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K드라마의 소구 요인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로 2022년 글로벌 히트를 기록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해외 시청자 반응을 분석한 것이다. 이 드라마의 어떤 요소가 해외 시청자의 공감과 이해를 이끈 것인지 살펴, 한국 드라마의 해외 진출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함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영우”는 글 로벌 OTT의 현지화 전략에 따른 기획 제작 과정을 거치지 않은 토종 기획물임에 도 불구하고 아시아뿐 아니라 문화적 근접성이 낮은 서구권에서도 고르게 히트했 다는 사실에 주목해, 글로벌 웹 플랫폼 IMDb의 “우영우” 관련 리뷰 총 265건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이 드라마에 평점을 준 사용자의 86% 이상이 10점 만점에 8점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장애 캐릭터를 연 기한 박은빈에 대한 호평과 따뜻한 인간애를 강조한 이 드라마의 메시지에 공감한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리뷰에 언급된 가장 큰 이슈는 자폐 장애 재현에 대한 상반된 평가였는데, 그러한 논란은 사회 정의와 인권 존중의 휴머니즘 담론으로 수 렴되고 있었다. 기존의 한류드라마 인기가 ‘문화적 근접성‘에 기반된 것이었다면, 이 드라마는 ‘문화적 보편성’을 지닌 초국적 요소들로 전 세계인의 공감과 이해를 얻어낸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K드라마의 히트 요인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사 례일 뿐 아니라,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문화 시장 진출과 국가 간 문화교류의 전략 및 정책 수립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OTT 플랫폼에서의 킬러콘텐츠 분석틀을 제시하고, 킬러콘텐츠로 주목받아 온 K-드라마 4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는 킹덤(시즌 1, 시즌 2, 아신전), 오징어게임, 지옥 그리고 애플티비플러 스가 출시한 파친코(시즌 1)이다.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킬러콘텐 츠 분석도구를 활용하였다. 킬러콘텐츠 분석도구는 문화콘텐츠 창출-소 통-향유의 체계 및 내적 구조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4편은 공통적으 로 내적구조 ① 스토리텔링, ② 이미지투르기에서 강점을 나타내었다. 킹덤의 경우 이외에도 ③ 캐릭터빌딩 구조가 탄탄했으며, 오징어게임의 경우 ㉡ 시대상황 및 ③ 캐릭터 빌딩에서 강점을 나타내었다. 지옥은 ③ 캐릭터 빌딩에서 압도적 강점을 나타내었고, 파친코는 (a) 문화원형 과 ㉢ 마케팅 부문에서 강점이 있다.
민주화 이후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민간영역에서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다양성과 창의성을 가지면서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대 들어 한국의 문화콘텐츠가 글로벌 문화콘텐츠 로 나아가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의 문화콘텐츠의 발전과정은 2010년 이전까지의 한류 1기, 2010년 이후 2020년 이전까지의 한류 2 기, 2020년 이후의 한류 3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한류 1기는 아시아에서 K-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 열풍을 불게 하였으나 한편으로는 험한류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한류 2기는 전 세계에서 K-팝, K-드라마, K-무비를 중심으로 시작된 한류의 열풍이다. 한류 3기에서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세계인들이 함께하는 장르로 인식되면서 세계적인 유통망을 가진 넷플릭 스 등이 한국적 문화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에 참여하게 하였다. 결과적으 로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아시아의 한류를 넘어 세계의 문화콘텐츠로 세 계에 각인되고 있으나 자체적인 제작 여건과 유통망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Studies with various approaches are requir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i) how the preferences of foreign students residing in Korea on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affect their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and ii) which of the factors have the strongest effects on their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K-Wave, K-Drama, K-Pop and K-Friend preferences, the stronger effect on the prefer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p=0.0001). Among the factors for Korean food preference, the most critical one was K-Wave preference (p=0.0001), followed by K-Drama preference (p=0.0500).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food,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our was K-Wave preference (p=0.0496), followed by K-Drama preference (p=0.0500). For the repurchase intention on Korean foo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the preference for K-Friend (p=0.0004), followed by K-Drama (p=0.0016) and K-Wave (p=0.0030). Based on these results, more efforts to invigorate the preferences for K-Wave and K-Drama, as well as various attempts to improve the preference for K-Friend are required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s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 and celebrities in China, Korean fashion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in the Chinese market. Although the effect of Korean drama on Chinse consumers’ attitudes toward Korean products are known,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impact of Korean drama on the development of consumer attitudes. Thus, this study examines how Chinese consumers’ exposure to Korean dramas has influenced their attitudes towards Korean fashion products. Applying the similarity-attraction theory, the study explores the roles Chinese consumers’ perceived similarities in appearance and values with Korean characters in TV dramas plays in the process of attitude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and the responses of 317 Chines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exposure to Korean dramas has a direct impact on Chinese consumers’ perceived appearance similarity, perceived value similarity, image of Korean people, and attitudes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results that support the theory of mere exposure. In addition,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perceived appearance similarity positively influences the image of Koreans among Chinese people, which, in turn, influences attitudes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supporting the similarity-attraction theory. However,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similarity on attitude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was not significant. The study concludes by describing i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and presenting idea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