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포도 주요 재배 품종인 ‘캠벨얼리’에서 잎의 가장자리를 말고 그 속에서 갉아먹는 해충의 피해가 흔하게 관찰되고 있으며 기존에 포도들명나방 (Herpetogramma luctuosalis)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포도들명나방의 발육단계별 이미지 수집을 위해 김제 포도원에서 채집한 피해잎 속에서 월동하 는 고치를 실험실로 가져와서 우화시켰을 때 기존에 알려져있던 포도들명나방과는 형태적으로 달라서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하여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김제, 영동 지역의 포도원에서 포도잎을 가해하는 유충을 채집하여 실험실에서 사육하여 얻은 성충의 생식기와 유충의 유전자를 검정한 결과 연무늬들명나방(Syllepte pallidinotalis)으로 동정하였다. 성충의 몸길이가 12mm 정도이며 날개 편 길이는 22∼23 mm이며 두부, 흉부, 복부에 이르는 등면 체색은 옅은 갈색. 아랫입술수염은 갈색이며 위로 굽었다. 더듬이는 황갈색. 앞날개는 옅은 갈색이며 날개 기부, 특히 전연 기부는 어둡다. 정확한 종 동정으로 농업현장에서의 혼선을 차단하고, 연무늬들명나방의 방제효과 증진으로 과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괭이갈매기는 국내에서 서식하는 대표적인 바닷새로, 서해와 남해뿐만 아니라 동해까지 집단 번식지가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괭이갈매기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이 서해와 남해에서 번식하는 개체에 집중되고 있어, 동해 지역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해 울릉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 4개체를 대상으로 2021년과 2022년 5월에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300)를 부착하여 이동경로와 행동권 분석을 실시하였다. 괭이갈매기는 번식기간에 울릉도 주변 또는 강릉에서 울진에 이르는 동해 연안까지 활동범위로 삼았고, 번식기 이후에는 일본의 중남부 지역으로 이동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번식기간 MCP 분석에서 행동권 평균면적은 9,476± 10,066㎢로 확인되었고, KDE 분석에서는 95%일 때 3,574±3,378㎢, 50%일 때 289±200㎢로 나타났다. 번식기간 이후 일본에서의 MCP 행동권 평균면적은 1,899±3,127㎢이었고, KDE 95%는 2,844±4,787㎢, KDE 50%는 385±635㎢ 의 행동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동해와 일본 연안을 이동하며 서식하는 괭이갈매기의 행동권을 제공함으로써, 괭이갈매기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흑비둘기는 상록수림이 분포하는 해안가 및 도서 등 동아시아-태평양 섬에만 분포하는 희귀한 종으로 생물학적 보존 가치가 높아 국내에서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울릉도에서 서식하는 흑비둘기 3개체를 대상으로 2021년과 2022년 6월에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300)를 부착하여 이동경로 및 행동권을 분석하였다. MCP(최소볼록다각형법) 분석에서 행동권 평균 면적은 9.6㎢로 확인되었고, KDE(커널밀도추정법) 는 95%일 때 6.6㎢, 50%일 때 1.8㎢로 나타났다. 개체별 MCP는 각각 BW1 0.4㎢, BW2 27.4㎢, BW3 1.0㎢으로 확인되었며, KDE 95%일 때 BW1 0.2㎢, BW2 19.4㎢, BW3 0.3㎢, KDE 50%일 때 BW1 0.02㎢, BW2 5.4㎢, BW3 0.03㎢로 나타났다. BW2의 행동권이 다른 개체들 보다 넓게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한정된 지역에 먹이 경쟁 등 서식환경에 따른 차이로 추정된다.
        4,000원
        4.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n three presumed natural interspecific hybrids of the genus Sarcocheilichthys, collected from the main stream of the Seomjin River and its tributary, Dongbokcheon Stream, as well as their parent species, S. nigripinnis morii and S. variegatus wakiyae, to identify whether they are natural hybrids and to determine their maternal and paternal species. The results of the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three presumed natural hybrids are indeed natural hybrids of S. nigripinnis morii and S. variegatus wakiyae, with S. nigripinnis morii identified as the maternal species and S. variegatus wakiyae as the paternal species. The three natural hybrids exhibited intermediate or unique morphological traits that were not biased towards either parent species, and distinc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the dorsal fin and caudal fin. In the water bodies where the natural hybrids were collected, a variety of Acheilognathinae species and spawning hosts coexisted alongside the parent species S. nigripinnis morii and S. variegatus wakiyae. It is presumed that the overlapping spawning periods and locations of S. nigripinnis morii and S. variegatus wakiyae promoted the occurrence of hybrids. The unidirectional occurrence of natural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s attributed to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population imbalance, and the sneaker behavior of S. variegatus wakiyae males was proposed as an important mechanism.
