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various regions of Jejudo Island, Korea to establish a more accurate and complete academic listing of mushrooms on the island by identifying and organizing them using base sequence analysis.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ver five years, from 2019 to 2023, and included a total of nine sites in the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areas of Jejudo Island. In total, 481 unique mushroom variet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These mushrooms included 387 specimens that were classified into 6 classes, 18 orders, 55 families, 118 genera, and 201 species, and 94 unclassified specimens for which the precise species was not known. The collected mushrooms classified by ecotype consisted of 148 species of saprophytes, 47 species of symbionts, and 6 species of parasites. Differences in occurrence patterns were also observed depending on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Finally, three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and two candidate species were also collected, as well as the tropical mushroom Macrocybe gigantea. This study identified 91 species of mushrooms that were previously unreportedon the Jejudo Island. According to the current findings and those previously reported, 7 classes, 26 orders, 123 families, 399 genera, and 1,102 species of mushrooms have been compiled on Jejudo Island to date.
        4,800원
        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 재배사내 진균류의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골목에서 발생한 진균류를 분리·동정하고 재배사내 온·습도 환경을 분석하였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진균을 분석한 결과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cremonium sp. 6종으로 확인되었다. 재배사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는 5월 1일부터 10월 12일 사이에 재배사내 최고·저 온도가 14.0~30.1oC, 평균습도는 82.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 재배과정 중 진균류의 발생이 활발한 초여름부터 가을철 사이에 철저한 재배관리가 중요하며, 한번 발병한 진균류는 연중 재배사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에 유해 진균류 발생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예방해야 한다.
        4,000원
        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 linteus(품종명: 고려상황, PLKS)와 P. baumii (장수 상황, PBJS)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인공재배하여 얻어진 자실체를 70% 메탄올, 60% 에탄올, 열수추출하여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측정 시 함량은 60%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에탄올을 용매로 PLKS와 PBJS의 자실체를 추출하여 농도별로 DPPH (2,2-diphenyl- 1-picrylhydrazyl), ABTS (2,2'-azino-bis (3-ethylbisthiazoline- 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LKS와 PBJS는 거의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자실체가 균사체보다 2-3배 이상 높은 항산화 활성이 측정되었으나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분석에서는 자실체와 균사체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PLKS와 PBJS의 자실체 ethyl acetate 분획물을 HPLC 분석한 결과 styrylpyrone 계 폴리페놀 성분인 davallialactone, hispidin, hypholomine B, inoscavin A를 검출할 수 있었으나 균사체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자실체 특이적인 화합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비늘버섯을 이용하여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건강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17종의 비늘버섯 자실체 분말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이들의 수율을 조사하였고 여러 가지 영양학적, 생리기능적 성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17종의 비늘버섯 자실체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추출 수율을 측정한 결과 Pholiota adiposa ASI 24027의 물 추출물이 58.7%로 가장 높았다. 비늘버섯 자실체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체로 0.2%-25.0% 이었고 이중 Pholiota adiposa ASI 24015가 가장 많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물 중에는 K를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철과 인은 Pholiota sp. ASI 24024의 자실체에서 각각 100g 건조 자실체량 19.6 mg, 859.1 mg 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β-glucan은 Pholiota adiposa ASI 24005에서 약 0.66%로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나 비타민과 아미노산 및 지방산 등은 비늘버섯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