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고속으로 활주하는 선박의 승선감 향상 및 운항성능 특성 연구를 위해 30ton급 세관감시정의 측정위치에 따른 멀미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관공선내의 선원들은 유사시에 신속·정확한 판단이 요구되므로 측정위치에 따른 멀미도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멀미도 평가는 ISO 2631-3(1985)을 기준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은 30분, 2시간, 8시간 이후 성인 100명 중 10명이 멀미를 한다 는 국제표준 지표이며 조우주파수와 수직가속도 성분으로 나타난다. 멀미도 해석은 Maxsurf Motion 모듈을 이용하였다. 30ton급 세관감시정은 고속활주형 선박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선속에 따른 트림변화를 고려하였다. 입사각은 선체 전 방향에서의 영향을 고려한 범위로 선정하였다. 선 속의 경우 선박 운용상태(정박, 저속, 고속)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측정위치의 경우 선원들의 주 활동 구역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해석결과 멀미도의 영향은 30knot, 180°의 경우에 가장 크게 분석되었다.
        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폭주부족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폭주끈점은 표준화된 측정방볍이 제시되지 않고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시표의 접근속도를 1cm 단계로 조정 할 수 있는 전동식 폭주근접 측정장치플 개발하여 각 측정방법에 따른 폭주근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질환파 사시, 억제, 조절장애가 없고 원/근 나안 또는 교정시력이 l.0 이상인 산과 창원소재 고등학생과 대학생 135 명을 대상으로 원/근 사위도 벚 폭주끈점을 정하여 정상군과 폭주부족 예상군으로 나누었다. 정상군에서 폭주근점 파괴값은 6.8 :t 2.7 cm, 회복값은 10.9 :t 3.6 cm, 폭주부족 예상 군에서 파괴값은 13.4 :t 4.8 cm, 회복값은 18.8 :t 5.9 cm 로, 폭주부족 예상군이 정상군 보다 파괴값은 6.6cm, 회복값은 7.9cm 더 별었다. 정상군의 폭주큰점은 조절타게트 5.2 :t 2.1 cm 펜라이뜨 5.7 土2.8cm 펜라이트 + 적녹안경 6 .4 :t 3.0 cm 순으로 크게 측정 되었다. 또한 시표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회복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C/A 비가 낮을수록 폭주근점이 별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동일한 대상에서 측정방볍별 10 회 반복측정결과 정상꾼과 폭주부족 예상군 모두 측정횟수가 증가할수록 폭주근점이 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정상군에서 1-5회와 6-10 회 측정값의 평균 비교, 1-3회와 8-10 회 측정값의 평균 비교에서 모든 측정방 법의 파괴값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二0.000) , 폭주부족 예상군은 펜라이트+ 적녹 안경 의 파괴 값만 유의 하였다 (p = 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받한 전동식 폭주근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타 게트의 종류 및 이닫속도가 다른 조건에서 폭주근점을 측정하였을 때 비슷한 결과플 얻었으며, 이 장치는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3.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researchers have proved that risk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s is a very effective tool for improving confidence of information systems. However, information system risk in Korea still includes many subjective judgements. This study deals with applying a quantitative model to improve risk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 quality. First of all, we have come up with solutions to improve the evaluation efficiency on risk measurement. We have merged the risk guidelines of COBIT and CMM, and developed a quantified evaluation scheme that call by risk point. We have proved the validity of this model by interviews with experts and by case studies.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