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4.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팬데믹으로 인해 혼술 및 홈술 문화가 확산되고, 고급 주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주류 구매 및 픽업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주류 앱과 같은 디지털마케팅 채널에서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UX)이 핵심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 디지털마케팅 교육과정을 통한 UX 디자인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주류 앱 ‘데일리샷’의 온라인 주류 구매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도출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프로젝트는 디자인씽킹 기반 디지털마케팅 프로세스의 단계적 접 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교육과정의 실습 활동으로 운영되었다. ‘탐색(Discover)’ 및 ‘정의(Define)’ 단계에서는 데스크 리서치를 통해 주류 시장과 소비자 트렌드를 분석하고, 사용자 리서치(사용성 평가, 앱 리뷰 분석, 심층 인터 뷰)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팬데믹 이후 증가한 주류 입문자들을 위한 ‘주류 입문 가이 드’의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주류 소비가 단순한 음용을 넘어 취향을 공유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수단으로 활용되 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발견점을 바탕으로 ‘개발(Develop)’ 단계에서 개인화된 주류 추천 기능 강화, 네비게 이션 간소화, 커뮤니티 상호작용 기능 활성화 등의 UX 디자인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데일리샷이 단순 한 주류 픽업 서비스를 넘어, 개인의 주류 취향을 탐색하고 차별화된 구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발전할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의 디지털마케팅 프로세스가 주류 앱 UX 디자인 개선에 효과 적인 접근법임을 강조하고,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디지털마케팅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UX 실무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4,600원
        5.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data analytics learning and outcomes for marketing students in courses with data analysis components at a U.S. business school. The study considers various moderating factors, such as software adaptability, grades, class type, data interest, statistical analysis method, and perceived time- and cost-effectiveness.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marketing education in data analytics.
        6.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spite the longevity and popularity of the Internal marketing (IM) in the service literature, its structure is yet unclear (Ballantyne, 2003; Huang & Rundle-Thiele, 2015; Qaisar & Muhamad, 2021; Tsai & Tang, 2008). The literature on Employee Engagement (EE) explains the employees’ emotional commitment and their psychological presence in their job and organization, but it lacks of a concurrence regarding its definition and its measurement (Kossyva et al., 2022). Despite the importance and dynamism of the Higher Education (HE) sector, there is only scant research data of IM and EE in HEIs (Tsarakhova & Kabanov, 2020; Vel et al., 2019; Vieira-dos Santos & Gonçalves, 2018; Yildiz & Kara, 2017).
        7.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overweight and obesity problem by incorporating medical, economic and marketing research perspectives to shed lights on the growing problem across all ages and socioeconomic strata. We draw up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literature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ajor causes as well as proposed remedies. Some are more likely to be more successful in addressing the difficult problem. Our conclusion is that as the issues are quite complex, no one single solution will work. It probably will require all stakeholders to be involved in order to come up with a reasonable solution to address this difficult problem. More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especially research involving cross country comparison to provide greater insights since this problem has become a global problem and not just confined to the developed economies in the Wes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