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수확 후 감귤의 부패과 발생 억제를 위하여 grapefruit seed extract과 oregano oil이 혼입된 carnauba 코팅 과 calcium oxide이 혼입된 chitosan 코팅을 감귤에 적용하여 Penicillium italicium 저해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carnauba 수용액(18%(w/w))에 grapefruit seed extract 또는 oregano oil을 단독으로 각각 0.3-1%(w/w) 첨가하였고, grapefruit seed extract과 oregano oil을 0.75:0.25, 0.5:0.5,그리고 0.25:0.75(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하였다. 또한 1% chitosan 수용 액의 경우 0.3-3%(w/w)의 calcium oxide을 첨가하여 코팅제를 개발하였다. 감귤 과피에 접종된 P. italicium에 대한 각 코팅제의 저해 효과는 부패과 발생률(%)로 표현하였다. carnauba wax 코팅의 경우, grapefruit seed extract을 단독으로 1% (w/w) 첨가, grapefruit seed extract과 oregano oil을 혼합하여 0.5:0.5%(w/w) 비율로 첨가하였을 때 부패과 발생률은 각각 23.6%와 25%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고(P<0.05), calcium oxide을 첨가한 chitosan 코팅의 경우 calcium oxide의 농도와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부패과 발생률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따라서 grapefruit seed extract 과 oregano oil이 혼입된 carnauba wax 코팅은 감귤의 저장 중 부패에 관여하는 P. italicium를 저해하여 저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죠람과 오레가노 수경재배시에 생육과 정유함량에 미치는 양액내 Ca2+ : K+의 적정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양액은 유럽채소연구소의 0.5배액을 사용하였다. Ca2+ : K+의 비율은 3.5;13, 4.5:11(표준용액), 5.5:9, 6.5:7 mM·L-1 4가지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마죠람의 생육은 5.5:9와 6.5:7 mM·L-1구에서 우수하였다. 비타민 C는 6.5:7구에서 그리고 정유함량(%)과 정유수량은 5.5:9구에서 높았다. 오레가노의 경우는 생육과 비타민 C의 함량은 5.5:9와 6.5:7구에서, 정유성분과 수량은 6.5:7구에서 높았다. 따라서 마죠람은 5.5:9 그리고 오레가노는 6.5:7로 조절하여 가꾸는 것이 생육과 수량 그리고 정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본다.
        4,000원
        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수경재배시 마죠람과 오레가노의 알맞은 배양액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배양액은 유럽채소연구센터 허브액을 사용했다. 처리농도는 0.5, 1.0, 2.0, 3.0배액 등 4수준이었고 재배기간은 40일이었다. 마죠람은 지상부 생육, 지하부 생육, 비타민 C,총 정유생산량은 0.5배액에서 가정 조았다. 그러나 무기물함량은 20.배액에서, 정유함량은 3배액에서 좋았으며 엽록소 함량은 고농도에서 감소하였다. 오래가노의 생육 0.5배야ㅐㄱ에서 조았으며, 3.0배액에서는 고사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2.0배액에서 낮았으나 비타민 C는 이온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무기물과 정유함량은 1.0배액에서 높았으나, 정유생산량은 0.5배액에서 높았다. 이사의 결과로 볼 때 마죠람과 오레가노 수경재배시 적절한 배양액 농도는 허브 배야액 0.5배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오레가노 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등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오레가노 함량은 21.8μg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강력한 자유라디칼에 대한 총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7.5 및 15μg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15.1 및 31.4 nmol Trolox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0.2 및 0.4μg의 산소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4 및 2.4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30 및 75μg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0.5 및 83.9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이황화철/아스코르빈산에 의해 유도된 랫드 간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20 및 50μg은 TBARS 수준을 각각 20 및 64% 억제시켰다. 이와같이 오레가노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는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오레가노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에 관련이 있는 세균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Salmonella enteritdis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의 배양액에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m와 Listeria monocytogenes 생육은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 700 mg·L-1 농도에서 각각 60시간 및 36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오레가노가 효과적인 천연보존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