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회복환경으로서 농촌경관자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경학과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농촌경관 유형별 회복환경지각척도와 선호도 및 회복성을 조사하였다. 8개 경관유형별 회복환경지각척도를 분석한 결과 하천과 저수지가 여타 경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물이 포함된 공간을 선호하였고 돌담, 다랑이논, 전통마을 등의 생활경관은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았다. 회복환경지각척도 요인분석 결과 ‘적합성’, ‘매력성’, ‘벗어남’, ‘규모’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모든 요인이 선호도 및 주의회복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선호도에는 적합성 요인이, 주의회복성에는 규모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선호도와 주의회복성 간에는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선호도가 높을수록 주의회복성도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모든 경관유형에서 벗어남 요인과 규모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적합성 요인은 가장 낮았다.
        4,200원
        2.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since it helps in finding out garden restoration mechanisms and factors that can be applied to garden components or design directivity that a user requires. However, PRS shows sub-factors, which differ from domestic studies, or has a problem with reliabilit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studies on new factors considering individual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 PRS to be used in garden environments by newly applying Hartig et al.’s PRS (26 components) and RPRS (Revised PRS with 16 components, which is mainly used in Korea and pleasantness that is predicted, based on perceived restorativeness of garden. The study finding displayed that the traditional PRS (26 components) could explain restoration-related variables better and when pleasantness was additionally applied, the explanatory power of restoration-related variables was extremely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