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ctioned-body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diploid and triploid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of both sexes were examined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ploid and triploid fis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ploid and triploid fish in both sexes were observed in the body circumference anterior to the base of the pelvic fin, the body circumference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body circumference anterior to the base of the dorsal fin, the area anterior to the base of the pelvic fin, the area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area anterior to the base of the dorsal fin, the total height anterior to the base of the pelvic fin, the total height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height anterior to the base of the pelvic fin, the height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width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belly thickness II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section shape 2-1, and section shape 4-1 (p<0.05). These measurements were greater in the triploid marine medaka of both sexes than those in the diploid marine medaka of both sexes, and they were also greater in the male diploid and triploid marine medaka than those in the corresponding female fish. Therefore, the sectioned-body morphometric dimensions were greater in the triploid males than those in the triploid females and the diploid fish in this study.
        4,0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매미 날개의 형태적 변이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형태계측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꽃매미 개체는 한국, 중국, 일본 10개 지역에서 채집되었고, 꽃매미 앞날개로부터 선발된 14개의 형태계측학 형질을 분석하였다. 결과로 국내 지역 개체들은 중국 양쯔강 이남보다는 이북 지역 개체들과 형태적으로 가까웠다. 서울과 부안 개체는 상하이 개체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다. 점무늬의 경우 베이징 개체가 상대적으로 작았고, 중국 남부의 린안 개체가 크게 나타났다. 날개의 크기는 일본 개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5.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의 종 내 형태적 변이의 한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6월부터 8월까지 (동해 중부 화진포에서부터 남부 대변까지) 식물체를 채집 비교 분석하였다. 거머리말은 연안의 석호, 항구와 만의 다양한 생육지에서 출현하였다. 생체를 대상으로 형태학적 주요 형질은 직접 측정되었으며, 이들 자료로 형질의 상관관계,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하였다. 외부형질의 특징에 따라 거머리말은 단협엽형, 장광엽형의 두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4,000원
        6.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tipromma jezoense Uchida의 종내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리적으로 상이한 서식지에서 채집되 7개 개체군을 대상으로 계량형능학적분석을 실시하였다. 계량형능학적분석은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의 결과 25개의 형질이 4개의 factor들로 집약되어 나타났다. 이중 특히 다리의 형질들이 암·수모두에게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의 결과를 보면, 암·수 모두 서식하는 지리구에 따라 뚜렷한 형태적 gap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고, 그러한 결과를 도출해낸 판별형질로는 암컷에서는 가운데 홑눈의 최장폭을(MOD)과 복부제1마디의 길이(FTL)가 숫컷에서는 뺨의 길이(MSL)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꼭지매미충(Macrosteles striifrons)은 각종 농작물을 가해하고 식물병원균을 매개하며 동부아시아 지역에 널리 본포하고 있으나, 종내변이는 물론 근사종과의 형태적 유사성이 심한 주요해충 중의 하나이다. 본 조사는 동부아시아 6개 지역에서 선발된 꼭지매매충의 수컷 8개체군을 대상으로 총 23개 정량형질에 대해 각 주요지역 계통간 이소적 특성, 기주식물 및 계절 등의 요인에 따른 동소적 특성, 우열도 및 그 상호관련성등을 알아보기 위해 전자영상 미세측정방식과 고급 다변량 전산통계 분석법에 의한 종내 수리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평균분리도가 최저 90% 이상으로 매우 높았고, 기주별 및 계절별 등에 따른 종내 개체군간 평균분리도는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4,600원
        8.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재래꿀벌(Apis cerana)의 일벌을 대상으로 춘계 11지역 및 하계 12지역 개체군을 선발하였으며, 총 47개 정량형질에 대해 지역별로 판별분석을 실시 하였고, 또한 양 계절간 변이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비교에서는 춘계 91.67%, 하계 88.44%의 평균분리율을 보였으며, 양계절간 비교에서는 97.58%로 나타났다. 반면에 양계절을 통합한 비교에서는 70.16%로 낮았다.
