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2.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stainable capacity building of the rice value chain in Africa is essential in achieving the rice self-sufficiency and poverty alleviation. The breeding capacity enhancement has also been at the heart of AfricaRice’s mandate. Therefore, the Korea-Africa Food and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has concentrated breeding capacity enhancement for young breeders or breeding technicians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the KAFACI member countries. Four-month trainings have been conducted at the Regional Training Center located in Saint Louis, Senegal. The actual practice training is as follows; First is to learn practical skills and techniques of key aspects of rice breeding which are field preparation and layout, sowing, transplanting, fertilizer application, weed control, water management, hybridization/crossing, selecti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determination, and rice palatability testing. Second is to learn some theoretical aspects of plant breeding through lectures including basic principles of breeding, evaluation for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rd is to learn about the accurate use of field and lab equipment for rice breeding. Forth is to learn about proper scientific reporting and presentation. The courses were organized twice per year following two rice cultivation seasons in Senegal. From 2019, a total of 24 trainees participated in the 4 month courses. We believe they have acquired the basic knowledge and skills to implement rice breeding activities indpendently in their countries.
        2.
        2022.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Korea-Africa Food and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has been cooperating with AfricaRice since 2014 for the eradication of hunger and poverty in Africa through sustainable agriculture and its industrialization. At first, rice breeding activities for staple food production started with KAFACI member countries by sharing high-yielding Tongil-type rice breeding lines and varieties. The Africa Rice Development Partnership project entitled “Enhancement of high-yielding rice germplasm and breeding capacity of rice producing countries in Africa” is implemented for the period from 2016 to 2025 with three phases. The actual rice breeding activities have been conducted by applying anther culture haploid breeding technology in the laboratory and field of AfricaRice Saint-Louis center. The 1,547 elite lines selected through participatory variety selection were distributed to 21 national breeders of KAFACI member countries. These lines derived from the 1,181 cross combination and 34,616 breeding lines on Korea and AfricaRice germplasm crossed. Among them 11 new Tongil-type rice varieties have been selected and registered in the national variety catalogue of Senegal, Mali, Rwanda, Malawi, and Tanzania.
        3.
        2022.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limate change has severely impacted food security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Africa. The scarcity of rains and the severe drought affecting the Sub-Saharan and the horn of Africa have impoverished the soil, and water resources, and have caused the death of livestock in countries like Sudan, Ethiopia, Kenya, Niger, and etc. On the other hand, the usage of chemical fertilizers for soil and crop nutrients is becoming an economic and environmental burden for African farmers. Thus, the necessity to implement sustainable agricultural technics to maintain and improve soil fertility by applying natural nutrients obtained from livestock manure while livestock is fed with crop residues in a single agricultural area. Although this farming system offers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nefits to farmers, particularly in the rural and semi-urban areas, its implementation is very low in Africa because of: 1) constant migration of herders in the search of green pasture for livestock, making the collection of manure difficult, 2) religious and traditional beliefs considering animal waste as not being pure to be applied on crops, 3) conflicts between herders and farmers over the control of water resources and arable lands, making the cohabitation of livestock and crops in one farmland unlikely, and 4) the habit of crop residues burning, which is not just harmful to the environment but also a waste of natural livestock fed. Based on the reviewed literature, the Korea-Africa Food and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plan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integrated crop-livestock project in KAFACI member countries with the mission 1) to diffuse the importance of using natural nutrients for improving soil fertility and enhancing crop and livestock productivity in Africa, 2) to train researchers and farmers on new technologies for manure treatments, 3) to demonstrate the benefits of using livestock manure for soil fertility, crops nutrients, while using crop residues as livestock nutrients, and 4) contribute to enhancing sustainable agriculture in Africa through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by reducing livestock’s waste and crop residues burning.
        4.
