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odor reduction when spraying inside the Bio-curta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urtain) according to the exhaust fan operating rate. Spraying is a main factor affecting the ability to odor reduction of curtains. The curtain (total area: 37.9m3) was constructed with two layers of light-shielding screens stretched ove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installed around an exhaust fan (630 mm) on the side wall of a pig barn. Air samples for od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inside the pig barn and outside the curtain. The main odorous compounds such as volatile fatty acids, phenols, indoles, and ammonia were measured. The odor reduction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total odor activity values (TOAVs) summed to the odor activity values of each odorous compounds. Depending on the exhaust fan operating rate, the reduced rate of TOAVs gradually decreased to the range between 15.67% and 68.80%. Because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spraying liquid and the air velocity of the exhaust fan becomes shorter (or there is a reduction in liquid to gas flow ratio) as the exhaust fan operating rate in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into spraying conditions to improve the odor reduction effectiveness of curtains.
        4,000원
        2.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막결합생물반응조(MBR)공법을 비롯한 하수고도처리공법에서 유입하수량의 변화에 따른 슬러지 특성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 1.5톤을 처리하는 모형실험시설에서 설계유량 대비 유입하수량을 100, 70, 40, 10%로 변 화시켜가며 이에 따른 비탈질속도(specific denitrification rate)와 비질산화속도(specific ammonia oxidation rate)의 변화를 측 정하였다. 각 공법의 폭기조에서 채취한 슬러지의 비질산화속도는 유입하수량 100% 조건에서 세 가지 공법 모두 유사한 값 (0.10 gNH4/gMLVSS/day)으로 측정되었다. 유입하수량이 70%에서 40%로 감소함에 따라 비질산화속도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비탈질속도 역시 유입하수량이 감소함에 따라 최대 50%가량 감소하였다. 유입하수량이 감소할수록 비탈질속 도와 비질산화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원수의 총질소 농도와 반응조 내 미생물 농도를 고려하면 질소제거율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었다. 따라서 유입하수량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반응조 내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면 안정적인 질소 제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울산항의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현재 뿐만 아니라 항만개발에 따른 미래의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울산항의 정박지 적정성 평가를 위한 정박지 가동률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가동률 개념을 울산항의 2014년 정박지에 적용하여 가동률을 계산한 결과 모든 정박지에서 가동률이 100 %를 넘지 않는 것으로 도출되어, 추가 정박지 지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울산항의 2020년 가동률을 추정한 결과 E1정박지가 168.3 %로 가장 높았으며, E3정박지가 131.1 %, E2정박지가 118.5 %, 그리고 M정박지가 108.7 %인 것으로 계산되어, 2020년에는 정박지가 부족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울산항의 항만개발에 따른 정박지 가동률을 100 %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E1정박지는 11척, E2정박지는 1척, E3정박지는 2척, M정박지는 1척이 추가적으로 정박할 수 있는 수역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a major issue to repair the broken system quickly for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utilization. Generally, high utilization of system requires the high amount of spare parts in inventory and inventory co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