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나의 아저씨〉를 정신분석학적 상징으로 해석함으로써 이 드라마가 정신분석학적 도덕을 함의 하는 멜로드라마임을 밝힐 것이다. 이 드라마에서 ‘나’와 ‘아저씨’의 관계가 정신에서 초자아와 자아가 맺는 성숙한 도덕적 관계를 상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자아는 인간의 개체와 인류의 계통을 발생시킨 시원적이고 절대적인 존재로 정신에 표상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자아는 이들을 발양했던 ‘온기’와, 이들 에게 발휘할 수도 있는 광폭한 금제를 동시에 체현한다. 세계의 도덕적 징후들을 상징들로 보여주다가, 세계의 지고한 도덕을 끝내 부각하는 것이 멜로드라마다. 자아를 발양한 초자아의 온기는 세계에 숨겨진 지고한 도덕일 수 있다. 그러므로 멜로드라마는 이 ‘온기’를 끊임없이 상징함으로써 결국 이 의미를 서사적 으로 구현해낼 수 있다. 멜로드라마를 흔히 정신분석학적인 드라마로 간주하고 이의 테마를 소위 ‘도덕적 비의’라고 부르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 논문은 이 드라마를 분석하면서 첫째, ‘나’가 인간의 개체를 발양하고 인류의 계통을 발생시킨 초자아를 상징하는 점을 탐색할 것이다. 둘째, ‘아저씨’가 초자아와 근원 적인 동일시를 이루는 자아를 상징하는 점을 탐색할 것이다. 이로써 이 드라마가 초자아의 온기를 향유하 는 성숙한 자아를 재현하는 정신분석학적 멜로드라마임을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스위니 아고니스테스 는 극적 형태에 있어서 T. S. 엘리엇의 첫 번 째 탐구 작업인 바, 대체적으로 실패라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엘리엇 이 이 시를 자신의 시 전집들에 포함시켰다는 사실은 독자들로 하여금 그것의 의미를 그의 작품 전체 속에서 숙고하게 만든다. 그의 초기 작 품들의 명백한 미숙함으로부터의 이탈이 변화나 역전의 신호가 아니라 그의 정서의 확대나 발전이라는 그의 안내를 따라간다면, 이 시는 보통 사람들의 감상주의적인 성향에도 불구하고 보통 사람들의 정서를 변화 시키려는 첫 번째 단계인 것이다. 이 시가 인기가 많았던 마리 로이드 처럼 관객에 대한 정서적 혁명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는 첫 번째 단계로 의 입문이었기 때문에, 단순히 ‘실패’라기보다는 ‘성공적인 실패’라고 정 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패의 결과로 이어지는 시극들 전부에서 ‘유머’ 의 어조가 ‘심각함의 어조로 바뀌었다. 하지만 관객의 의식적인 관심을 요구하겠다는 그의 전략의 이러한 변경이 엘리엇의 정서적 혁명의 최종 목표인 공동체의 영적 가치관을 변화시키기에 충분히 좋지는 않았다.
Eli이 wrote the unfinished drama, Sweeney Agonistes: Fragments 01 the Aristophanic Me/odrama after The Waste Land and just before bis Christian conversion. He himself put the subtitle of ‘melodrama’ in it in 1932 and later published tbis poem under the group of “Unfinished Poems," which proves the writer’s intricate intention and concerns for this work. In spite of bis thoughtful cODsideratioDs, this work has not much appealed to the public and the scholars as might be expected. This article is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as a preparatory step for Eliot’s later works. The survey of tbe experimental strategies of Sweeney Agonistes: Fragments 01 the Aristophanic Me/odrama has revealed an important fact that Eliot wrote this work as an experimenlal ground for Ihe effeclive delivering of his theme to the public. For tbis purpose be has attempted some stylistic aids from both genres, poetη and drama, in this work. Firsl of all, Eliot utilizes the epigrapbs by introducing two representative perspectives on sin and redemption, the heathen Hellenic and the Christian, and implies the themes of his later works would focus on the latter one, that is, the spirilual exploration of Chrislianity. AIso be adopts one of the dramatic devices, the doubleness, whicb is to proceed witb two patterns of life in one work, the superficial daily one and the deep spiritual one, at the same time. Practically, Eliot shows the life of tbe 1920’s American low class in the first fragment of “A Prologue" while the next fragment of “An Agon" presents the under-pattern of the spiritual awakening tbrough tbe main character, Sweeney, with the invilalion of Doris to the he cannibal island to convert her. To use the advantages of the poetic form, EJi이 adopts musicaJ methods such as the jazz accompaniment and the chorus, which not onJy make up the compressed content of the pJay but derive the unconscious, immediate emotionaJ e따cts from the public even in the ignorance of the spirituaJ meaning of death and Iife. EJiot is aJso foJJowing the ruJes of the meJodrama such as the coincidence and the deJaying of the conclusion. In the work, Doris is obsessed by the idea of coincidence about her affairs and this work ends with Sweeney’s mlsslon as a missionary unfulfilled, which should be continually pursued in Eliot's late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