        2022.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아프리카 농식품기술협력 협의체 KAFACI(Korea-Africa Food and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는 2010년 7월 아프리카 16개국과 한국을 포함하여 17개 회 원국으로 출범하였다. KAFACI는 농촌진흥청(농진청) 주도의 농업연구개발 다자간 협력 사업으로 아프리카의 공통 농업현안 해결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출범 당시 농진청은 아프리카 농업연구개발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였고, 아프리카 국가들도 한국 농업연구에 대해서 아는 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농진청-아프리카 농업연 구소 간 상호이해와 협력관계 구축이 시급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출범 후 5년 동 안은 각 회원국이 희망하는 분야의 농업기술을 개발하는 국별과제에 집중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축된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2015년 3차 총회에서 국별과제를 다자 협력에 적합한 분야별 사업으로 개편하고, 기초·식량·원예·축산·농촌지도 5개 분야 협력과제를 착수하였다. 이러한 분야별 공통현안 발굴 및 추진 체계는 현재 까지 지속되고 있다. KAFACI는 분야별 협력체계 구축과 병행하여 성과의 조기 도 출을 위한 중점 분야 발굴을 시도하였다. 세네갈, DR콩고, 카메룬이 추진한 벼 관 련 국별과제와 아프리카녹색혁명동맹(AGRA)과의 협력으로 추진한 약배양기술 적 용 벼 품종 개발을 통하여 아프리카 벼 육종 사업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벼 개발 협력사업을 기획하여 예산을 확보하였다. 2016년 아프리카벼연 구소(AfricaRice)와 공동으로 9년간의 ‘아프리카 벼 개발 파트너십‘ 과제를 착수 하였다. 2017년에 세네갈 생루이 소재 AfricaRice 사헬센터에 약배양연구실을 설 치하고 벼 육종전문가를 파견하였다. KAFACI는 한국의 통일형 벼와 각 회원국의 유전자원을 활용하고, 약배양기술을 적용하여 우수계통을 선발하고 있으며, 현재 까지 회원국에 총 1,547 계통을 제공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회당 4~5명의 연구원 을 사헬센터로 초청하여 벼 재배 전기간에 걸친 벼 육종훈련을 연 2회, 총 5회 추 진하여 회원국 벼 육종역량 강화에 기여하였다. 회원국에서는 제공받은 우수계통 에 대한 지역적응시험 및 농민참여선발을 추진하여, 현재까지 5국에서 11품종을 등록하였다. 이러한 성과와 추진방식은 유튜브 동영상 ’한국 통일벼와 사랑에 빠 진 아프리카‘을 통하여 국내에서 주목을 받았으며(2022.8.10 기준 132만회 조회), 2021년 OECD 공공부분 혁신 우수사례(OPSI, Observatory of Public Sector Innovation)로 채택되었다. KAFACI 벼 사업이 조기에 품종등록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던 주 요인 중 하나는 단순 양자 또는 다자협력을 틀을 넘어 농진청-국제연 구기관-회원국의 삼각협력으로 추진되었다는 점이다.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을 현장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 개발도상국에 직접 전달하기보다는 국제기관의 경험 및 인프라와 결합하여 전수하는 삼각협력 방식은 다른 분야 국제개발협력 사업에도 적용가능한 모델이다.
        5.
        2022.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R Congo) is a central African country, abundant with large and various agro-ecological landscapes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of various crops, water resources, and a young manpower. However, the country is facing a severe food crisis, exposing around 27 million people, among which 4 million undernourished children to famine according to the World Food Program. To better understand the paradox of the country with huge agricultural potential being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in food distress in 2022, we reviewed the DR Congo's current agricultural potentials and challenges,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country's low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mainly due to low governmental human and technological investment in agricultural research, which is characterized by insufficient training of researchers, limited research budget, and lack of updated technologies. Also, the country's immensity and poor transport infrastructures make the move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crops difficult in the country. Based on the data reviewed, the Korea-Af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an organization in which the DR Congo is a member country, proposes a reform of the country's agricultural policies 1) to set a proper vision for the country's Agricultural research and productivity, 2) to design a proper structure assigning the roles of every organization involved in agriculture at the national or provincial level, 3) to improve the government investment in young researchers' capacity building and motivation, 4) to define how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ould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country's agricultural development.
        6.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KAFACI)는 아프리카 농업 공통현안을 연구과제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2010년에 출범하여 현재 한국 포함 20개국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 회원국에서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KAFACI 회원 국과 비회원국 간의 양자 무역 흐름에 대한 국제 기술 협력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UN 상품 무역 통계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에서 2018년 동안 45 개 아프리카 국가 간의 양 자 무역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국제 무역 중력 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내생성, 표본 선택 편의, 패널내의 상관관계 를 통제하는 표본 선택 기법을 적용한 핵크만 랜덤 효과 회귀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경험적 결과는 국제 기술 협력이 KAFACI 회원국과 비회원 국 간의 양자 무역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이 외에도 KAFACI는 회원국과 아프리카 이외의 주요 무역 파트 너 간의 양자 무역 흐름을 크게 늘렸을 가능성이 있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았다. 또한 KAFACI 회원국의 기술 채택 수준과 비율은 무역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경제의 공급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요하지만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4,200원
        1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survey current chicken industry and the status of technology based on the KAFACI project on the promotion of good management for increased productivity of market oriented small scale chicken producers in Nigeria. The agricultural sector has been identified as a virile sector with varieties of opportunities for the much sought diversification of revenue base and employment generation in Nigeria despite the dominance of smallholder farmers. The chicken enterprise has being a component of the livestock industry showing increasing importance. Growing entrepreneurships for sustainable growth of the industry requires investigating the prevailing environment in market-oriented chicken production in Southwest Niger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on practices, constraints of market oriented smallholder chicken farmers. Data were generated through farm survey of 240 farmers selected by multi-stage sampling techniques from 5 out of 6 states in the Southwes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study shows a population of famers dominated by male 76.7% and average year of education of 13.88years. Foundation stock of birds are prominently sourced from commercial hatcheries (75.8%) and reared under intensive management system (87.8%). Majority of the farmers (46.7%) are into rearing of layers, broilers and cockerels with an average stock size of 449, 157 and 158 birds respectively. Birds are fed twice daily (74.8%) on compounded ration by 95.4% of the farmers. Major production constraints are high feed cost (32.1%), shortage of capital (30.0%) and poor access to market (25.4%). However, 96.7% of the farmers considered the enterprise profitable.
