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조선조 초기에 편찬한 高麗史 列傳에 나타난 二人稱代名詞中平稱詞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의 고문에서 사용된 二人稱平稱詞의 종류는 ‘汝’, ‘女’, ‘若’, ‘而’, ‘爾’, ‘乃’, ‘戎’ 등 7가지로 다양하다. 고려조에 발간된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서는 ‘汝’․‘爾’․‘若’․‘而’ 등 4 가지의 이인칭 평칭사가 두 책에서 동시에 수용되어 사용되었으나, 조선조에 발간한 高麗史에는 고려시대에 사용되던 ‘而’가 사용되지 않고, ‘而‘와 통사적 특성이 동일한 ‘乃’가 새로 사용되었다. ‘汝’․‘爾’․‘若 등은 그대로 사용되었으나, ‘女’․‘而’․‘戎’ 등은 수용되지 않았다. 이들의 통사적 특성을 분석하면 중국의 고문에서 쓰인 용법과는 달리 쓰여진 면이 보이고, 또한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의 용법과 다른 점도 발견된다, 개개대명사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汝’는 중국의 문장에서와는 달리 修飾語와 被修飾語사이에 관형격 조사 ‘之’가 배합되는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중국의 고대 문장에서는 ‘汝’가 관형어로 잘 쓰이지 않는 현상이 특징이었으나 􋺷高麗史􋺸에서는 관형어로 쓰인 경우가 주어나 목적어로 쓰인 횟수와 대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若’은 모두 ‘若等’․‘若輩’․‘若曹’ 등의 복수의 형태를 취하여 문장의 主語와 冠形語로만 사용되었다. ‘爾’는 단독으로 쓰여 복수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고, 관형어로 쓰인 ‘爾’와 被修飾語사이에 ‘之’가 배합된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지시대명사로 쓰인 경우가 있는데 중국에서는 遠稱(彼), 근칭(此), 不定稱 (其)등으로 쓰였으나 高麗史에는 ‘近稱’과 ‘遠稱’으로 쓰였다. ‘乃’는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는 이인칭대명사로 사용되지 않았다, 高麗史에는 대명사로 사용되었는데, 모두 관형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에서 ‘乃’가 관형어로만 사용된 어법상의 특성이 조선조에 다시 수용되었다.
        6,300원
        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朝鮮朝 초기에 간행된 『高麗史』 列傳에 나타난 二人稱代名詞 중 謙稱詞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高麗史』 列傳에서 사용된 謙稱詞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을 표현한 경우는 臣, 小臣, 老臣, 微臣, 下臣, 陪臣, 愚臣, 犬馬 등이 사용되었고, 임금이 신하에게 사용한 경우는 寡人, 寡躬, 寡君, 孤, 不穀, ?昧 등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그 외의 관계에서 사용한 경우는 老夫, 僕, 妾 등이 사용되었다. 먼저 이 겸칭사들을 중국에서 사용된 형태적 특성과 비교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高麗朝에 발간된 『三國史記』, 『三國遺事』에서 사용된 특성과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高麗史』 列傳에 사용된 개개 謙稱詞들은 중국에서 사용된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과 조선조에서 달리 변용된 것이 분석되었고, 고려조에서 사용된 形態的 特性도 조선조에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5,800원
        4.
        1986.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