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light qualit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ruiting body in the cultivation of Lyopyllum ulmarium.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by type of light was in the order of white light(2,270Lux), yellow light(1,750Lux), blue light(460Lux) and red light(400Lux). An investigation of fruiting body showed these results that the pileus size and stipe diameter of fruiting body on CBM (Chungbuk mushroom)-1757 were much larger than Hypsizigus marmoreus, and an effect of yellow light seemed to be better than those of another light. In comparison with Hypsizigus marmoreus, the growth duration of CBM-1757 was shortened by 8 days which included 2 days for fungi culture, 1 day for first pinning requirement and 1 day for growth. The growth duration in yellow light illumination was about 70 days showing the tendency of 2~4 days redu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ults such as number of effective stem and fresh weight. The yield of fruiting body per bottle in CBM-1757(95.6g) was little higher than Hypsizigus marmoreus(94.8g). By a white light’s standard, the yields of blue and red light illumination were decreased by 2~9%, but that of yellow light illumination was increased by 8%. The chromaticity results showed that brightness, red and yellow coloration of CBM-1757 were higher than those of Hypsizigus marmoreus, and yellow light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another light.
        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광 종류별 조도는 백색광은 2,270Lux로 가장 밝았으며, 황색광 1,750Lux, 청색광 460Lux, 적색광 400Lux의 순이었다. 2.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CBM-1757이 느티만가닥버섯에 비하여 갓의 크기와 대직경이 양호한 경향이었으며, 광 종류간에는 황색광에서 다른 광에 비하여 다소 좋은 경향이었다. 3. 생육기간은 CBM-1757이 느티만가닥버섯에 비하여 균 배양일수는 2일, 초발이소요일수는 1일, 생육일수는 1일정도 단축되어 생육기간이 8일 정도 빠른 경향이었다. 광종류간에는 황색광에서 생육기간이 70일 소요되어 다른 광에 비하여 2~4일 정도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4. 유효경수 및 개체중은 품종간에 차이가 나지 않는 경향이었고, 병당 수량은 느티만가닥버섯 94.8g에 비하여 CBM-1757은 95.6g으로 약간 많았다. 광 종류간에는 백색광의 96.0g에 비하여 청색광 및 적색광에서는 2~9%가 감소되었으나, 황색광에서는 103.4g으로 8% 정도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5. 버섯의 색도는 CBM-1757이 느티만가닥버섯에 비하여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가 높았으며, 광 종류간에는 황색광에서 다른 광에 비하여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4,000원
        4.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MAE)을 이용하여 만가닥버섯을 물, 50% 에탄올, 99%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의 power와 시간에 따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 작용(EDA),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Microwave power를 60∼120 W로 증가시킴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만가닥버섯의 전자공여능이 90 W에서 평형에 이른 반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