        4,000원
        1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FACI 회원국들의 농업은 아프리카 지역의 특성상 농업유형이 매우 다양하며, 회원국들간의 농업 생산성, 기술, 잠재력 등의 편차도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KAFACI 사업을 대상으로 DAC가 제시한 개발(원조)사업 평가항목 중 적절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이 사업의 적절성 평가결과 및 제고방안는 다음과 같다. 첫째,KAFACI 사업의 목표는 적절하게 수립되었으나, 비전 설정은재검토 될 필요성이 있다. 즉, 국격 제고는 이 사업의 간접적인 효과이므로 이 자체가 비전으로 설정되는 것 보다는 개도국의 기아 및 빈곤 퇴치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목표로서 다자간 농업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립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이 사업의 대상은 아프리카 지역 국가의 농식품 기술 발전을 선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도로 구축하는KAFACI에 참여의사를 밝힌 국가 중심으로 적합하게 선정되었다. 셋째, 이 사업은 본질적으로 아프리카 빈곤 해결을 위한농업기술 지원이라는 차원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노력은 매우 높이 평가된다. 또한 이사업은 아프리카 대륙 전체적으로 그리고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각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목표하고 있는 식량문제 해결에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사업 대상국들의 개발 정책과 매우부합하다. 넷째, G20 정상회의 개최 및 DAC 가입 등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 급부상 및 ODA 확대 요구가 점증하고있는 현실에서 MDGs 등 국제지원전략과의 부합성이 매우 높다. 다섯째, 이 사업은 ‘한-아프리카 개발협력 기본 구상’ 의구체적인 실천 사례로서 우리나라 정부의 대외 개발협력정책과 매우 부합하며, 개도국에 대한 기술원조 공여국으로서의 국격 제고에 기여하였고,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산업의 국외 진출 및 시장 확대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적절성 제고 방안으로는 기존 아프리카 녹색혁명의 실패 요인을심도 있게 분석함과 동시에 새로운 아프리카 녹색혁명을 위한국제사회 노력에 부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사업의 효율성 평가결과 및 제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농업협력에 대한 중앙부처, KOTRA, ODA 사업을 검토한 결과 내역사업 단위에서 유사·중복성은 없었다. 이는그동안 농진청 중심으로 국제농업협력 사업이 추진되어 왔으며, 사업 추진을 위한 실질적인 전문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한-아프리카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사업의 추진주체는 농촌진흥청으로 명확하며, KAFACI 총회, 아프리카형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사업, 회원국 확대 및 다자간 사업 확대 등 주요 추진사업 주체 또한 명확하기 때문에 관련 추진주체간의 협의·조정 여부도 효율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과 외에 2008년 국외농업팀의신설로 국제업무를 2개과에서 수행하고 있지만 실제 집행하는예산과 전문인력에 한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KAFACI)의 2011 세부업무 추진계획을 보면, 1) 조직기반 구축, 2) 총회 개최, 3) 국제기구와 공동 워크숍 개최, 4) 고위급 훈련과정 개최, 5) 개별 연수(OJT) 실시 6) 국가 프로젝트 협약 체결, 7) 신규 회원국 확보, 8) 예산 확보 등이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 역시 신규회원국 및 예산 확보를 제외한 모든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효율성 제고 방안으로는 서로를 알고 시작하는 ‘지피지기’전략 추진체계를 구축, 성과평가에 의한 지원시스템 구축, 타 개발협력기관과의 네트워크 강화 등에 주력해야 한다. 이와 함께 사업 평가를 위한 세부지표 및측정 방법론의 개발과 아울러 수원국의 주민, 전문가, 관련 공무원 등의 광범위한 설문조사 등의 필요성도 큰 것으로 제언되고 있다(Lee et al., 2010). 또한 단계별로 국제협력 조직·인력과 예산의 확대를 통한 지원체계 구축과 아울러 사업의안정성과 지속성 확보를 위한 법제화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4,000원
        1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frica, rice is the fastest demanding staple food with a high growth rate of consumption at 4.5% per annum. Currently Africa occupies 32% of world rice imports, and pressure on rice is expected to rise in the near future. Faced with this deficit, Korea has launched the rice breeding project through Korea-Af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of which goal is to increase rice productivity through accelerated development of improved germplasm and varieties in Africa. As of 2013, the ten African member countries joined the rice breeding projects of KAFACI program; they are Cameroon, DR Congo, Ghana, Kenya, Malawi, Mali, Nigeria, Sudan, Tanzania, and Uganda. We adopted the breeding strategy of intervarietal cross and anther culture to speed up high-yielding secondary populations using the Korean and African germplasm. Korean germplasm is composed of 1) temperate japonicas adaptable to tropical conditions of short-day length and high temperature 2) wide-cross derivatives from African wild species, O.glaberrima and O,longistaminata, and 3) tongil-type varieties. These germplasm is evaluated for adaptability in Africa and African partners make crosses with local germplasm with the best selections. Korea produce double-haploid populations from these crosses for another cycle of selection for high-yielding lines in Africa. Inter-varietal crosses and double-haploid technology could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high-yielding germplasm and new rice varieties in Africa within short project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