        4,600원
        5.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ppa conspersa (Matsumura, 1931)를 포함한 Ippa Walker, 1864 속의 한국 분포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I. conspera의 유충은 Lasius (Lasius) spp. 와 같은 몇몇 개미류를 포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국산 I. consper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 유충의 외부 형태를 기재하 고 도판을 제시하였다.
        4,000원
        6.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는 동·식물의 서식지와 개체군을 감소, 소멸시키며, 생물다양성 보존에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도롱뇽과 (Hynobiidae)에 속한 종들은 다른 분류군들에 비해 행동권이 작고, 분산 능력이 극히 제한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한 분류군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꼬리치레도롱뇽(Onychodactylus koreanus)의 관찰지점과 종 분포 모델링 기법을 바탕으로 국내 서식하고 있는 한국꼬리치레도롱뇽의 주요 분포지역과 서식특성을 파악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변화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고도가 그들의 분포에 가장 주요한 영향을 끼친 환경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강원도와 경상북도와 같은 고도가 높은 산림 지역에 밀집된 분포 형태를 보였다. 이처럼 종 분포 모델에서 예측된 공간적 분포 범위와 서식특성은 선행 조사 결과를 충분히 포함하고 있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변화를 확인한 결과, 한국꼬리치레 도롱뇽은 현재 분포 범위에 비해 RCP4.5 시나리오에서 62.96% 가 감소할 것으로, RCP8.5 시나리오에서는 98.5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어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 적합 공간들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델의 AUC 값은 현재에서 0.837, RCP4.5에서 0.832, RCP8.5에서 0.807로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영향을 받는 양서류의 보전 대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한국꼬리치레도롱뇽의 생활사에 따른 서식지 특성과 미세한 서식 요인들이 반영된 다양한 분석기법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종 감소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환경 요인들을 밝혀낼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라오스지역에서 분포하는 미소 나방인 Promalactis vittapenna종을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미기록 종의 분류학적 진단과 분포 정보, 성충과 생식기 도해사진을 제시하였다. 또한, 라오스 전체 종에 대한 분류학적 키를 함께 제공하였다.
        4,000원
        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합천댐 및 주변하천에서 서식하는 어류상과 외래도입종인 블루길 개체군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합천댐 및 주변지류에 서식하는 어류를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조사를 수행한 결과, 확인된 어류상은 총 10과 30종 1,785개체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 8종(고유화율 21.8%), 외래도입종 3종, 생태계교란 생물 2종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와 과거조사를 비교한 결과, 과거조사에서 12과 36종이 보고되었고, 과거조사시 확인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조사되지 않은 종은 총 14종으로, 합천호에 대해 세밀한 조사를 시행할 경우 대부분 확인될 것으로 판단된다. 합천호에 우점종으로 확인된 블루길 개체군에 대해 전장-체중 관계식을 분석한 결과, 연령구조는 1~2년생의 개체군이 많이 확인되어 개체군이 급격히 성장하는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와 전장-체중 관계식은 모두 양호한 상태로 확인되어 블루길 개체군에 대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사용하여 합천댐 및 주변하천에 서식하는 블루길 개체군에 대한 성장 및 동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여진다.
