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1.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사선 치료 영역의 선량 측정을 위하여 상용화된 열형광선량계의 가열 온도에 따른 형광 곡선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열형광선량계는 LiF:Mg Ti, LiF:Mg Cu P, CaF2:Dy, CaF2:Mn(Thermo Fisher Scientific Inc., USA)이었다. 선원과 고체 팬텀 표면(RW3 slab, IBA Dosimetry, Germany)간 거리를 100cm로 하여 기준점 깊이에서 6MV, 15MV X선과 6MeV, 12MeV 전자선을 각각 100MU 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열형광 판독기(Hashaw 3500,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USA)를 사용하여 50°C에서 260°C까지 15°C/sec의 가온율로 가열하여 형광 곡선을 분석하였다. 트랩 준위에 포획된 전자가 정공과 결합하면서 빛을 방출하는 형광 피크(glow peak)는 2개 또는 3개의 피크가 나타났으며 방사선 조사 후 TLD의 온도를 일정하게 증가시켰을 때 최대 형광 피크를 나타내는 형광 온도의 경우 각각의 에너지에 따라 LiF:Mg·Ti 선량계는 185.5±1.3°C, LiF:Mg·Cu·P 선량계는 135.0±5.1°C, CaF2:Dy 선량계는 144.0±1.6°C, CaF2:Mn 선량계는 294.3±3.8°C 근처에서 최대 형광 피크를 각각 나타났다. 방사선조사 후 포획 전자의 형광 방출 확률은 가열 온도에 의존하게 되므로 방사선 치료 영역의 선량 측정에서 방사선 조사 후 열형광선량계에 일정한 가온율을 적용함으로써 고유한 물리적 특성에 따른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2.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RT는 정밀한 입체조형 방사선량 분포를 얻을 수 있어서 종양의 모양에 맞추어 방사선량을 집중함으로써 종양에 들어가는 총방사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적절한 증례에서는 국소제어율과 완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표적에 대한 차별화된 방사선량을 분포시킬 수 있어서 종양부위를 포함 하면서도 동시에 종양 주위의 중요한 정상 장기를 보호 할 수 있으므로 국소 부작용을 감소시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MRT는 일반적인 방사선치료보다 더 많은 방향에서 치료하고, MLC를 조절하여 세기를 조절한다. 치료할 부위는 MLC를 열고 보호해야 할 부위는 MLC를 닫고, 점진적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선형가속기에서 사용되는 모니터단위(monitor unit, MU)는 일반적인 방사선치료보다 3-10배 많게 되므로 치료시간이 길게 된다. 그러므로 환자가 치료시간 동안 자세고정이 잘 되어야 IMRT를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정상조직의 선량분포는 고선량을 받는 용적은 감소하고, 저선량을 받는 용적은 증가하게 된다. IMRT를 합리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중요한 이유는 방사선치료에 의한 부작용의 감소이다. IMRT의 이용은 두경부암과 전체 유방을 치료해야 하는 유방암에서 근거수준1의 임상적 증거가 있어서 논쟁의 여지가 없으며, 전립선암 등 다른 부위의 종양들에서도 여러 수준의 임상적인 증거들이 있다. 생존율의 향상, 종양제 어율의 증가, 그 외 치료 유효성의 지표들에 대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아직 확실한 결론이 나오지 않아서 앞으로 더욱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
        2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전립샘암 환자에게 방사선 치료법인 3차원 입체조형법과 세기조절치료법을 각각 적용 할 경우 선량분포의 차이를 관찰하여 치료기법의 우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자 10명의 컴퓨터 단층 모의치료영상을 얻어 종양학과 전문의가 종양용적 및 정상장기를 구분하고 종양용적에 흡수선량을 80 Gy로 설정한 후 각각 다른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 선량분포윤곽은 세기조절치료법이 우수 하였고 종양조직의 흡수선량은 세기조절치료법이처방선량에 근접(100.2%)하였으며 정상조직 흡수율(방광, 직장, 소장, 좌·우 대퇴골두) 또한 우수하였다. 즉, 전립샘암의 방사선 치료시 세기조절방사선치료가 입체조형치료법보다 선량적인 면에서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4.
        201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ompared the results of early follow-up of F-18 FDG PET/CT and MRI performed within one month after radiation therapy for cervix cancer patient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linical data of cervix cancer patients whose PET/CT and pelvic MRI performed at staging and within one month from the end of RTx. SUVmax on PET/CT and size on MRI of the primary tumor were analyzed. We compared %change of SUVmax and size between staging and follow-up. A total of 27 patients were enrolled. At staging, larger tumor showed high SUVmax. At follow-up,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ize and SUVmax. In 77.8% of patients, changes in SUVmax were well correlated with changes in size.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 change and value at staging in both SUVmax and size. Except for six patients who showed significant FDG uptake without evidence of a mass on MRI, % changes of size and SUVmax were well correlated. Metabolic change can be accessible on early follow-up PET/CT at±1 month from the end of the RTx of cervix cancer. However, careful interpretation of PET/CT is needed due to possible radiation-induced hypermetabolism even without a definite mass on MRI.
        25.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흡조절 방사선치료는 호흡이나 장기의 움직임을 극복하기 위하여 환자의 호흡주기를 획득하여 종양조직에 처방선량을 부여하며 동시에 주위 정상조직에는 적은 방사선량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ABCHES를 이용한 호흡조절 방사선 치료는 호흡을 얕은 호흡으로 유도하며 종양조직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부속 장비이다. 한편복부 압박 기구는 환자의 복부에 압박을 실시함으로 호흡에 제한을 두는 치료보조용 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ABCHES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ABCHES와 복부압박 장비를 이용하여 간세포암 환자의 종양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해당하는 치료효과를 선량체적곡선으로 분석하려 하였다. ABCHES를 사용한 경우와 ABCHES와 복부압박기구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를 비교해본 결과 상하 방향과 앞뒤 방향 그리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평균 1.0 mm,0.2 mm, 0.2 mm 정도로 그 움직임을 제한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적 감소율 또한 ABCHES를 사용한 경우 HPTV와 LPTV가 체적의 변화율을 16 ± 2% 정도로 줄일 수 있었고, LPTV의 경우 15.8 ± 0.8%의 체적을 제어할수 있었다. 선량체적 곡선을 분석한 경우 ABCHES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ABCHES와 복부압박 기구를 동시에 사용한경우가 종양조직에는 처방선량에 가까운 선량값을 보였으며 정상조직인 동측 폐, 콩팥, 정상 간조직에는 보다 적은 선량이 부여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 결과 ABCHES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복부압박기구와 ABCHES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가 종양 및 정상조직에 부여된 선량 기준에 적합하다고 판명 되었고, 향후 ABCHES와 복부압박기구에 대한 제한점 즉, 복부의 압박강도에 따른 환자의 불편감, 호흡주기가 정확하지 않은 환자들에게 적용하여야 하는 방법 등이 추후에 논의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 2