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offshore eel trap fishing process using one year of fishing logs and fishermen’s insights to identify key operational challenges and propose equipment improvement for greater efficiency and safety. Conger eel catches varied significantly by season, depth, and temperature, peaking in winter at 85–90 m and 23°C. The western waters of Jeju Island were identified as a major fishing ground, with the highest catch recorded in November and the lowest in July, reflecting seasonal trends. Each fishing operation deployed about 10,000 traps, with an average loss of 38 traps, posing economic concerns. The process involved intensive manual labor in bait preparation, trap retrieval, catch separation, line loading, and unloading, leading to high physical demands and safety risk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proposed autom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line loading device, trap cleaning device, bait processing machine, and automatic catch separator. These innovations could reduce the labor force required by one to two workers per process, alleviate workloads, and enhance resource management. By integrating quantitative logbook analysis with field-based knowledge, this study offers practical value.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on automation development, cost-effectiveness, and field validation to support safer and more sustainable eel trap fisheries.
        4,000원
        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강도 그라우트재가 적용된 해상 풍력 발전 타워 자켓-파일 연결부의 설계를 위하여, 국외 해상풍력발전 타워 설계기준에서 제공하고 있는 그라우트 연결부 설계기준을 검토하였다. 해상 풍력 발전 타워 자켓-파일 기초의 연결은 sleeve의 내측과 파일의 외측에 링 모양의 전단키를 설치하고, 그 사이를 모르터로 채워 연결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현재 DNV-OS-J101 및 NORSOK 등의 설계기준에서는 모노파일의 연결부 형식과 자켓-파일 연결을 모르터를 이용한 연결방법으로 설계기준이 정립되어 있으나, 설계기준별로 추천하고 있는 그라우트재의 강도는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fck), 전단키의 높이(h), 전단키의 간격(s) 및 그라우트 간격(tg)에 따른 연결부의 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재료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구조적 거동분석을 수행하였다. 전단키의 간격에 따른 모르터와 전단키의 파괴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도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단키의 간격별 파괴모드와 유한요소해석결과의 파괴모드를 비교분석하여, 고강도 그라우트재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