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체사상 극복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이다. 연구에는 15명의 탈북민 기독교인들이 참여했으며 주체사상 극복의 내용과 맥락, 결과 등을 분석했다. 연구자는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의 2판과 4판을 혼용했으며 자료는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구성했다. 개방코딩에서는 116개의 개념, 36개 하위범주 14개 범주가 출현했다. 축코딩에서는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에 재배열했다. 인과적 조건은 주체의 감옥에 갇힘, 인간의 소외, 절대적 의존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으로는 한계상황 속의 나, 사상의 미로에서 탈출, 겉 사람의 잔재로 나타났다. 현상은 주체와 복음의 기로, 신앙적 경계인으로 나타났고 중재적 조건은 진정한 자유의 길 사랑, 예비하시는 하나님 체험, 복음으로 주체사상 해체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은 나의 십자가 지기, 성경적 정체성 재구성으로 나타났고, 결과는 북한선교 비전의 실천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성경공부를 통하여 복음이라는 강력한 무기로 주체사상을 해체하고 복음으로 다시 재무장하고 북한선교를 꿈꾸는 삶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reate a possibility to have a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juche idea. Due to the strong anti- cornmUIÚsm in the South Korean Church, it has been very difficult to initiate dialogue between them. The juche idea is the ruling ideology of North Korea,and plays the role of a substitute religion. It dominates everything, induding politics, economy, milit따y, culture, social life and individual life. In order to understand North Korea its sociery and its people,it is necessary to know what the juche idea is. It may help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of Korea and the post reunification period. For an effective mission in North Korea, it is worthy to analyze the juche idea ideologically and theologically. Christianity and the juche idea have different worldviews and methodologies: while Christianiry has a theocentric view, the juche idea has an anthropocentric idea. Christianity, particularly Reformed theology, has a GocI-centered view of histoty, whereas the juche idea has a human-centered understanding of it. Reformed theology believes in God's revelation and providence, but the juche idea pursues revolutionaty praaice for liberation.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nd disagreements berween Christianity and the jttche idea, we can discover similarities berween the juche idea and minjung theology. The juche idea differs from Reformed theology, but is closer to minjung theology. Both the juche idea and minjung theology affirm that human beings are the subjecrs of histoty, and emphasize the struggle for liberation from oppression and explot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