        4,000원
        9.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울산권 4개 용수댐에서 서식하고 있는 어류상과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블루길에 대한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울산권 4개 용수댐 및 주변지류에 서식하는 어류를 대상으로 2016년부 터 2017년까지 연구를 실시한 결과, 총 9과 28종 1937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한국고유종은 6종(고유화율 21.4%), 외래종 4종, 생태계교란 생물 2종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어류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우점종 및 아우점종을 확인한 결과, 우점종은 블루길, 아우점종은 치리로 확인되었다. 블루길 개체군의 연령구조를 조사한 결과, 울산권 4개 용수댐은 만 1~2년생 의 개체군이 많이 확인되었으며, 개체군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단계로 판단된다. 또한, 블루길 개체군의 전장-체중 관계식 및 비만도를 분석한 결과, 울산권 4개 용수댐의 전장-체장 관계식은 회귀계수 b값이 3.0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블루길 개체군이 서식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만도는 기울기 값이 양의 값을 보이며, 성장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울산권 4개 용수댐에 서식하는 블루길 개체군의 동향 예측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4,200원
        1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산 미소나방류의 연구는 1983년도 박규택에 의해서 기록된 이후로, 현재 한국의 미소나방류 연구는 주로인천대학교, 한남대학교, 충북대학교, 목포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발표에서는 인천대학교 학생들의나비목 연구만을 중점적으로 이야기하고자 한다. 인천대학교에서 수행하는 나비목의 주요 분류군으로는 한국과동남아시아산 Erebidae와 혹나방과(Nolidae), 한국산 풀명나방아과(Crambinae), 집나방과(Yponomeutidae), 곡식좀나방과(Tineidae), 어리굴나방과(Tisheriidae), Eublemminae, 그리고 한국과 라오스산 들명나방아과(Pyraustinae)의 연구를활발히 수행 중에 있다.
        1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북미 지역이 원산지인 미국선녀벌레는 2005년 국내 분포가 발견된 이후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침입해충이다. 현재까지 미국선녀벌레에 대해 생활사 등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으나, 확산과 관련된이동 능력에 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국선녀벌레의 확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1) 단거리수평 이동, 2) 도약 이동성, 3) 확산성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실험실내에서 미국선녀벌레를 방사 후 일정기간관찰 진행하였다. 단거리 수평 이동은 미국선녀벌레 60개체를 30 분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이동 거리는 약 260cm, 출발점 기준 직선 이동 거리는 100 cm 이내였다. 80개체를 이용한 도약 이동성 실험에서 평균 비행 시간은10 초였으며, 약 270 cm를 도약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주식물 존재 시 미국선녀벌레의 확산성에 관한 실험에선134개체가 2시간 동안 평균 약 3 m를 이동하였으며, 최대 25 m까지 이동하는 개체들이 관찰되었다.
        1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풀명나방아과 (Crambinae)는 1810년 Latreille에 의해 처음 확인된 그룹이며, 전 세계적으로 1987종이 기록되어있다. 한국산 풀명나방아과는 기존 연구에서 20속 48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포충나방아과”라는 국명으로 분류되었다.본 연구를 통하여, “포충나방아과”에 대한 국명을 “풀명나방아과”로 정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국명 정리를 수행하였다.또한, 분류학적 연구를 통하여 1 미기록속, 2 신종후보종, 9 미기록종을 포함하여 총 21속 58종의 풀명나방아과를정리하였다.
        1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외래 곤충의 돌발발생 가능성이 상승함에 따라 외래종의 신속․정확한 확산 및 변화예측진단을 통한 조기방제의 필요성이 시급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침입한 외래 곤충의 대상을 설정하고종별 진단정보, 기주식물, 분포, 서식지 특성, 천적 등의 생물학적 특성을 비롯하여 생태특성과 개체군 및 군집생태의모델링을 통해 정착, 확산 및 영향예측을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추진전략 및 국내외의 관리시스템과연구동향 및 주요 산림해충 발생현황을 사례로 보고한다.
        1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은 반도국가의 특성상 외국으로부터 우연히 침입한 외래해충이 많으며, 이들은 원산지에서는 적정한 개체군이 유지되어 문제가 되지 않지만, 미국흰불나방이나 갈색날개매미충처럼 국내에서 극심한 피해를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소나무허리노린재(Leptoglossus occidentalis)나 뾰족날개선녀벌레(Salurnis marginella) 등 많은 외래해충의 기록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산림해충의 종수는 1,500종이 넘으나 솔잎혹파리를 비롯한 10여종의 주요해충을 제외한 나머지는 잠재해충 또는 비경제해충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이들은 언제라도 돌발해충으로 대발생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 캄보디아 및 라오스의 곤충다양성 조사를 통한 생물자원 확보현황과 향후 전략에 관해서 보고한다.
