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개미사돈아과는 반날개과에서 두 번째로 큰 분류군이지만 다른 아과에 비해 연구가 가장 미흡한 분류군 중 하나이다. 개미사돈아과 내 다른 모든 아과의 자매군인 Faronitae상족은 비교적 작은 상족이며 최근 뉴질랜드 지역에서 종 수준의 포괄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Faronitae상족의 12속을 좀 더 쉽고 빠르게 동정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활용한 interactive 분류키를 작성하였다. 분류키는 Lucid 3.3 builder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총 36개의 형질과 134개의 형질상태를 사용하여 작성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현재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별키 프로그램이며, 제작 후 배포에도 용이하여 다른 연구자들에게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포함된 속은 현재 뉴질랜드에 알려진 모든 속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Faronitae상족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웹 기반의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ecies identification, the process of finding the taxon to which a specimen belongs, is a difficult and frustrating task for most biologists but is absolutely fundamental to most biological research. However, proper species identification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on the particular taxon, thus can be problematic and confusing for non-professional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computer-based interactive identification key has been widely used. In order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process and promote effective utilization of Korean species, Korean Indigenous Interactive Key System (KIIS) was developed. Moreover, image-based online ident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broaden the range of users from non-experts to professionals. As the use of mobile device became significant in people’s lives, we further developed mobile web-based identification system.
        3.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많은 학자들이 편리한 동정을 위해 검색키를 사용해 왔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검색키로는 전통적인 검색키와 대화형 검색키가 있다. 전통적인 검색키는 기본적으로 트리구조로, 두 가지 형질 중에 양자택일을 하여 순차적으로 형질을 선택해 가는 방법이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양자택일의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형질선택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 반면에, 대화형 검색키는 트리구조와 관계없이 어떠한 단계의 형질이든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대화형 검색키 구조를 응용하여, Pictorial Key를 추가한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 복잡한 용어나 수식이 필요 없이, 이미지만을 이용한 직관적인 동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비전문가나 일반인들도 사용할 수 있는 검색키 작성이 가능해진다. 이 방법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나비 200종에 대한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동정시스템을 구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