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increases with the length of service of the worker. Musculoskeletal disorders can occur when performing repetitive and forceful movements. Therefore, Cargo drivers operate repeatedly in the wrong posture for a long time. When loading and unloading a cargo, the cargo driver works repeatedly with force. Cargo operators are also expos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working environment due to poor posture and repetitive movements.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conduct a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evention of th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cargo drivers for long periods of tim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that cause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each group can occur during the long-term operation and preparation of drivers.
        4,000원
        2.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물리 치료사의 업무 중 근골격계 장애를 유발하는 환경 적 요인 및 자세 요인에 대한 실태 조사 및 결과를 분석하고 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질환 예방 메뉴얼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신경계 치료 분야 종사자 30 명, 근골격 치료 분야 종사자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방법은 물리 치료사의 치료 영상을 30 분 동안 촬영했다. 작업 자세는 2분 간격으로 15번 절단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도구는 OWAS 및 REBA를 사용한 자세 분석을 사용하였다. 근골격계 및 신경계 대상자들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질환 예방 매뉴얼을 통해 2주간 중재 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신체 부위 별 유병률과 특징적 분포는 신경계와 근골격계에서 허리 통증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OWAS 기준에 따른 작업 자세 분포는 신경계 분야에서 신체, 다리, 체중, 활동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 <0.05), 근골격계 분야에서 다리와 활동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0.05). REBA 평가 기준에 따른 근무 태도 분포는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작업 관련 근골격계 증상 예방을 위한 부적절한 작업 자세 예방 교육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근골격계 예방 교육을 마련하고 질병을 줄이기위한 환경 적 요인과 자세 요인을 바꾸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500원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labor, job and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their musculoskeletal disea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among the workers with perceive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the body part with the most commonly occurring symptom was the shoulder, followed by neck, low back, wrist, arm, foot and knee. As for the effect of work-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on musculoskeletal diseases, it was found that the worker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s were more affected by emotional labor and fatigue than non-symptom workers. It was also shown that when their job stress increased, the fatigue level also increased, though their psychosocial stress decrea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fatigue were high, and the indirect effect of job stress through fatigue on musculoskeletal diseases was significant.
        4,000원
        4.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의 미용업 종사자의 감정노동, 직무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피로도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그 결과 미용업 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사자는 신체부위 중 어깨의 근골격계 질환 관련 자각증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목, 허리, 손목, 팔, 발, 무릎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업 종사자의 감정노동 각 문항별 평가 결과는 ‘나는 기분이 나쁠 때 고객들에게 표현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한다’의 문항이 3.9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 대로 ‘표현되는 행동과 실제 감정의 차이 때문에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2.61점으로 나 타났다. 미용업 종사자의 작업 관련 심리적인 요인이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근골격계질환자가 무증상자에 비하여 감정노동과 피로도에 영향을 더 많이 받 는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낮아 지지만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피로도를 통해 근 골격계질환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 종사자의 작업 관련 물리적․심리적 개선 방안 마련이 요구 되면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정책적 관리 방안 마련을 제안한다.
        4,000원
        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the degree of job stress among shipyard workers. The study population was 7,078 employees of the D shipbuilding company. Survey data was obtained from 1,727 employees using a proportional sample according to age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associations were examined with and logistic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in any one part is 59.5% by NIOSH standard. Second, subjects who had worked in the shipyard for over five years had a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1.8 times higher than subjects who had worked in the shipyard for less than five years (p<.01). Finally, those who had less support from co-worker's had a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1.3 times higher than subjects who had more support from co-worker's (p<.05). Throughout the results, shipyard workers had higher occurrence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than other manufacturing workers and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 tended to increase with higher job stress. In this research, the plan to reduce musculoskeletal diseases involved making a program and policy which would be able to lower job stress socio-psychologically. This research will prove useful by using basic preventive materials to improve the musculoskeletal health of labores who work in shipyards and similar plac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