        1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는 월악산국립공원 2015년도 자연자원조사의 일환으로 국립공원내에 서식하는 거미류의 종조성과 분포도 를 분석하여 월악산국립공원의 생물자원을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월악산국립공원은 충청북도 제천시의 한수면, 덕산면, 수산면; 충주시의 살미면, 수안보면, 단양군의 적성면, 단성면, 대강면; 경상북도 문경시의 문경읍, 동로면에 동서로 걸쳐 있으며, 조사기간은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간 총 9회에 걸쳐 83개 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채집방법으로는 쓸어잡기, 털어잡기, 진동잡기 등을 실시하였다. 채집된 개체들은 현장 기록 후 96% 에탄올에 넣어 보관하였고,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이용하여 동정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월악산국립 공원에 서식하는 거미류는 모두 30과 11속 174종으로 확인되었다.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서식하는 거미류 중 종구성이 풍부한 과 우점순위는 깡충거미과 28종(16.1%), 꼬마거미과 25종(14.4%), 왕거미과 21종(1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분포로는 범세계종(Cosmopolitan spp.)이 3종, 구북계(Palearctic spp.)가 13종, 전북계(Holarctic spp.)이 6종으로 조사되었다.
        1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거미류는 생물종 다양성의 위치뿐 아니라 포식성을 이용한 생태계 균형 유지와 천연 농약으로서의 기능, 거미줄과 독 등을 이용한 공업이나 의약품 재료 개발 그리고 기후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환경 지표종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본 조사는 절지동물 중 번성한 동물군의 하나인 거미류의 치악산 국립공원 내 주요 지역에서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치악산 국립공원은 강원도 원주시의 동부 지역인 소초면, 행구동, 반곡ㆍ관설동, 판부면, 신림면과 횡성군의 우천면, 안흥면, 강림면에 남북으로 걸쳐 있으며 조사 기간은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총 8회에 걸쳐 68개 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채집방법으로는 Sweeping, Beating, Sieving 등을 실시하였다. 채집된 개체들은 현장 기록 후 96% Ethanol에 넣어 보관하였고,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통해 생물의 동정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치악산 국립공원에서 서식하는 거미류는 모두 29과 109속 169종이 확인되었다. 치악산 국립공원에서 서식하는 거미류 중 종 구성이 풍부한 과 우점순위는 접시거미과 27종(15.9%), 꼬마거미과 21종(12.4%), 왕거미과 20종(11.8%)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분포로는 구북계(Palearctic spp.)가 13종(7.7%), 전북계(Holarctic spp.)가 6종(3.6%), 범세계종(Cosmopolitan spp.)이 3종(1.8%)이었다.
        1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속적인 대형 개발 사업에 노출되어 있는 수도권 서부의 습지 주변 6개 비오톱에 서식하는 육상곤충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5년 까지 총 11년간 장기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시흥시 및 화성시 일대였으며, 습지 주변 비오톱 6곳을 지정하여 조사지역으로 선택하였다. 조사시기는 4, 6, 8, 10의 2개월 간격을 최대한 유지하였으며, 매회 스위핑법(sweeping)을 활용한 주간조사를 하였고, 6월 조사에서는 1개 지점에서 유아등과 스크린을 이용한 야간채집을 함께 수행하였다. 2005년 총 10목 76과 255종 출현을 시작으로, 2006년 10목 83과 273종, 2007년 13목 86과 282종, 2008년 13목 110과 354종, 2009년 12목 107과 338종, 2010년 10목 97과 295종, 2011년 12목 106과 337종, 2012년 11목 75과 220종, 2013년 9목 85과 232종, 2014년 조사결과 총 10목 101과 314종, 2015년 조사결과 총 11목 99과 361종이 출현하였다. 2005년부터 연도별 출현종수를 비교하면 2005년 10목 76과 255종으로 시작해서, 2008년 13목 110과 354종으로 최대종수를 기록하였고, 이후 감소추세가 이어져 왔으나, 14년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기후변화 및 생물군집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1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psolopha속 (나비목:Ypsolophidae)의 2종, Ypsolopha vittella (Linnaeus, 1758)와 Ypsolopha nigrofasciata (Yang, 1977)를 우리나라에서 는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두 종의 진단형질, 기재, 분포, 기주식물, 성충사진 및 암컷 생식기 사진을 제시하였다.
        4,000원
        20.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al status of endangered birds inhabit in Seongmo, Gyodong, Boreum Islands in 2009 from spring to autumn. The endangered birds observed in this area were a total of 16 species. The areas preferred to endangered bird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forest type of low mountain areas, the coast type of foreshore and mudflat areas and the open type of agricultural land. The forest type was mainly observed birds of prey, the coast type was mostly identified water birds and the open type was shared with birds of prey and water birds. The information in these endangered birds is determined that can be used as a basis data for protecting certain birds and habitats.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