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w multiband BVRI light curves of NSVS 1461538 were obtained as a byproduct during the photometric observations of our program star PV Cas for three years from 2011 to 2013. The light curves indicat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W-subtype W UMa eclipsing system, displaying a flat bottom at primary eclipse and the O’Connell effect, rather than those of an Algol/ b Lyrae eclipsing variable classified by the northern sky variability survey (NSVS). A total of 35 times of minimum lights were determined from our observations (20 timings) and the SuperWASP measurements (15 ones). A period study with all the timings shows that the orbital period may vary in a sinusoidal manner with a period of about 5.6 yr and a small semiamplitude of about 0.008 day. The cyclical period vari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light-time effect due to a tertiary body with a minimum mass of 0.71 M⊙.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multiband light curves using the 2003 version of the Wilson- Devinney binary model shows that NSVS 1461538 is a genuine W-subtype W UMa contact binary with the hotter primary component being less massive and the system shows a low mass ratio of q(mc/mh)=3.51, a high orbital inclination of 88.7°, a moderate fill-out factor of 30 %,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of ΔT=412 K. The O’Connell effect can be similarly explained by cool spots on either the hotter primary star or the cool secondary star. A small third-light corresponding to about 5 % and 2 % of the total systemic light in the B and V bandpasses, respectively, supports the third-body hypothesis proposed by the period study. Preliminary absolute dimensions of the system were derived and used to look into its evolutionary status with other W UMa binaries in the mass-radius and mass-luminosity diagrams. A possible evolution scenario of the system was also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mass vs mass ratio diagram.
        2.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트레스 강인성을 무용 스트레스와 무용 자신감 사이에 투입하여 중재역할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무용 스트레스에 따른 자신감 감소에 스트레스 강인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에 204명의 남녀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을 목적표집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SEM분석을 통해 연구모형, 수정모형, 최종모형의 모형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는 외형적 능력 자신감과, 운동실천 요인이 모형 적합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삭제되었으며, 수정모형에서는 가설에 부합하는 경로를 보여주었으나, 적합도 승인지수가 누락되어, 적합도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M.I지수를 고려하여 최종모형을 구성하였다. 최종모형은 지도자에 대한 불만과 무용 성취결여 스트레스는 내재적 자신감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스트레스 강인성이 매개한다면 무용 자신감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스트레스 강인성은 무용 스트레스와 무용 자신감의 중재역할로서 타당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대해 모형 수정 절차 및 변인 간 관계를 포괄적으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