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근시 교정 렌즈에서 편심에 따른 색수차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근축 근사를 배제한 정확한 굴절 법칙을 이용하여 광선 추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486.1 nm 및 589.3 nm 파장에서 초점거리와 굴절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3D 굴스트란드 모형안을 사용하여 다양한 파장에서 스넬렌 E 문자의 망막 상 형성을 시뮬레이션하였으며, 이를 통해 파장별 상의 이동과 왜곡을 포괄적으로 비교하 였다. 결과 : 중심 광선에서 편심이 증가할수록 초점거리는 감소했다. 이는 주로 교정 렌즈 주변부에서 프리즘 굴절력 증가가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편심이 증가함에 따라 횡 방향 편심거리도 증가하였다. 비축 광선은 광선 자체 의 프리즘 영향과 편심에 따른 프리즘 영향이 동시에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비축 광선의 경 우 초점거리가 증가할수록 굴절력이 감소하는 반대 경향을 보였으며, 횡 방향 편심거리는 초점거리에 따라 증가했 다. 망막 상의 해상도는 렌즈의 교정 효과로 인해 망막 위치에서 높았으며, 황색 파장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편심이 존재하는 경우 해상도가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로 렌즈 편심이 색수차와 시각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생각된다.
        4,800원
        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시정도에 따라 역기하렌즈(reverse geometry lens), MC렌즈(myopia control lens), 단초점렌즈(single vision lens)를 착용 한 후의 근시진행억제 효과에 대한 굴절교정 값의 변화를 단초점렌즈와 비교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7세에서 15세 사이의 아동에게 역기하렌즈를 57안, MC렌즈를 56안, 단초점렌즈를 78안 착용시킨 후 근시정도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눴다. 그룹 1은 교정굴절력이 S-2.00D 이하 근시안과 그룹 2는 S-2.25D 이상에서 S-4.00D 이하의 근시안, 그룹 3은 S-4.25D 시상의 근시안으로 나눈 뒤 12개월 이하, 13~24개월, 25~36개월의 굴절교정 값의 변화를 통한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추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 근시정도에 다라 그룹 1에서 36개월 동안 역기하렌즈는 S-0.11±0.32D(P<0.05). 단초점렌즈는 S-1.50±0.47D로 통계적으로 유의(P<0.05)하게 증가하였다. 그룹2에서는 36개월 동안 역기하렌즈가 S-0.45±0.78D로 증가했지만통계적으로는 유의(P>0.05)하지 않았고, MC렌즈가 S-1.06±0.68D(P<0.05), 단초점렌즈는 S-1.95±1.07D로 통계적으로 유의(P<0.05)하게 증가하였다. 그룹 3에서는 36개월 동안 역기하렌즈가 S-0.15±0.39D로 통계적으로 유의(P>0.05)하지 않았고, MC렌즈가 S-1.02±0.42D(P<0.05), 단초점렌즈가 S-1.77±0.74D로유의(P<0.05)하게 변화하였다. 결론: 근시정도에 따른 굴절교정 값의 변화는 약도근시에서 고도근시까지 역기하렌즈가 변화의 증가가 낮아 근시진행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MC렌즈는 근시진행엑제 효과가 역기하렌즈 보다 낮았고 단초점렌즈보다 높았으며 S-2.00D이하 근시안에서 가장 높은 근시진행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