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고투과도를 갖는 실리카 분리막은 콜로이달 실리카 졸과 고분자형 실리카 졸 두 가지를 DRFF법과SRFF법으로 다공성 금속 지지체 위에 코팅하여 제조되었다. 실리카 졸은 졸-겔법으로 테트라에톡시실란(TEOS)에 의하여 제조되었고, 각각의 졸은 동적광산란법(DLS),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 질소 흡착법 등을 이용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다공성 금속 지지체위에 콜로이달 실리카 졸로 중간층을 형성하여 치밀한 구조의 실리카 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분리층으로 고분자형 실리카 졸을 코팅하여 핀홀을 줄이는 방법으로 기체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FE-SEM으로 분리막의코팅 층을 분석한 결과 분리층은 중간층보다 침밀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기체투과 결과 수소 투과도 (6.63-9.21) × 10-5 mol⋅m-2⋅s-1⋅Pa-1 분포를 보였다.
        4,000원
        3.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S(Spark Plasma Sintering ) is known to be an excellent sintering method for porous materials. In the present work an attempt has been made of fabricating porous 316L Stainless steel with good mechanical properties by using controlled SPS process Porosity was 21%~53% at sintering temperature of ~100 The limit of porosity with available mechanical strength was 30% at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Porosity can be controlled by manipulating the intial height of the compact by means of the supporter and punch length. The applied pressure can be exerted entirely upon the supporter, giving no influence on the specimen. The specimen is then able to be sintered pressurelessly. In this case porosity could be controlled from 38 to 45% with good mechanical strength at sintering temperature of 90. As the holding time increased, neck between the particles grew progressively, but shrinkage of the specimen did not occur, implying that the porosity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whole sintering process.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