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OTT 플랫폼에서의 킬러콘텐츠 분석틀을 제시하고, 킬러콘텐츠로 주목받아 온 K-드라마 4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는 킹덤(시즌 1, 시즌 2, 아신전), 오징어게임, 지옥 그리고 애플티비플러 스가 출시한 파친코(시즌 1)이다.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킬러콘텐 츠 분석도구를 활용하였다. 킬러콘텐츠 분석도구는 문화콘텐츠 창출-소 통-향유의 체계 및 내적 구조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4편은 공통적으 로 내적구조 ① 스토리텔링, ② 이미지투르기에서 강점을 나타내었다. 킹덤의 경우 이외에도 ③ 캐릭터빌딩 구조가 탄탄했으며, 오징어게임의 경우 ㉡ 시대상황 및 ③ 캐릭터 빌딩에서 강점을 나타내었다. 지옥은 ③ 캐릭터 빌딩에서 압도적 강점을 나타내었고, 파친코는 (a) 문화원형 과 ㉢ 마케팅 부문에서 강점이 있다.
        5,800원
        2.
        202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민주화 이후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민간영역에서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다양성과 창의성을 가지면서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대 들어 한국의 문화콘텐츠가 글로벌 문화콘텐츠 로 나아가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의 문화콘텐츠의 발전과정은 2010년 이전까지의 한류 1기, 2010년 이후 2020년 이전까지의 한류 2 기, 2020년 이후의 한류 3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한류 1기는 아시아에서 K-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 열풍을 불게 하였으나 한편으로는 험한류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한류 2기는 전 세계에서 K-팝, K-드라마, K-무비를 중심으로 시작된 한류의 열풍이다. 한류 3기에서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세계인들이 함께하는 장르로 인식되면서 세계적인 유통망을 가진 넷플릭 스 등이 한국적 문화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에 참여하게 하였다. 결과적으 로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아시아의 한류를 넘어 세계의 문화콘텐츠로 세 계에 각인되고 있으나 자체적인 제작 여건과 유통망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8,3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ies with various approaches are requir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i) how the preferences of foreign students residing in Korea on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affect their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and ii) which of the factors have the strongest effects on their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preferences, the stronger effect on the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p=0.0001). Among the factors for Korean food preference, the most critical one was K-Wave preference (p=0.0001), followed by K-Drama preference (p=0.0500).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food,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our was K-Wave preference (p=0.0496), followed by K-Drama preference (p=0.0500). For the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the preference for K-Friend (p=0.0004), followed by K-Drama (p=0.0016) and K-Wave (p=0.0030). Based on these results, more efforts to invigorate the preferences for K-Wave and K-Drama, as well as various attempts to improve the preference for K-Friend are requir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4,200원
        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 and celebrities in China, Korean fashion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in the Chinese market. Although the effect of Korean drama on Chinse consumers’ attitudes toward Korean products are known,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impact of Korean drama on the development of consumer attitudes. Thus, this study examines how Chinese consumers’ exposure to Korean dramas has influenced their attitudes towards Korean fashion products. Applying the similarity-attraction theory, the study explores the roles Chinese consumers’ perceived similarities in appearance and values with Korean characters in TV dramas plays in the process of attitude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and the responses of 317 Chines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exposure to Korean dramas has a direct impact on Chinese consumers’ perceived appearance similarity, perceived value similarity, image of Korean people, and attitudes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results that support the theory of mere exposure. In addition,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perceived appearance similarity positively influences the image of Koreans among Chinese people, which, in turn, influences attitudes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supporting the similarity-attraction theory. However,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similarity on attitude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was not significant. The study concludes by describing i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and presenting ideas for future research.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