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ogen dynamics of Seagrass Zostera marina were investigated in both Dongdae Bay and Ojiri from March to August, 2004. All seagrass samples were separated into four fractions such as leaves (new and adult), sheath and rhizome in order to understand temp
        4,000원
        4.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plants, nitrogen is the major component for growth and development. Leaf growth is based on the division, elongation and maturation of cells, which are used for making of epidermis, mesophyll, bundle sheath, xylem, phloem and so on. Dynamics of these tissues with respect to nitrogen are required for better understandi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nitrogen on the elongation of epidermal and guard cell of two rice (Oryza sativa L.) varieties, Seoanbyeo and Dasanbyeo on May 2000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Cheongju. After transplaning the 20-day-old seedlings into a/5000 pots, the main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cell elongation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A maximum. leaf length reached at 7 or 8 days after emerging from the collar, and also the leaf elongation rates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increase of N application rate. The initial and final cell length were about 17~mu~textrmm and 130~mu~textrmm , respectively. Cell divisions occurred within 1.0mm from leaf base. With die higher nitrogen application rate of 22 kg-N 10~textrma-1 , cell division per hour was greater 1.5 to 1.9 and 1.2 to 1.3 fold as compared to the N application rate of 0 and 11 kg-N 10~textrma-1 , respectively. Cell enlargement of epidermal and guard cell under higher N application rate (22kg-N 10~textrma-1 ) was finished within about 20 (Seoanbyeo) and 15 hours (Dasanbyeo), while it took much time, about 30 hours.
        5.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s, efficient utilization of barley straw is essential, both to improve the soil fertility and to conserve the environ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barley straw mulch rates in rice cultivation, a rice cultivar, 'Gancheogbyeo', was directly seeded on a no-tillage field synchronized with barley harvesting with five barley straw mulch rates, i.e., 0, 2.5, 5.0, 7.5 and 10.0 ton h a-1 and agronomic characters of rice and soil nitrogen were determined. The increasing of barley straw mulch rates. Dominant weed species, chestnut, occurred in large amounts in no mulching or lower mulch rates than in higher mulch rates. The content of N H4 + -N in soil applied with high barley straw mulch rates was lower during the month after seeding, and then it was higher at heading date, compared with lower mulch rates or no mulch plot. As the barley straw rate increased, maximum tillering stage was delayed, and plant height was reduced. Although the lodging of rice plants was seldom observed in all plots,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cul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ulch rate of 10.0 ton h a-1 . With an increase of barley straw mulch rate, the effective tillering rate and spikelet number m-2 decreased while ripened grain ratio increased. The rice grain yield was slight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barley straw mulch rate,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all barley straw mulch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yield loss although the total barley straw production, approximately 5.0 ton h a-l in the present study, apply in the paddy for the following rice cultivation by no-tillage direct seeding.ect seeding.
        6.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톨페스큐의 잎과 뿌리신장 및 동화산물의 생장점부위의 종적인 해부학적 고찰을 통해 세포분열, 신장, 그리고 성숙속도등 세포역학 및 세포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질소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경당 수량성이 높은 HYT 품종과 경당 수량성이 낮은 LYT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엽신장 및 분얼성 등 생리적 특성이 다른 품종이다. 1. 근관, 표피세포, 피층세포, 도관세포로 크게 구분되는 뿌리생장부위는 약 3.2mm로 잎생장부위(약 25~30 mm)보다 훨씬 짧았으며, 근관부위는 약 0.4~0.5 mm였다. 2. 근관세포의 경우 분열시 크기는 약 5 um, 최종크기는 약 40 um였으며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분열시 크기는 각가 8.5 um와 13.0 um, 최종 크기는 각각 120um와 650um로 큰 차이가 있었다. 3. 뿌리생장부위의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분열 직후 또는 최종크기는 질소시용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세포신장속도는 질소시용수준에 영향을 받아 높은 질소수준(200ppm)에서 보다 낮은 질소수준(50ppm)에서 약 2배 정도 빨랐다. 4. 뿌리세포의 분열속도는 질소의 영향을 받아 피층세포의 경우 50ppm N 수준에서 시간당 약 4.5 세포, 200ppm N 수준에서는 시간당 약 2.3 세포였으며, 도관세포의 경우는 각각 시간당 0.9 세포와 0.6 세포였다. 5. 뿌리세포가 분열 후 최대로 신장하기까지는 시간은 피층세포의 경우 50ppm N에서 약 21 시간, 200ppm N에서 약 4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도관세포의 경우는 각각 약 37 시간과 73 시간이 소요되었다. 6. 뿌리생장부위의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세포 분열부위에서는 1:1이었으나, 세포신장부위에서는 그 비율이 증가해 생장점으로부터 1.0 mm 위치에서 5:1로 증가해 계속 유지되었다. 7. 뿌리생장에 대한 질소의 효과를 분석해 볼 때, 질소는 뿌리세포의 크기보다는 세포분열과 세포신장속도에 크게 영향함을 알 수 있었다.
        7.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보리 재배 시 질소시비 수준를 달리한 0~30cm, 30~60cm, 60~90cm 근권깊이별 NO3-N 함량의 경시적 동적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토대로 시료채취 근권깊이를 달리하는 몇몇 토양진단법에 의한 적정 추비량 결정의 국내 적용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1 기비 및 추비로 시용된 질소가 표토층으로부터 서서히 심층 하층토로 용탈, 집적되고 있었는데 이는 근권깊이별 NO3- -N 농도보다 NO3- -N 함량을 계산할 때에 더욱 명확하였다. 2. 추비직전인 2월말 0~90cm 근권층에서의 NO3- -N 함량은 기비로 시용한 질소시용 량에 따른 토양내의 NO3- -N 함량도 비례하여 높아져 기 비 시 용량 차이 가 데 체로 반영 하였으나 0~30cm 근권상층부에서의 NO3- -N 함량은 기비시용량을 전혀 반영시켜 주지 못하였다. 추비시용 이후의 토양깊이별 NO3- -N 함량의 경시적 차이 역시 0~30cm에 비해 0~90cm 근권층에서 질소시비량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3. 0~90cm 근권깊이의 NO3- -N 함량에 따라 질소추비량을 결정하는 Nmin- method에 의해 계산된 질소추비량은 무비구, 보비구, 배비구에서 기비시용량이 많을수록 질소추비량은 80.6, 40.0, 10.1kg/ha로 낮았으며, 보비 구의 경 우 질소추천추비량 60kg/ha보다 20kg/ha 정도 낮았다. 한편 0~30cm 토양진단에 따른 질소추비량은 각 처리구에서 추천시비량의 1차 질소추비량과는 비슷하여 기비처리 수준에 따른 질소추비량 차이가 전혀 없었다. 4. 0~30cm, 0~60cm, 0~90cm 근권 NO3- -N 함량과 수량과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0~90cm근권 NO3- -N 함량만이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Nmin 토양진단법이 적절하였다. 한편 0~90cm 근권 NO3- -N 함량이 120kg/ha일 때 수량이 최고에 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