        4,000원
        10.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andmark-based morphometric and meristic analysis of the kelp grouper (Epinephelus bruneus), red spotted grouper (E. akaara) and seven-banded grouper (E. septemfasciatu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tiation of overall body shape and structure. The measurements of the morphometric dimensions were observed in 25 parts (truss dimension: 16 parts; head part dimension: 9 parts) of 38 morphometric dimensions and also meristic differences observed in 3 parts (dorsal fin, anal fin and caudal fin) of 6 meristic counts (P < 0.05). Observed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primarily involved in truss and head part dimension, kelp grouper have larger values in caudal part of truss dimension, kelp grouper, red spotted grouper and seven-banded grouper have similar values in pectoral part of truss dimension, in addition to, results of head part dimension showed that red spotted grouper have smaller values in overall dimensions (P < 0.05). As meristic characteristics, kelp grouper have more number of anal fin rays than other fish, red spotted grouper have more number of dorsal soft rays than other fish, and seven spotted grouper have more number of anal soft rays, and caudal fin rays than other fish (P < 0.05). Photographed under the x-ray, kelp grouper have the most curved vertebral column and largest swim bladder than other fishes (P < 0.05). Our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3 subfamily fishes adequately can distinguish with external body shape, and we hope that the results of our study could be used to identify in Serranidae family as taxonomical parameters.
        1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asurements of closely related sets of classical and truss dimensions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species of scorpaenidae including the dark 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the black rockfish, S. schlegeli, and gobioninae including the striped shiner, Pungtungia herzi, and the slender shin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The measurements of the dimensions were arc sin square root transformed, and compared as a function of the standard length of each species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value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2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shiners, 9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2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1 valu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4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shiners, 13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3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6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The dimension sets us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as taxonomic indicators for discriminating among fish species in Korea.
        12.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asurements of closely related sets of classical and truss dimensions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species of scorpaenidae including the dark 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the black rockfish, S. schlegeli, and gobioninae including the striped shiner, Pungtungia herzi, and the slender shin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The measurements of the dimensions were arc sin square root transformed, and compared as a function of the standard length of each species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value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2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shiners, 9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2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1 valu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4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shiners, 13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3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6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 dimension sets us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as taxonomic indicators for discriminating among fish species in Korea.
        1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rphometric changes in the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and the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were observ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growth. Yolk length, yolk height, and yolk volume in the two species decreased within 9 days post-hatching (DPH) (p<0.05). The body lengths and body heights of both species increased gradually to 150 and 130 DPH, respectively (p<0.05).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most extension of the head and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ectoral fin, the anteriormost extension of the head × the verticality position of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rimary dorsal fin rays, and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rimary dorsal fin ×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ectoral fin were greater in the Korean bullhead than in the Ussurian bullhead (p<0.05). However, the relative sizes of the head region, pectoral fin, ventral fin, and anal fin were greater in the Ussurian bullhead than in the Korean bullhead (p<0.05), and relative body depth and the size of the outer-mandible barbel were greater in the Korean bullhead than in the Ussurian bullhead (p<0.05). The growth curves of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both speci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14.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세단층촬영기법은 전임상 동물실험 분석시 고해상도의 혈관 영상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이는 조직 분석과 같이 샘플 훼손이 예상되는 분석 작업 이전에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재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 이식용 의료기기인 스텐트를 동물모델에서 전임상 분석을 하는데 있어 미세단층촬영기법의활용방법을 제시하고 금속 스텐트(BMS)와 약물(paclitaxel)이 코팅된 스텐트(DES)의 스텐트 내 재협착정도(ISR)를토끼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BMS와 DES를 무작위적으로 토끼의 장골동맥에 식립하고 4주 후에 스텐트가 식립된 주위 혈관을 적출한 다음 스텐트 내강에 조영제를 투여하였다. 미세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50kV/200μA의 X-ray 조사량으로 샘플을 스캔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CTAN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을 지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피폭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CT값(Hounsfied Unit)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스텐트 영역; 약 1.2, 조영제 영역; 0.12~0.17, X-ray 비흡수 영역; 0~0.06), 이를 이용하여 2차원, 3차원적 영상을 획득하고 스텐트내 재협착 면적을 산출하였다. 조직병리학적 분석의 염증지수에 해당할 수 있는 확장된 스텐트의 크기를 측정하였을때 BMS와 DES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BMS 그룹의 ISR(1.52 ± 0.48mm2)이 DES의 ISR(0.94± 0.42mm2)에 비해 약 1.6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DES에 코팅된 paclitaxel이 세포 증식을 억제하여 스텐트 내강으로 증식하는 것을 저해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차원적 분석 결과 BMS의 재협착 분포는 스텐트 중간 영역에서 전면부와 후면부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미세단층촬영기법은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분석이 가능하며 정량적 분석을 위한 기존의 복잡한 조직병리학적 분석법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