visitors would prefer to spend on hotel, retail and F&B. To some extent, implies that casino does not seem to be the key activity to make the previous guests return. In addition, spending in hotel, retail and F&B are ranked high on visitors’ preferences, indicating that visitors at Venetian Macao Resort are willing to have diversified consumptions in the non-gaming areas. Moreover, the ways of value adding in terms of promotional pricing, new technology application, upgrading of products, customization and rewarding system can be used frequently as references for the future product improvement at the resort.
        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 소비자들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 및 관심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기존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경험을 가진 소비자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회적기업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대가로 현장에서 제공받는 다양한 주관적 보상의 개념인 관계혜택이 재구매나 추천의도 등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이 해당 사회적기업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회적기업과의 동일시 정도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과 고객행동(재구매의도, 추천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이 고객행동(재구매의도,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1은 부분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혜택과 확신적 혜택이며,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확신적 혜택이었다. 가설 2는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이 개인-기업 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은 개인-기업 동일시는 고객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3은 채택되었다. 가설 4는 개인-조직 동일시가 관계혜택(사회적 혜택, 특별우대 혜택, 확신적 혜택)과 고객행동과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이며, 검증 결과 가설 4는 부분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개인-기업동일시는 사회적 혜택 및 확신적 혜택과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고, 확신적 혜택과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분석결과, 사회적기업 마케팅 측면에서 개인-기업 동일시, 관계혜택에 집중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재구매와 추천의도와 같은 고객의 구매행동을 기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안을 제언하였다.
        6,300원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독성은 글자의 읽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해설판의 정보전달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해설판의 가독성이 탐방객의 관심유발과 해설판 읽기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가독성과 해설판의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데이터 수집은2003년 8-11월중에 내장산 국립공원 내 자연관찰로 탐방객 중에서 선정된 총 375명을 대상으로 관찰로 주변에 설치된 해설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중 이용 가능한 350명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가독성은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독성 이 높으면 높을수록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가독성과 더불어 관심유도와 선호도도 해설판 읽기권유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세 변수중 선호도는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에 대하여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설판의 가독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해설판 읽기 행동의 증대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덕평자연휴게소, 마장프리미엄휴게소, 망향휴게소를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고속도로 휴게소의 테마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휴게소에 대한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조사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독특한 테마로 구성되어있는 ‘화장실’, ‘체험문화공간’, ‘식당’에 대한 만족도가 휴게소에 대한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실’과 ‘체험문화공간’은 휴게소에 대한 추천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속도로 휴게소의 이색적인 테마공간, 특히 만족도가 가장 높은 테마화장실 조성을 통한 차별화 전략이 고객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고 긍정적 구전효과를 일으켜 휴게소 운영의 활성화 및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