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태트렌즈 다목적 용액 내에는 보존제, 소독제, 세척제, 윤활제 둥이 포함되어 있 으며 콘택트렌즈 표면에 침착하는 단백질올 제거하기 위해 물질의 계변에 홉착되어 그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저하샤키고 수액 내에 열정 농도이상으로 폰재할 때 미젤 구조를 형성하여 정상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미첼구조내에서 용해시키는 특성 올 갖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연구논 계면활성제의 세척 효과와 세포독성 판계를 연구하고자 소프트 콘택트렌즈 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변활성제 (Tyloxapol, Tromethamine, Poloxamine, Poloxamer40η) 가 생쥐의 섬유모세포인 L• 929 cell line에 미 치찬 저해 효과를 알아보 았다. 계면활성제를 농도별 <0,001-10%, w/w) 토 처리한 후 시간별 (24h, 48h)로 MTT 와 LDH 분석 방법올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친수성 콘택트 렌즈 FDA공인 W 그룹의 렌즈 etafilcon A (함수융 58%) 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꺼내어 계면활성제의 농도와 처리시간이2, 24h) 에 따라 단백절 제거효과를 조사하였 는데 단백질이 침착된 친수성 콘택트렌즈가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제거된 단백질 량의 정량은 Bradford 정량 방법올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증식 저해효과는 24시간 처리결과 Poloxamine의 ;성우 0.1%이하에서. Poloxamer407은 5% 이하에서. Tyloxapol 은 0.1%이하에서, Tromethamine은 1%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윷 나타내지 않았 으나, Poloxamine의 경우 1% 에서, poloxamer407은 7% 에서, Tyloxapol은 1% 에서, Tromethamine은 1.5%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소지판을 중심으로 평가된 MTT 분석 방법은 LDH 유리 분석 방법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계면활성제의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단백질 제거효과눈 Tylox따Xll > Poloxamer-때7> Tromethamine > Poloxamine 순으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제거량이 높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파똘 통해 미래의 계면활 성제는 세포독성이 낮고 세척효과가 뛰어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중 널리 사용 되고 있는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단백질 게거 효과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서로 비교하기 위하기 위해 먼저 렌즈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계 면활성제의 처리시간에 따라 단백질 제거효과를 UV Photo-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MTT assay, LDH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계면활성제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통일 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으며, 세포 수도 농도 의폰적으로 감 소하였다. 독성의 차이는 LDH assay 보다 MTT assay가 더 민감도를 보였다. 침착 된 단백질에 대한 세척효과는 동일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뛰어났 다. 단백질 제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세포증식 저해를 나타내는 최저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월둥히 뛰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