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환자들의 작업수행들이 형성하고 있는 연결망의 관계 수준이 회복탄력성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척수손상환자 17명이다. 작업수행들이 형성하고 있는 연결망의 관계 수준이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에 있어서 작업연결망에 대한 강도는 만족도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작업수행에 대한 조사는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일상생활활동 항목목록을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 의미 있는 작업수행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복탄력성은 Korean ver. of Connor-Davison Resilience Scale (K-CD-RIS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작업연결망의 강도 중 연결정도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과 회복탄력성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수행에 있어서 연결정도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의 수준이 높아질 수록 회복탄력성 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설명된다. 결론: 척수손상 환자들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작업수행에 대한 연결정도 중심성과 위세중심성의 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활동을 중심으로 치료적 중재의 목표와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목적: 본 연구는 남성 척수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작업연결망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남성 척수손상 환자 12명이다. 대상자들의 작업연결망 구조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였 으며, 연결망 분포에 대한 지표와 중심성에 대한 지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결망 분포에 대한 지표는 밀도, 평균 연결정도, 평균 거리, 포괄성, 고립노드를 분석하였다. 중심성에 대한 지표는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일상생활 활동의 항목은 지역사회 건강조사 활동항목을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활동에 대한 강도는 만족도로 설정하였고, 10점 척도로 조사하여 적용하였다. 결과: 연결망 특성에서 밀도는 60%, 평균 연결정도는 8.40, 평균 거리 1.40, 포괄성 100%, 고립노드 0으로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과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모두 참여활동, 개인건강관리, 교제활동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 분석 결과 개인건강관리, 교제활동, 여가활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척수손상 환자들의 작업수행에 대한 구조와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척수손상 환자들의 일상 속에서 만족감을 지니며 수행하고 있는 작업수행의 구조를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척수손상 환자들이 자신의 일상을 더욱 의미 있게 구성하고, 작업수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근거로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며, 임상적으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척수손상 환자들의 재활과정에서 작업수행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고, 영역별 확장을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압력 이미지 센서를 활용한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정이 척수손 상 환자들의 주요 합병증인 욕창의 예방에 있어서 실제로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후 향적 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병 기간이 1년 미만인 척수손상 환자들 1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다. 실험 군은 휠체어 방석 압력분포 조정 당시 본인 소유의 휠체어 방석으로 진행하여 본인에게 맞추어 압력 치 가 조정된 휠체어 방석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66명의 환자로 분류하였고, 대조군은 다양한 이유로 조정된 휠체어 방석을 지속하여 사용할 수 없는 66명의 환자로 분류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는 휠체어 방석 압력분포 조정 이후 1년과 2년 뒤에 한 차례씩의 욕창 발생과 시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 조사결과에 따른 두 군 간의 욕창 발생률과 발생 시기를 비교 분석하여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 정평가가 척수손상 환자들의 욕창 예방에 미치는지 영향을 확인하였다. 자료의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 은 p < .05로 정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 두 군 간에 욕창이 발생 된 확률의 차이 결과는 모두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 났으나(p > .05), 욕창의 발생 시기에 대한 두 군 간의 비교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 < .05)
결론 : 한 번의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정만으로는 욕창 예방효과의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웠다. 하지만 시기에 맞는 유지 관리를 지속할 수 있다면 향후 척수손상 환자들의 욕창 예방 관리에 매우 좋은 방안 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It is known that hand strength and fingertip force are used as an indicator of muscle strength and are also highly related to the various chronic symptoms and even lifespan. To use the individual fingertip force (IFF) as a quantitative index for clinical evaluation, the IFF should be measured and analyzed with various variables from various subjects, such as the normal range of fingertip force and the difference in its distribution by disease.
Objects: We tri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mean maximum IFF distribution during grasping a cylindrical object in healthy adults and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SCI).
Methods: Five Force-sensitive resistor (FSR) sensors were attached to the fingertips of 24 healthy people and 13 patients with SCI. They were asked to grip the object three times for five seconds with their maximum effort.
Results: The mean maximum IFF of the healthy adult group’s thumb, index, and middle finger was similar statistically and showed relatively larger than IFF of the ring and small finger. It is a 3-point pinch grip pattern. All fingertip forces of patients with SCI decreased by more than 50% to the healthy group, and their IFF of the middle finger was relatively the largest among the five fingertip forces. The cervical level injured SCI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FFs compared to thoracic level injured SCI patients.
Conclus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rehabilitation diagnosis and therapy goal decision with robust further study.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를 번역과정을 거쳐 한국 번역판 CHART를 완성하였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척수손상 환자 100명과 장애가 없는 일반인 100명으로 총 200명이었다. 번역 및 역번역 검증을 통해 CHART-K를 완성하였고, 국내에 적용하기 위해 예비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는 0.97로 높은 수준을 수립하였으며, 삭제된 문항은 없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에서는 척수손상 환자의 총점수의 평균은 일반인 대상자보다 낮은 점수를 확인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1). 수렴타당도 검증에서 Korean-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K-CIQ)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524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p<.01).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 .628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검사-재검사 .730~ .992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CHART를 번역하고 국내의 실정에 맞게 CHART-K를 완성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척수손상 환자의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측정하고 기존 평가도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walking ability assessment tools using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Spinal Cord Injury Measurement II (SCIM II), Walking Index for Spinal Cord Injury (WISCI), walking velocity, and walking enduranc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56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ve Medicine in the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All subjects were ambulator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by MBI, FIM, SCIM II, WISCI, walking velocity, and walking endura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X2.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BI, FIM, SCIM II, WISCI, walking velocity, and walking endurance (p<.01). In particular, WISCI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IM II(p<.001). Therefore the WISCI scale is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to predict the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Further study about MBI, FIM, SCIM II, WISCI, walking velocity, and walking endurance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using aid in enhancing walking ability in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who have received rehabilitative car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4 spinal cord injury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NRC). All subjects were ambulator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SCIM II, WISCI II, FIM, MBI, gait speed (m/s), and walking endurance (120 min/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 one-way ANOVA, and a Duncan 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SCIM II and all of the items of SCIM II of the cervical ASIA D group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Thoracic ASIA A and C group patients (p<.05). The FIM, MBI, and WISCI II of the cervical ASIA D group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Thoracic ASIA C group patients (p>.05). The walking velocities of the lumbar ASIA C group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oracic ASIA A group patients (p<.05). The walking endurance of the lumbar ASIA C group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oracic ASIA C group patients (p<.05). The ASIA D group patients used bilateral standard canes or crutches, but none used AFO. The ASIA A and C group patients used bilateral standard walkers with KAFO for standing and walk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injury level as well as the functionality of walking aids should be considered when formulating a rehabilitative plan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